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훈민정음66

[알림] 훈민정음, 누가 어떻게 만들었나? 세종대왕 즉위 600돌 기념 학술 강연회 훈민정음, 누가 어떻게 만들었나? ■ 때: 2018년 12월 12일(목), 오후 2시~4시 30분 ■ 곳: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실 훈민정음 창제의 실제 - 이상규 경북대 교수 훈민정음 협찬설의 허구성 - 김슬옹 한글학회 연구위원 조선왕조실록등 문헌에 나타난 훈민정음 창제 기록 - 홍현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교육부장 조선시대 사료에 대한 객관성 평가 - 박순애 대한민국역사문화아카데미 회장 주최: 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글문화연대 서영교 국회의원 2018. 11. 29.
국악방송 - 참 말글살이 (함께 이건범, 김명진, 정인환) 작곡: 진정민 / 작사: 최용석 / 노래: 예결, 이건범, 김명진, 정인환 편곡: 진정민, 이재림, 호반(Hovan) / 해금: 오정민 / 기타: 호반(Hovan) "안 써도 되는 외국어들과 암호같은 요새 줄임말 조금만 참아보길 지켜갈 우리세대 ~ 아리아리 열어 가세 참 말글살이 하다 보면 평등 인권 세상~" 국악방송 꿈꾸는아리랑에서 만들어 준 한글문화연대를 위한 아리랑. 4주 동안 우리 단체 이야기를 듣고, 최용석님이 가사를 쓰고, 진정민님이 편곡하여 가수 예결이 불렀다. 고맙습니다. 노래 제목만큼 고운 목소리와 따뜻한 가사. https://goo.gl/xEyGjF 참 말글살이 가사 1443년 세종대왕 께선 우리글을 갖지 못한 백성위해 스물여덟자 한글을 창제 하셨으니 훈민정음 이로다 세상의 모든 소리들.. 2018. 11. 16.
다시 보는 ‘뿌리 깊은 나무 [한국방송작가협회-방송작가 2018년 10월호]에 실린 글 572돌 한글날을 맞아 드라마 를 다시 본다. 방영 당시엔 띄엄띄엄봐서, 우리가 아는 한글 창제 이야기에 ‘밀본’이라는 정도전 추종 세력의 도전을 ‘구라’로 엮어서 제법 그럴듯하게 만들었구나 하는 정도였다. 어느 사극이든 철저한 고증엔 한계가 있겠지만, 그래도 구할 수 있는 자료는 제법 열심히 찾아보고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우리 국민 가운데에는 세종이 한글을 반포할 때 한글 창제의 철학, 글자 모양과 음성의 관계를 상세하게 풀이하고 용례를 담아 펴낸 책 《훈민정음》 해례본을 본 사람이 많지 않다. 대개 “나랏말씀이....”로 시작하는, 세종 이후 세조가 편찬한 《월인석보》에 실린 훈민정음 언해본의 서문 정도를 읽어보았을 뿐이다. 그러니 이 드라.. 2018. 10. 30.
이건범 대표, 불교방송(라디오) 녹음 현장과 방송 ● 때: 2018년 10월 1일(월) 낮 1시 30분 ● 곳: 불교방송(라디오) 16층 녹음실 ● 주제: 한글날 관련 된 내용 ● 방송일: 2018년 10월 9일 방송 방송 주소입니다. ☞ 방송듣기 바로가기 2018. 10. 17.
[누리방송5-29] 아리아리특강: 훈민정음 해례본(11) 정인지서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29회] ▶ 아리아리특강: 훈민정음 해례본(11) - 훈민정음 해례본의 정인지서 훈민정음학 대가 김슬옹 박사가 쉽게 풀어주는 훈민정음 해례본 특강.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알게된 세종의 한글 창제 정신과 과학적 원리를 찾아간다. 해례본을 우리말로 푼 언해본에 얽힌 사연과 조선 시대에 한글을 어떻게 대우했는지도 흥미롭다.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금요일: 아리아리 특강-김슬옹 교수의 월요일: 재밌게의 , 정.. 2018. 10. 15.
[누리방송5-28] 아리아리특강: 훈민정음 해례본(10) 합자해, 용자례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28회] ▶ 아리아리특강: 훈민정음 해례본(10) - 훈민정음 해례본의 합자해, 용자례 훈민정음학 대가 김슬옹 박사가 쉽게 풀어주는 훈민정음 해례본 특강.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알게된 세종의 한글 창제 정신과 과학적 원리를 찾아간다. 해례본을 우리말로 푼 언해본에 얽힌 사연과 조선 시대에 한글을 어떻게 대우했는지도 흥미롭다.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금요일: 아리아리 특강-김슬옹 교수의 월요일: 재밌게의.. 2018. 10. 12.
우리말 가꿈이 번개 춤사위 우리말 가꿈이 번개 춤사위가 신문에 났네요. ▲ 제572돌 한글날인 9일 오후 서울 경복궁 광화문 앞에서 열린 훈민정음 반포 재현행사에서 우리말 가꿈이들이 한글 사랑을 담은 번개 춤사위를 하고 있다. (출처: 서울=연합뉴스) 2018. 10. 11.
[보도자료] 국민 80% 한글 창제자 잘못 알아 국민 대부분이 한글 창제자 잘못 알고 있다. 겨우 17%만 “세종이 몸소 만들었다”고 알아 초중고 역사 교과서가 사실 왜곡, 국어 교과서와 달라 한글의 독창성, 과학성 부정하는 결과 빚어 ○ 55%가 집현전 학자들과 공동 창제로 여겨 우리 국민 가운데 한글을 세종대왕이 몸소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겨우 17%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에서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전국의 성인 남녀 1천 명을 상대로 한글 창제의 주역을 누구로 알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세종이 몸소 만들었다고 답한 사람은 17%에 그쳤다. 응답자 55.1%는 세종과 집현전 학자가 함께 만들었다고 답하였고, 세종은 지시만 하고 집현전 학자들이 만들었다고 아는 사람도 24.4%나 되었다. 3.5%는 잘 .. 2018. 10. 5.
한글 아리아리 688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88 2018년 10월 4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가시나 - 성기지 운영위원 경상도 지역에서는 여자아이를 낮추어 부를 때 ‘가시나’라고 말한다. 이 말의 표준말은 ‘계집아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시나’는 방언으로 밀려나 있다. 그러나 우리말의 나이를 따져보면, ‘계집아이’보다 ‘가시나’가 훨씬 오래 전부터 쓰이고 있는 말이다. 다만, 지금처럼 여자아이를 낮춰 부르던 말은 아니었다. ‘가시나’의 ‘가시’는 꽃을, ‘나’는 무리를 뜻하는 우리 옛말이다. ‘나’의 형태는 오늘날 ‘네’로 바뀌어서, 여전히 어떤 말 뒤에 붙어서 ‘그 사람이 속한 무리’라는 뜻을 보태주는 접미사로 쓰이고 있다. 가령 ‘철수네 집’이라고 하면.. 2018.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