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한글문화연대 누리집
검색하기

블로그 홈

한글문화연대 누리집

www.urimal.org/m

반갑습니다. 환영합니다.♥

구독자
6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한글문화연대에 의견 보내기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한겨레] ‘메이크업 아티스트’ 대신 ‘화장 예술가’ 어떤가요? - 2023.09.18 ‘피부타입 또는 컬러 트렌드를 고려하여 천연화장품을 개발하라.’지난 7월25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한국잡월드 청소년체험관의 ‘메이크업숍·화장품연구소’에 적힌 이날의 체험 임무(미션)다. 청소년체험관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학생들이 다양한 직업을 체험하고 자기 적성을 점검할 수 있도록 꾸려졌다. 메이크업숍·화장품연구소를 비롯해 44개 체험실이 있고 이곳에서 79개 직업 체험이 가능하다. (중략) 또 다른 미래직업 체험실인 ‘빅데이터랩’으로 향하니 ‘게임 관련 데이터의 수집부터 정제, 분석, 시각화까지 데이터 분석의 전 과정을 체험해볼 수 있는 곳’이란 안내문이 눈에 띄었다. 빅데이터랩에서 빅데이터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뜻하므로 ‘거대자료’로 풀어쓰면 좋겠다. 최근 다양한 곳에서..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9. 19.
  • [이데일리] 잘 쓰이는 대체어 이유 있다[반갑다 우리말] - 2023.08.31 블랙 아이스→도로 살얼음, 자동제세동기→심장충격기, 키스 앤드 라이드(K&R)→환승정차구역, 뱅크런→인출 폭주, 언택트→비대면 등. 국어 전문가들이 잘 다듬어진 순화어(대체어)로 꼽은 ‘쉬운 우리말’ 사례들이다. 도로 살얼음, 심장충격기, 비대면 같은 다듬은 말은 국민 생명, 안전과 연관된 만큼, 쉬운 우리말로 대체한 경우다. 실제 2020년 코로나19 초창기에 자주 쓰이던 ‘비말’은 신속한 대응 덕분에 ‘침방울’로 대체되어 방역에 대한 이해를 높여 마스크 쓰기 등의 수칙들이 더 잘 지켜질 수 있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략) 국어 전문가들은 “한동안 ‘스크린 도어’가 ‘안전문’으로 바뀌어 잘 쓰였으나, 최근 다시 자주 보이는 현상을 간과해선 안 된다”며 “원어의 함축적 맛을 살리지 못하거나 오히려 우리..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9. 6.
  • [아주경제]​ [우리말 쉽고 바르게-3]⑤ '파행(跛行)'의 원래 의미를 아시나요?...무심코 쓰는 우리 주변 차별어 - 2023.08.28 ‘잼버리 대회 파행(跛行).’ 최근 뉴스에 자주 등장한 말 중 하나가 바로 '파행(跛行)'이다. ‘절뚝거리며 걷는다’는 뜻인 파행은 일이나 계획 따위가 순조롭지 못하고 이상하게 진행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절름발이 파(跛)자를 썼다. 장애 차별어인 ‘절름발이 국회’라는 말은 많이 사라졌지만 파행은 아직도 빈번하게 사용된다. (중략) 이 대표는 “‘차별어 민감성’을 높이는 국어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차별어가 국어 교육과정에 반영됐으면 좋겠다. 교과서를 만들 때도 유의해야 할 부분”이라고 짚었다. 언어는 사회문제를 푸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신 교수는 “나이로 인간의 서열이 정해지면 토론이 되지 않아 세대 간 갈등이 심해질 수 있다”며 “친한 관계에서는 평어, 모르는 사이는 존댓말을 쓰자”고 주장..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9. 6.
  • [세계일보] ‘머그샷’은 ‘머그(컵,잔)’와 연관 있을까? [우리말 화수분] - 2023.08.26 이처럼 요즘 언론 보도에 ‘머그 샷(mug shot)’이란 말이 자주 등장한다. 특히 국내에서 최근 강력 범죄가 잇따르면서 해당 범죄자와 범죄 혐의자(피의자)의 신상을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와중에 머그 샷 제도를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여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런 기류와 별개로 머그 샷이란 용어를 낯설어하는 사람이 상당하다. 일상에서 많이 듣고 사용하는 ‘머그 컵’이나 ‘머그 잔’이란 말과 달리 머그 샷은 우리나라에 없는 제도라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략) 따라서 머그 샷은 우리말로 ‘범죄자나 피의자 (식별) 사진’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글문화연대에 따르면 2020년 ‘머그 샷’에 대한 국민 평균 이해도는 36%, 70세 이상은 12%에 그쳤다. 한편, 최..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9. 6.
  • [한겨레] “저는 커서 ‘커피전문가’ ‘패션연출가’가 되고 싶어요” - 2023.08.21 “나중에 어른이 돼서 어떤 직업을 갖고 싶니?”라는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는 학생들이 얼마나 될까? 자신의 꿈을 정확하게 그리지 못한 채 영어와 수학, 그리고 내신 성적 올리기에만 몰두하고 있는 아이들이 대부분인 게 지금의 현실이다. 자신의 미래를 분명하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막연하게 공부에만 열중하기보다 무엇에 관심이 있고 어떤 적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는 게 중요하다. (중략) 사칙연산 수학자’에서 사칙연산이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이용하여 하는 셈’을 말한다. ‘수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을 수학자라고 하는 만큼 중복 표현이므로 사칙연산을 붙이지 않아도 좋았을 것 같다. ‘도전 마에스트로’의 경우 마에스트로는 본디 음악의 거장, 대가에게 붙이는 이름으로 어떤 분야에서 최고의 ..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8. 23.
  • [오마이뉴스] 난독증 유발하는 로마자 약칭, 국민 71%가 우리말 약칭 사용 원해 - 2023.08.17 공공기관과 언론의 로마자 남용이 도를 넘는 가운데 암호 같은 로마자 약칭까지 범람해 시민들의 정보 소통과 정보 공유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 그래서 2023년 3월 10일, 한국기자협회, 방송기자연합회, 한국어문기자협회, 한글학회, 한글문화연대, 세종국어문화원, 국립국어원 등 언론 단체와 국어 단체가 '우리말약칭제안모임'을 만들었다. 이 모임을 주도한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는 "국제 조직의 영향이 커지면서 언론과 정부 공문서에서 국제 조직의 로마자 약칭이 빈번하게 사용되나 이를 국민들이 제대로 이해할 수 없어 소통의 걸림돌이 된다는 데에 심각성이 있습니다. 국제 조직의 온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부득이하게 줄여 불러야 할 때 로마자 약칭 대신 쓸 우리말 약칭을 만들어 권고하는 것이 약칭모임의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8. 23.
  • [오마이뉴스] '토마토'가 부산말로 이것? 한글사용 힘쓰는 이들을 만나다 - 2023.08.11 2005년 국어기본법 이후 2006년부터 부산시의 우리말글 문화를 지키는 데 앞장서고 있는 동아대 국어문화원을 지난 7월 19일 방문했다. 방학임에도 '부산말 사투리 사전' 편찬과 외부 강의 등 여러 사업 수행에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연구원들이 서울서 내려온 기자 덕에 모처럼 한데 모였다. 영어 상용도시화 꿈꾸는 부산시, 국어문화원 역할은 기자는 먼저 부산시의 영어 관련 정책에 관한 얘기를 물었다. 박형준 부산시장의 영어 상용도시 공약 정책은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회장 차재경),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 등 한글 관련 단체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힌 바 있고 문체부까지 나서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현재는 영어하기 편한 도시로 한발 물러선 상태다. (후략) 출처: https://omn.kr/2569t 이..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8. 14.
  • [한겨레] 쇼트폼 대신 ‘짧은 영상’으로…“기사에 쉬운 우리말 사용해요”-2023.08.08 한글문화연대가 올바른 우리말 사용을 위해 용어를 정리했다. 언론 보도에 자주 등장하는 외국어 용어 60개를 선정해 국어 전문가와 언론단체 등의 자문을 거쳐 우리말로 바꾼 것이다. 현장 기자 507명이 참여해 활용도를 높인 점이 눈에 띈다. 한글문화연대는 “보도에 자주 등장하는 100개 용어 중에서 현장에서 개선 가능한 60개를 최종 선정했다”며 “쉬운 우리말 기사가 언론이 국민에게 다가갈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다”고 8일 밝혔다. (후략) 출처: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103475.html 이 기사는 한겨레(2023.08.08.)에서 발행한 기사입니다. 쇼트폼 대신 ‘짧은 영상’으로…“기사에 쉬운 우리말 사용해요” “10..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8. 9.
  • [주간한국] [한글의 권리] 법무부의 '알기 쉬운 법률 용어' 4개 법률 개정안-2023.08.07 지난해 정부는 법무부 소관의 법률을 내용보다는 표현 위주로 살펴보고 어려운 법률 용어를 알기 쉽게 순화하는 취지의 법 개정을 추진했다. 이는 ▲등기특별회계법 ▲민사소송비용법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 ▲소액사건심판법 등 4개 법률이 그 대상이었다. 법무부는 이들 법률의 조문에서 어색한 표현을 하나하나 다듬어 각각 개정안을 제출했고 그해 1월 국무회의를 통과해 국회로 넘어갔다. 하지만 실제로 개정으로 이어진 것은 소액사건심판법 한 건에 그쳤고 다른 법안은 묻힌 채 국회에 무기한 계류돼 있다. (중략) 공공기관들은 관련 입법 개정이 지지부진할 경우 비교적 문턱이 낮은 행정지도를 통해 언어 순화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한글문화연대와 국어문화원 등과 협력해 건설현..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8. 7.
  • [비즈한국] '밀크 바오밥' '마이크로 바이옴'…외국어로 가득한 한국 화장품 표기-2023.08.01 ‘퍼펙트 스타일링 세럼 샴푸’, ‘퍼펙트 오리지널 세럼 컨디셔너’, ‘모이스춰 클리닉 샴푸’, ‘모이스처 버블 핸드워시’, ‘밀크 바오밥 바디워시’. 마트를 방문하면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두발용·목욕용 화장품 제품명들이다. 마땅히 대체할 어휘가 없는 샴푸, 컨디셔너, 바디워시 등을 제외하더라도 ‘퍼펙트’, ‘스타일링’, ‘오리지널’, ‘모이스처’ ‘버블’ 등의 외래어가 눈에 띈다. 제품 전면을 아예 영어로만 표기한 상품도 수두룩하다. 취재 결과, 관련 법령에 한글 제품명의 크기·위치 등에 대한 구체적인 단서가 없는 데다, 화장품 책임판매업체에서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략) 이러한 상황은 통계로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글문화연대가 서울, 경기 등 16개 지역에 거주하는 14..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8. 2.
  • [연합뉴스] [쉬운 우리말 쓰기] 이해하기 힘든 공공기관 보도자료-2023.07.30 '거버넌스', '뉴 노멀', '도슨트'. 보기만 해도 생소한 단어다. 모두 정부나 지자체, 기관에서 쓰는 보도자료에 표기된 외국어다. 보도자료는 기사화하기 전에 기자에게 전달되는 자료다. 쉽게 말해 홍보 담당자가 알기 쉽게 정리 요약한 형태로 작성한 글이다. 한글문화연대는 지난 2020년 정부 보도자료에 표기된 외국어를 국민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했다. '거버넌스'의 경우, 국민 평균 이해도는 15%에 그쳤고, 70세 이상 평균 이해도는 0%에 그쳤다. '뉴 노멀' 역시 이 단어에 대한 이해도는 국민 평균 20%, 70세 이상 평균 2%로 극히 낮았다. (중략) 한글문화연대는 중앙정부와 전국 17개 시도 지자체의 누리집에 올라온 올해 1분기 월별 보도자료를 수집해 분석했다. 중앙정부 기관의 경우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8. 1.
  • [한겨레] “다 읽은 책은 ‘북트럭’ 아닌 ‘책수레’에 놓아주세요”- 2023.07.24 (전략) 덕질은 외국어와 순우리말이 합쳐진 신조어로, 한 분야에 열중하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 ‘오타쿠’(オタク, 오타쿠→오덕후→오덕(덕후)→덕)에서 바뀐 ‘덕’과 행위를 뜻하는 ‘질’이 합쳐진 말이다. 국립국어원은 덕질을 ‘어떤 분야나 사람을 열성적으로 좋아하여 그와 관련된 것들을 모으거나 파고드는 일’로 설명했는데 덕질 대신 ‘애호, 애호하다, 애호가’ 등의 표현을 문맥에 맞게 쓰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언타이틀을 꿈꾸며’에서 언타이틀(Untitle)은 ‘제목없음’ ‘무제’를 뜻하는 외국어로, 한글문화연대 ‘쉬운 우리말 사전’에선 타이틀을 ‘제목’ ‘표제’ ‘직함’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고 밝혔다. (후략) 출처: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7. 25.
  • [뉴시스] 반도체·관광·쇼핑의 '메카'?…밸류체인은 '공급망' [우리말로 하자⑫] - 2023.07.22 "세계 최고의 반도체 메카가 되겠습니다." 정부가 지난 20일 경기 용인 등 7곳에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발표하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 같은 환영의 뜻을 밝혔다. (중략) '밸류체인(Value chain)'은 '가치 사슬', '공급망', '공급 체계'의 우리말로 순화할 수 있다. 원재료 조달부터 완제품의 최종 소비까지 재화와 서비스 및 정보의 흐름이 이뤄지는 연결망을 말한다. '국내에 완성형 밸류체인을 갖추고 있다'는 문장은 '국내에 완성형 공급망을 갖추고 있다'고 바꿔쓰면 더 쉽다. 이 단어는 한글문화연대의 2020년 외국어 국민 이해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19%, 70세 이상 평균 이해도 2%로 나타났다. 정부가 전방위로 강조하고 있는 수출전략과 관련해서도 '수출 플러스 달성',..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7. 25.
  • [단비뉴스] 오염된 공공언어를 우리말로 정화하다 - 2023.07.18 그는 오전 10시에 출근한다. 자리에 앉아 컴퓨터를 켜고, 전자우편함을 열어 메일을 확인한다. 며칠 전 경북 경산시 보건소에 보낸 메일에 대한 답변이 왔다. “귀 기관에서 제시한 의견에 동의하는바, 내부 의논을 거쳐 ‘맘 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에서 ‘맘 편한 임신 통합 서비스’로 사업명을 변경했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뒤이어 다른 공공기관의 답변도 확인한다. 메일을 모두 확인하고 나면 47개 중앙행정기관과 17개 지방 자치단체의 홈페이지에 올라온 보도자료를 살펴본다. 거기에서 잘못 쓰인 우리말을 찾는다. 다시 메일을 보낸다. (중략) 그는 평소에 말할 때도 외국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키오스크’는 ‘무인단말기’로, ‘엘리베이터’는 ‘승강기’로 바꿔 이야기한다. 한국어로 대체할 수 있는 외국어는..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7. 19.
  • [연합뉴스] "인천 영어통용도시, 실체 없는 정책"…한글단체 75곳 반발 - 2023.07.18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인천시의회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송도국제도시를 영어통용도시로 조성하는 사업을 계속 추진하자 한글단체들이 '실체 없는 정책'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한글단체 75곳과 인천 시민사회단체 53곳은 18일 인천경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인천경제자유구역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8천여명에 불과해 내국인 42만여명보다 훨씬 적다"며 "자국민들이 자유로운 영어 소통 능력을 갖추지 않는 한 영어통용도시가 될 수 없기에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인천경제청이 학원연합회와도 송도 영어통용도시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어 영어교육 지원 등의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며 "이는 경제청의 영역이 아닐뿐더러 사교육 바람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건범 한글..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7. 19.
  • [세계일보] 금리인상 ‘빅 스텝’, ‘베이비 스텝’ ?→‘대폭 조정’, ‘소폭 조정’으로 쓰면 안 될까요 [우리말 화수분] - 2023.07.14 (전략) 앞서 한글문화연대는 지난 5월 ㈜두루소통연구소와 함께 기자들을 대상으로 쉬운 우리말 기사 용어에 관한 설문 조사를 했다. 기자 507명을 대상으로 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100개 용어의 개선 필요성을 조사한 뒤, 국어 전문가와 언론단체, 현장 기자들의 자문을 거쳐 집중 개선 대상 외국어 용어 60개를 선정했다. 선정결과에 따르면, ‘보이스피싱’은 ‘전화금융사기’나 ‘전화사기’로, ‘디지털포렌식’은 ‘전자감식’이나 ‘디지털자료복원’, ‘디지털증거수집’으로 각각 다듬었다. ‘베이비 스텝’과 ‘빅 스텝’은 각각 ‘소폭조정’과 ‘대폭조정’으로, ‘스쿨 존’은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제시됐다. 이 밖에 ‘어닝서프라이즈’는 ‘실적급등’이나 ‘깜짝실적‘, 테이저건’은 ‘전기충격총’, ‘업사이클(링)’은 ‘새활용..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7. 17.
  • [시정일보] 특별기고/ 우리글의 수난을 보고만 있을 것인가? - 2023.07.14 (전략) 가게의 간판을 외국어로만 표기하는 것은 불법이다.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 제12조 2항은 “광고물의 문자는 원칙적으로 한글맞춤법,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및 외래어표기법 등에 맞추어 한글로 표시해야 하며, 외국 문자로 표시할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한글과 병기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반한 자에게는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왜 지켜지지 않은 걸까? 2019년 한글문화연대가 12개 자치구 7,252개 간판을 대상으로 한글 표기 실태를 조사한 결과, 외국어 간판은 1,704개로 23.5%를 차지했다. (후략) 출처: http://www.siju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8913 이 기사는 시정일보(2..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7. 17.
  • [한겨레] ‘백로가 놀던 돌’ 노들섬…여기에 펍, 미타임, 스퀘어 섞어야 할까-2023.07.10 (전략) 한강대교를 사이에 두고 서쪽 편으로 들어서 1층으로 내려가면 가장 먼저 노들오피스가 나온다. 노들섬 시설 소개 누리집(https://nodeul.org/)을 보면 ‘다양한 문화 산업을 생산하고 있는 업체들이 입주해 있는 업무공간’이란 설명이 있는데 ‘노들오피스’ 대신 ‘노들업무공간’ 혹은 ‘노들사무실’이라고 쓰면 어떨까? 노들오피스를 나와 잔디마당 쪽으로 향하자 다양한 식물로 둘러싸인 공간 안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노들라운지’가 나왔다. 한글문화연대 ‘쉬운 우리말 사전’에 따르면 라운지는 ‘맞이방’, ‘휴게실’로 쉽게 표현할 수 있다. 2층으로 올라가자 노들섬 입구 광장 ‘노들스퀘어’가 펼쳐졌다. 굳이 스퀘어란 표현을 쓸 필요 없이 우리말로 풀이한 ‘노들광장’이라고 쓰면 좋겠다. (후략)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7. 11.
  • [뉴시스] 새마을금고, 위기의 '뱅크런'?→'인출 폭주'[우리말로 하자⑩] - 2023.07.08 (전략) 한글문화연대가 2020년 진행한 공공언어 적합도 조사에서도 '우리말로 써야 한다'는 의견이 73.5%에 달했다. 이 외래어에 대한 국민 평균 이해도는 14%, 70세 이상 평균 이해도는 2%에 불과했다. 또 금융당국은 최근 은행권 과점 체제를 깨고 경쟁을 촉진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신규 경쟁자를 투입하겠다는 방침으로, 논의 초반엔 '스몰 라이선스', '챌린저 뱅크' 등의 도입도 거론됐다. '스몰 라이선스(Small license)'는 '소규모 인허가'로 사용할 수 있다. 행정상 인허가 단위를 세분화해 특정 업무에 대해서만 간소하게 인가를 받아 사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챌린저 뱅크(Challenger bank)'는 기존 체제에 '도전(챌린저)'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소규모 특화은행..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7. 10.
  • [여성신문] [쉬운 우리말 쓰기] 쉬운 우리말 지키기, 외국어에 밀려 찬 밥돼서는 안돼 - 2023.07.06 (전략) 한글문화연대의 누리집에서 쉬운 우리말 사전을 훑어보다가 “ 아. 이게 예전에 쓰던 우리말 이었지”, 하는 단어가 적지 않아 놀라기도 했다. 등등 분명히 우리가 쓰고 있던 말이 있었음에도 외국어와 외래어에 밀려 난 것들이다. (후략) 출처: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8112 이 기사는 여성신문(2023.07.06.)에서 발행한 기사입니다. [쉬운 우리말 쓰기] 쉬운 우리말 지키기, 외국어에 밀려 찬 밥돼서는 안돼 - 여성신문 몇 해 전 패브릭 랩(fabric wrap)과 시팅 쿠션(sitting cushion)논란으로 인터넷이 뜨거웠던 적이 있다. 패브릭 랩은 유명 인터넷서점이 서점 창립기념일에 맞춰 기념품으로 출시한 포..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7. 10.
  • [더팩트] 1년 만에 우리말 '해침꾼→지킴이'…서울시에 무슨 일이 - 2023.07.06 '페이지뷰→방문자수' '언택트→비대면' '버스킹→거리공연'. 서울시 민간 심의위원회인 국어바르게쓰기위원회가 순화한 용어들이다. (중략)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는 지난해 지방선거 전후 2개월간 광역자치단체의 보도자료에서 외국어 용어와 외국 글자가 얼마나 사용됐는지 분석했다.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 보도자료 비율이 가장 높은 광역자치단체는 부산이 75%로 1위였고 서울이 71.4%로 그 뒤를 이었다. 실제로 '서울뷰티먼스', '비욘드 조닝', '그레이트 선셋', '로컬브랜드' 등 시가 지난해 선보인 정책·사업 용어 중 과도한 영어 사용이 지적된 사례가 있었다. (중략)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도 "올 5, 6월부터 시 보도자료에서 외국어 남용이 줄었다"며 "문체부와 행안부의 지자체 공문서 평가 작업이 지자체들에..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7. 6.
  • [뉴시스] 교육계 뒤흔든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우리말로 하자⑨] - 2023.07.01 "지나치게 전문가와 공급자인 출제당국 입장에서 학생과 학부모 눈높이에 맞추지 못하고 킬러문항이 출제된 것에 깊은 반성의 말씀을 드린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달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사교육 경감대책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중략) '카르텔(Cartel)'은 동일 업종 기업이 경쟁의 제한 또는 완화를 목적으로 가격, 생산량 등에 관해 형성하는 독점 형태를 말한다. 독점적 이익을 위한 부당한 공동행위를 뜻하며 입찰 카르텔, 마약 카르텔, 병역비리 카르텔 등으로 쓰이고 있다. 이는 우리말로 '담합', '범죄 조직' 등으로 바꿔쓰도록 권고되고 있다. 한글문화연대가 2020년 실시한 공공언어 적합도 조사에서도 61.6%가 이 단어를 우리말을 쓰는 게 좋다고 응답했다. (후략) 출처: http..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7. 3.
  • [인천투데이] [단독] 인천경제청 영어통용도시 해외 출장··· “성과 없는 외유성” - 2023.06.29 인천경제자유구역청(청장 김진용)이 인천시의회의 부결과 근거 부족 지적에도 영어통용도시 추진을 강행하는 가운데, 이를 이유로 외유성출장을 다녀왔다는 비판이 나온다. (중략) 이와 관련 한글문화연대는 인천경제청이 추진하는 영어통용도시 정책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했고, 인천시의회와 인천시교육청은 영어통용도시가 실효성이 있냐는 비판을 하고 있다. (후략) 출처: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31716 이 기사는 인천투데이(2023.06.29.)에서 발행한 기사입니다. [단독] 인천경제청 영어통용도시 해외 출장··· “성과 없는 외유성” - 인천투데이 인천투데이=박규호 기자│인천경제자유구역청(청장 김진용)이 인천시의회의 부결과 근거 부족 지적..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7. 3.
  • [kbc광주방송] [인턴ING]"감성이냐 불편이냐" 외국어 간판..사실상 '위법' - 2023.06.27 (전략) 상표법에 따르면 특허청에 영어로 등록된 상표를 그대로 표시할 경우 외국어만 쓰인 간판을 걸 수 있습니다. '스타벅스', '버거킹', '아디다스' 등 영어로 상표권이 등록된 대형 프랜차이즈들은 영어 간판을 달아도 법적인 문제가 없다는 뜻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소상공인들에게만 한글 표기를 하지 않았다고 제지를 가하거나 상표권을 취득하라고 요구하기에는 형평성의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렇다 보니 우리말을 사용하자는 취지의 시행령이 사실상 실효성 없는 법령이 된 상황입니다.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외국어 사용은 어쩔 수 없는 일이라지만, 우리말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여전히 중요해 보입니다.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 등을 진행하는 시민단체 한글문화연대의 이건범 대표는 "투썸플레이스처럼 영어로 쓰인 간..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6. 28.
  • [국민일보] ‘보이스피싱’ 대신 ‘전화금융사기’로… 쉬운 우리말 60개 선정 - 2023.06.19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알기 쉬운 우리말로 기사를 쓰도록 언론에 장려하는 활동을 시작한다고 19일 밝혔다. (중략) 이건범 대표는 “대중적 언어문화의 주역인 기자들이 ‘쉬운 우리말 쓰기’의 주체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번 활동이 어려운 외국어 사용을 줄이고, 일상생활에서 쉬운 우리말이 널리 쓰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377388&code=61121111&cp=du 이 기사는 국민일보(2023.06.19.)에서 발행한 기사입니다. ‘보이스피싱’ 대신 ‘전화금융사기’로… 쉬운 우리말 60개 선정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알기 쉬운 우리말로 기사를 쓰도록 언론에 장..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6. 21.
  • [뉴시스] '원천 기술'→'딥테크' 이해도 18%…액셀러레이터는?[우리말로 하자⑦] - 2023.06.17 "한국 스타트업들이 굉장히 훌륭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특히 딥테크 기업에 관심이 많고 대화하고 싶습니다." 최근 한국을 찾은 '챗GPT의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중소벤처기업부가 개최한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중략) 한글문화연대가 실시한 외국어의 국민 이해도 조사(2020년)에 따르면 딥테크에 대한 국민 평균 이해도는 18%(100% 기준)에 그쳤다. '딥테크'는 '기저 기술', '원천 기술'의 우리말로 쓰면 된다. (후략)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614_0002338289&cID=10701&pID=10700 이 기사는 뉴시스(2023.06.19.)에서 발행한 기사입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6. 19.
  • [서울신문] “오마카세는 맡긴요리, 썸은 살짝연애”…다시 써보는 우리말 -2023.06.14 (전략)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홍보 관련 보도자료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에도 명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가 많다.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는 중앙정부와 전국 17개 시도 지자체의 누리집에 올라온 올해 1분기 월별 보도자료를 수집해 분석했다. 그 결과 외국어를 사용한 보도자료 수와 외국어 표현 남용 지수가 상승세를 보였다. 중앙정부 기관 외국어 사용 보도자료 비중은 지난 1월 43.2%에서 2월 49.9%, 3월 51.4%로 높아졌다. 이 기간 보도자료(단어 1000개 기준으로 환산)당 외국어 표현 개수도 각각 5.24개, 5.97개, 7.09개로 증가했다. (중략) 7일 한글문화연대는 507명의 기자가 참여한 쉬운 우리말 기사 용어에 관한 설문조사와 국어 전문가 및 언론단체의 자문 등을 거쳐 개선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6. 15.
  • [머니투데이] [투데이 窓]대중을 왕따시키는 과학기술 전문용어 - 2023.06.13 지하철역이나 공공장소에는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AED)가 비치돼 있다. 심장 기능이 정지되거나 호흡이 멈췄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 의료기기다. 예전에는 자동제세동기(自動除細動器)로 표시돼 있었다. 심장에 충격을 줘 심실세동을 제거하는 기구란 뜻이다. 하지만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라 제세동기 대신 심장충격기로 바꿨다. 우리 일상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용어가 많고 이중에는 과학기술 관련 용어가 많다. 이런 전문용어는 대중이 과학기술을 어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다. (중략) 어려운 전문용어는 대중을 왕따시키고 관심을 잃게 한다. 전문용어의 범람으로 대중과 점점 멀어지는 현실을 현행법도 분명히 인지한다. 국어기본법 제17조에는 '국가는 국민이 각 분야의..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6. 13.
  • [아주경제] [우리말 쉽고 바르게-3]① 페어링→맛조합, 오마카세→주방특선…어떤 게 더 듣기 좋나요-2023.06.09 # 1.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단어 중 우리말 아닌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외국어가 대부분이에요. 기자들에게 배포하는 보도자료도 마찬가지입니다. 심지어 쉽게 바꿔 쓸 수 있는 우리말이 있는데도 워낙 오랫동안 호텔업계 직원들이 사용해왔기에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꿔야 한다는 인식조차 하지 못하는 사례도 왕왕 발생합니다." -국내 5성급 호텔에서 근무하는 김모씨- # 2. "외국어도 그렇지만 최근 넘쳐 나는 신조어 등이 건강한 언어문화를 해친다는 것은 알겠으나 무조건 우리말로 바꿔 쓰려고만 하다 보니 무척 어색한 부분도 종종 눈에 띄더라고요. 최근 '웰빙(well-being)'을 우리말로 바꾸면 '참살이'라고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는 적잖이 당황했어요. 외국어를 '직역'한 수준으로만 보여서요." -국내..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6. 9.
  • [오마이뉴스] "불필요한 외국어 남용은 인권 침해다"- 2023.06.08 오마이뉴스는 세종 정신으로 공공언어 바로잡기 운동을 펴고 있는 세종국어문화원과 함께 우리 시대 를 연재한다. 공공언어 바로잡기에 애써온 단체와 우리말글 운동가들을 찾아 성과와 의미 등을 짚어본다. 6월 5일 서울시 마포구에 있는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을 찾았더니, 마침 이건범 원장은 연구원, 우리말 가꿈이 회원들과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팻말이 걸린 방에서 열띤 토론을 하고 있었다. 한글문화연대는 2000년에 김영명 교수, 방송인 정재환 등이 주축이 되어 세운 시민단체이며 현재 이건범 대표가 한글문화연대 대표와 부설 국어문화원 원장을 겸직하고 있다. '언어는 인권이다' 한글문화연대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에서 사용한 '큐레이션'을 바꿔 달라는 시민의 제안을 받아 박물관에 개선을 요청했는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감수 1 댓글수 2 2023. 6. 9.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