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알기 쉬운 우리 새말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대통령 집무실 입구에서 아침마다

한글문화연대 2022. 8. 10. 13:46

단언컨대 요즘 우리 주변에서 가장 자주 듣게 되는 신종 외국어는 ‘도어스테핑’(doorstepping)이라 하겠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 이래 하루가 멀다 하고 각종 언론과 누리소통망 등의 공론장에 이 용어가 오르내리고 있다. 대통령이 ‘국민들과의 실시간 소통’을 표방하며 용산 집무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현안에 관련해 간단한 문답을 나누면서부터다. 그래서 ‘도어스테핑’이라는 용어는 곧 ‘취재원이 출근길에 기자들과 간단히 주고받는 문답/회견’을 일컫는 말처럼 알려졌다. 그런데 과연 이것이 정확한 뜻일까?

이 말을 사용하는 기자들이 이런 의문을 품고서 국립국어원에 문의했다고 한다. 과연 지금의 취재 형식을 이 말로 표현하는 것이 맞을까? 우리말로 순화한다면 어떤 표현이 적절할까. 이번 새말모임 회의에서는 이 ‘도어스테핑’을 우리말로 다듬어 보기로 했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도어스테핑’은 “기자들이 인터뷰하거나 사진을 찍기 위해 문 앞에서 누군가를 부르거나 기다리는 행위”를 뜻한다. 언론에 노출되기를 꺼리는 취재원을 상대로 기자들이 기습적으로, 혹은 어느 정도 공격적으로 취하는 행동이라 대개 부정적인 의미로 쓰인다. 우리 언론에서는 이를 속칭 ‘뻗치기’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부라사가리’(ぶらさがり·매달리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요즘 우리 사회에서 많이 쓰는 ‘도어스테핑’은 이와 거리가 있다. 행위의 주체가 ‘기자’가 아니라 ‘취재원’이다. 즉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취하는 언론과의 소통 방식을 가리킨다. 기사나 뉴스에서 쓴 예를 보더라도 “윤 대통령의 도어스테핑”, “윤 대통령, 도어스테핑 재개”라는 식으로 대통령을 주어로 삼아 쓴다. 원래 이 말이 비롯된 영어권에서 쓰는 용법과는 완전히 다르다. 그야말로 주객이 바뀌었다.

새말모임 위원들의 고민은 이 지점에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맥락에 비추어 볼 때 ‘출근길 문답’이 무난한 대체어일 듯싶었다. 하지만 이 말에 현재 우리 사회에서 쓰이는 쓰임새가 담기는 것이 ‘필요’할지 모르나, 대체어로서 그 조건은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원래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원뜻에 충실한 대체어를 찾아냈다. ‘문 앞 취재’가 그것이다. ‘취재’라는 단어에서 읽을 수 있듯 취재원보다는 기자를 행위의 주체로 놓은 표현이다. 이를 대체어 1순위로 올렸다.

그런데 ‘문 앞 취재’라는 표현으로는 사실 우리가 알고 있는 ‘용산 집무실 입구 풍경’을 떠올리기 어렵다. 무엇보다 취재원인 대통령이 보여 온 소통의 적극성을 잘 담고 있지 않은 표현이다. 그래서 취재원과 기자가 암묵적 합의로 질문과 대답을 적극적으로 주고받는 지금의 방식을 표현하기 위해 ‘약식 문답’을 2순위 대체어로 올렸다. ‘약식 (기자)회견’이라는 표현도 검토됐으나, ‘회견’이라는 형식은 사전에 계획적으로 기자들을 불러 모았다는 느낌이 있어 채택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출근길 문답’은 3위 후보로 내려갔다.

시민들의 의견은 달랐다. 지금의 쓰임새에 충실하게 ‘출근길 문답’을 대체어로서 가장 선호한 것(75.8%)으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뒤를 이어 ‘약식 문답’도 비슷한 선호도를 보였다. 반면 새말 위원들이 지지한 대체어 후보 ‘문 앞 취재’가 ‘적절하다’는 응답률은 1, 2위에 비해 선호도가 20% 포인트 가까이 낮았다.

여론조사 과정에서 ‘도어스테핑’이 영어권에서는 원래 어떤 의미로 사용되며, 그래서 현재 우리 사회의 쓰임새가 이와는 얼마나 다른지 일일이 설명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시민들은 원뜻과 무관하게 ‘가장 익숙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표현을 선택한 것인지 모른다.

그래서인지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하나의 외국어에 하나의 우리말 대체어를 제시하던 이전과 달리 ‘출근길 문답’과 ‘약식 문답’, 두 말을 대체어로 선정해 발표했다.

한편 ‘출근길 문답’이나 ‘약식 문답’으로 바꿔 부르기에는 너무 늦은 것 아닐까. 이미 우리 사회가 ‘도어스테핑’에 너무 많이 노출됐는데, 과연 대체어가 받아들여질까 의구심을 품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사실 매번 새말모임에서 고민하는 것도 이 부분이다.

그런데 이번 여론조사에서 뜻밖의 결과가 있었다. 언론에서는 거의 매일 ‘도어스테핑’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2000명의 응답자 중 ‘도어스테핑’이라는 단어를 “처음 들어 보았다”는 사람이 무려 44.7%나 됐다. 한 번 이상 들어 본 사람 중에서도 이를 ‘드물게’ 혹은 ‘매우 드물게’ 들어 보았다는 응답자가 66%였다. ‘말을 다듬기에는 이미 늦은 게 아닌가?’ 하고 염려할 때가 아니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여지가 아직 많이 남은 시점이었던 것이다.

특히 기자들이 먼저 이 용어의 쓰임새에 의구심을 가지고 국립국어원에 문의한 만큼 언론사에서 더 적극적으로 우리 새말 쓰기에 나서 줄 것을 기대해 본다.

※ 새말모임은 어려운 외래 새말이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말로 다듬어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국어, 언론, 통번역, 문학, 정보통신, 보건 등 여러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모임을 꾸리고 있다.

 

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809500176&wlog_tag3=daum

서울신문 [알기 쉬운 우리 새말]에 연재하고 있습니다.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대통령 집무실 입구에서 아침마다

김정희 / 한글문화연대 기획위원, 단언컨대 요즘 우리 주변에서 가장 자주 듣게 되는 신종 외국어는 ‘도어스테핑’(doorstepping)이라 하겠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 이래 하루가 멀다 하고 각종

www.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