본문 바로가기
사랑방/대학생기자단

한글이 생기기 전, 어떻게 글로 썼을까? ‘이두’-김지현 기자

by 한글문화연대 2016. 8. 22.

한글이 생기기 전, 어떻게 글로 썼을까? ‘이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지현 기자

k1223k@naver.com

 

지난 5일 한글문화연대에서 ‘문자생활과 이두’라는 주제로 이용 교수(서울 시립대)의 알음알음 강좌를 열어 직접 다녀왔다. ‘이두’라는 단어가 조금은 생소했는데, 이번 강연을 통해 ‘이두’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다. 강연을 통해 배운 ‘이두’를 소개해보려고 한다.

 

‘이두’란 무엇인가?
이두란, 간단하게 정의하면 한글이 태어나기 전에 쓰였던 문자다. 이두는 ‘광의의 이두’와 ‘협의의 이두’로 나눌 수 있다. 광의의 이두는 협의의 이두 외에 향찰, 구결, 고유명사를 포함한 어휘표기를 말한다. 협의의 이두는 이두문에 쓰인 우리말을 일컬으며 이두문은 한문적 성격을 좇으려거나 의지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한다. 

 

이두는 대체로 위안 조선 때 한자의 유입으로 생겨났다고 추정하고 있다. 우리글이 없었던 시대에 사회와 문화의 발달로 문자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 같은 경우, 두 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글을 직접 만들거나 남의 문자를 가져와 사용하는 경우다. 대부분 다른 집단의 문자를 가져와 사용하는데, 이두도 남의 문자를 빌려 사용한 경우에 포함된다.

 

한자와 이두의 차이

▲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언뜻 위의 글을 보면 한자와 이두의 차이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한자와 이두는 아주 큰 두 가지의 차이점이 있다. 첫 번째로, 언어의 차이다. 한자는 중국어를 표기한 문자고, 이두는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해 한자를 빌려 표기한 문자다. 그래서 한자로 쓴 문장과 이두로 쓴 문장은 어순이 서로 다르다. 중국어는 영어와 같은 어순을 사용하고, 우리는 이들과 다른 어순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문법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두로 작성된 ‘왕오천축국전’을 살펴보면, 우리말의 문법에서만 볼 수 있는 ‘머리를 자른다’라는 표현을 볼 수 있다. 이는 한문에서는 볼 수 없는 문법 형태다. 이처럼 서로 다른 문법 형태를 통해 한자와 이두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이두의 사용
이두는 여러 방면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교서와 공신 문서가 있다. 교서는 국왕이 명령을 내릴 때 사용하던 문서다. 공신 문서는 나라를 위해 일하는 신하에게 주는 문서다. 이를 통해 이두는 주로 공적인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관내의 인사기록부인 ‘인사문서’, 재산과 관련한 모든 것을 적은 ‘재산 관련 문서’ 등이 있다. 이를 살펴보면, 대체로 공적인 문서에 사용된 것을 더 확실히 알 수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이두의 사용을 끝으로 알음알음 강좌가 끝이 났다.

 

강의를 마치고

▲ 강의 하는 이용 교수

이번 ‘문자생활과 이두’라는 강의를 들으면서 이두가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있었다. 사실 전에는 이두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이두를 알고 한글이 없었던 때 쓰였던 글이라는 것도 알게 됐다. 이를 통해 한글이 현재 중요한 우리의 글이라면 이두는 훈민정음이 만들어지기 전 중요하게 사용되던 ‘우리의 글’이라는 것을 배웠다.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강의를 듣기 위해 온 사람들 중에 젊은 학생들이 거의 없었다는 것이다. 대부분 중장년층이 강의실을 채웠다. 물론, 이들의 배움 열기는 대단했다. 조상들의 문자생활이 어떠했는지, 또 기록으로 어떻게 남았는지 알 수 있던 의미있는 강좌에 젊은 학생들이 더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이러한 알찬 강의를 선사하는 알음알음 강좌에도 관심을 두면 여러모로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이번 한글문화연대 알음알음 강좌를 통해 평소에는 만나 뵙기 힘든 ‘이용’ 교수도 만나 뵙고, 평소에 잘 알지 못했던 이두에 대해 알게 돼 굉장히 유익한 시간이었다. 다음 달 9월 1일에는 ‘구결’을 주제로 한 강연(강사: 이용 교수)이 진행된다고 한다.

(연락처- 한글문화연대 누리집, 02-780-508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