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뿌리 깊은 나무5

한글 아리아리 692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92 2018년 11월 1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외래어 적기에 관하여 - 성기지 운영위원 ‘창틀’을 뜻하는 영어 ‘sash’는 우리말에 들어와 이미 외래어로 굳어졌으며, 이 말의 바른 한글 표기는 ‘새시’이다. 건설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흔히 이 말을 ‘샤시’ 또는 ‘샷시’로 쓰고 있는데, 이는 일본말의 영향을 받은 잘못된 발음 습관에서 비롯한 것이다. ‘sash’는 본디의 발음이 [sæʃ]이므로, 이를 충실히 옮기면 ‘새쉬’로 적어야 하지만, 외래어를 적을 때에 ʃ[쉬]는 어말에서 ‘시’로 적는다는 외래어 표기 원칙에 따라 ‘새시’를 표준말로 삼았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튼튼한 새시→튼튼한 창틀”처럼 건설 현.. 2018. 11. 2.
다시 보는 ‘뿌리 깊은 나무 [한국방송작가협회-방송작가 2018년 10월호]에 실린 글 572돌 한글날을 맞아 드라마 를 다시 본다. 방영 당시엔 띄엄띄엄봐서, 우리가 아는 한글 창제 이야기에 ‘밀본’이라는 정도전 추종 세력의 도전을 ‘구라’로 엮어서 제법 그럴듯하게 만들었구나 하는 정도였다. 어느 사극이든 철저한 고증엔 한계가 있겠지만, 그래도 구할 수 있는 자료는 제법 열심히 찾아보고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우리 국민 가운데에는 세종이 한글을 반포할 때 한글 창제의 철학, 글자 모양과 음성의 관계를 상세하게 풀이하고 용례를 담아 펴낸 책 《훈민정음》 해례본을 본 사람이 많지 않다. 대개 “나랏말씀이....”로 시작하는, 세종 이후 세조가 편찬한 《월인석보》에 실린 훈민정음 언해본의 서문 정도를 읽어보았을 뿐이다. 그러니 이 드라.. 2018. 10. 30.
우리 해외여행 어디로 갈까?”…세종대왕이 웁니다.-이아령 기자 우리 해외여행 어디로 갈까?”…세종대왕이 웁니다. 한국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5기 이아령 기자 arleee@naver.com 세종대왕과 한글 창제를 다룬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를 보면 글을 읽지 못해 억울하게 이용당하고 죽어가는 백성들을 보여준다. 이렇듯 과거에는 글을 알지 못해 분노에 빠지는 일들이 다반사였다. 하지만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로 인해 글을 읽고 쓰지 못해 눈물짓고 억울한 일을 당하는 일은 많이 사라졌고, 우리는 더욱 쉽게 글을 읽고 쓸 수 있게 되었으며, 한글은 하나의 의사소통의 매개체로 자리 잡고 있다. 모든 백성이 평등하게 글을 이해하고 자기 생각을 펼치게 해주는 이 한글, 우리에게는 매우 고맙고 소중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세종대왕을 추모하고 기리는 이유도 이 때문일 것이다. 얼마.. 2018. 7. 2.
세종의 마음 이해하기 - 정희섭 기자 세종의 마음 이해하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정희섭 기자 jheesup3@naver.com 세종이 한글을 창제하고 반포할 15세기 당시 그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조선시대 기득권층(당시 양반 혹은 사대부)들은 백성들이 문자를 아는 것을 원치 않았다. 백성들이 당대 기득권층에서 통용되던 문자인 ‘한자’를 아는 것은 책을 포함한 모든 문자로 된 것을 읽을 줄 안다는 뜻이었다. 무언가를 읽을 줄 안다는 것은 책을 통해 사물이나 현상의 이치를 깨닫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의 불합리함과 공평하지 못한 부분을 백성들이 깨달을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하고 국가 권력에 대항할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그들은 생각했던 것이다. 2011년 24부작으로 제작되어 시청률 25.4%(닐슨코리아 제공)라는 .. 2016. 7. 27.
한글날 맞아 한글책꽂이 만들기 강의-임미선 모람 대구에 계신 한글문화연대 임미선 모람(회원)께서 한글날을 맞아 달성군 청소년센터에서 한글에 대한 강의와 책꽂이 만들기 강의를 하셨습니다. 강의하시면서 한글문화연대 소개도 해주셨다네요. 고맙습니다!^0^ 2014.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