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민정신4

우리나라 역사가 담긴 세종대학교-박찬미 기자 우리나라 역사가 담긴 세종대학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박찬미 기자 chaanmii@naver.com 세종대학교에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관련된 이름을 가진 건물이 많다. 건물의 이름뿐만 아니라 학교의 정문과 학교를 대표하는 교표에서도 우리나라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기자의 모교이기도 한 세종대학교 여기저기를 둘러보면서 우리나라의 역사를 함께 되새겨보았다. 학교의 건물 및 상징에서 역사를 발견하다 ▲ 세종대학교 정문. 먼저 세종대학교 정문이다. 여느 대학교와는 사뭇 다르게 정문의 모습이 굉장히 특이하다. 조선 시대 제4대 왕인 세종대왕에서 이름을 따온 ‘세종대학교’에 걸맞게 우리나라의 옛 건축물 느낌을 풍긴다. 무엇보다 한글로 새겨 정문에 걸어둔 현판은 세종대왕의 이름을 다시 한번 떠올리게 한다.. 2018. 6. 28.
한글 놀이터, ‘국립한글박물관’-변용균 기자 한글 놀이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변용균 기자 gyun1157@naver.com 한글박물관이 있다고? 국립한글박물관을 다녀왔다고 하면 그런 곳이 있느냐고 많은 사람이 되물어 온다. 대한민국의 자랑거리라 하면 대부분 첫째로 한글을 꼽으면서도 한글의 역사를 배울 수 있는 한글박물관이 있다는 사실은 잘 모른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이촌역 부근에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바로 옆에 국립한글박물관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 국립중앙박물관 관람을 끝낸 방문객들은 대부분 다른 볼거리는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바로 옆에 규모는 작지만 담겨있는 내용은 그 무엇보다도 소중한 국립한글박물관이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2014년 10월 9일 한글날에 개관하여 올해로 5년째를.. 2018. 5. 23.
“한글 인 더 월드(in the world)” - 정희섭 기자 “한글 인 더 월드(in the world)”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정희섭 기자 jheesup3@naver.com 중국의 성인 장자(莊子)는 이런 말을 했다. 井蛙不可以語於海 (정와불가이어해) 우물 안 개구리에게 바다 이야기를 해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이다. ‘한글문화연대 누리집에 실릴 글에 영어와 한자라니!’ 라며 노여워하는 독자들도 있으리라 짐작한다. 하지만, 제목에서 미리 느낄 수 있듯, 이번 기사는 ‘세계’라는 글감으로 써내려니 너그러이 이해해주시라. 그리고 기대해 주시길 바라는 마음이다. 물론, 한자나 외국어 사용 자체를 무조건 반대할 정도의 엄청난 독자는 찾아보기 어렵지만. 미국에 도착하여 교환학생 생활을 시작한 지, 벌써 두 달에 접어들었다. 아시아권의 몇몇 나라들을 짧게 여행해본.. 2017. 2. 24.
세종의 마음 이해하기 - 정희섭 기자 세종의 마음 이해하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정희섭 기자 jheesup3@naver.com 세종이 한글을 창제하고 반포할 15세기 당시 그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조선시대 기득권층(당시 양반 혹은 사대부)들은 백성들이 문자를 아는 것을 원치 않았다. 백성들이 당대 기득권층에서 통용되던 문자인 ‘한자’를 아는 것은 책을 포함한 모든 문자로 된 것을 읽을 줄 안다는 뜻이었다. 무언가를 읽을 줄 안다는 것은 책을 통해 사물이나 현상의 이치를 깨닫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의 불합리함과 공평하지 못한 부분을 백성들이 깨달을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하고 국가 권력에 대항할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그들은 생각했던 것이다. 2011년 24부작으로 제작되어 시청률 25.4%(닐슨코리아 제공)라는 .. 2016.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