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세종로 광화문광장에 건립을 추진 중인 ‘감사의 정원’ 조형물이 오는 11월 착공을 앞두고 ‘세종대왕 모욕’ 논란에 휘말렸다. 한글·문화단체 등은 “한글과 민주주의의 성지인 광장에 정치 목적의 조형물 건립은 부적절하다”며 조성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한글학회와 한글문화연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등 75개 한글 관련 단체는 23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화문광장에 남북 대결 의식을 조장하고, 세종대왕을 보잘것없이 깎아내리는 감사의 정원 사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감사의 정원은 유엔군의 한국전쟁(6.25) 참전을 기념하고, 희생 장병을 추모하기 위한 공간이다. 광화문을 바라봤을 때 현재 세종대왕 동상의 좌측 상부에 조성된다.
대표 조형물로는 일명 ‘받들어 총’이 건립된다. 오세훈 시장은 지난 7월 자신의 페이스북에 “(조형물은) 내년 5월 완공 예정이며 빛기둥이 하늘로 솟아오르는 ‘받들어총’ 형태로 만들어진다”고 소개했다. 조형물을 구성하는 23개 돌기둥의 높이는 6.25m이다.
한글학회 등은 “4·19혁명 당시 중앙청(광화문) 앞 시위에서 경찰의 발포로 시민 21명이 죽은 민주주의의 성지”라며 “‘받들어총’ 모양의 조형물을 세우는 것은 4·19에 대한 조롱이자, 민주주의의 성지인 광화문 광장의 역사를 왜곡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광장은 민족 문화의 자긍심이자 한류의 뿌리인 한글을 보석처럼 품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며 “이런 곳에 굳이 조형물을 세워 세종대왕의 빛이 바래게 할 까닭이 무엇인가”라고도 덧붙였다.
정원의 ‘위치’도 도마에 올랐다. 광화문광장 왼편에 있는 세종로공원 앞에는 한글 1만1172자를 담은 ‘글자마당’이 있고, 공원 안에는 ‘조선어학회 한말글 수호 기념탑’도 있다. 2014년 조성된 기념탑은 일제 강점기 한글 말살에 저항하다 희생된 이들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정원은 세종대왕 동상과 세종로공원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조형물 조성 후에는 광장 우측편에서 바라봤을 때 동상 뒤로 ‘받들어 총’ 빛기둥이 솟아오르는 형태가 된다.
리대로 한글학회 부설 한말글문화협회 대표는 “한류의 바탕인 한글과 세종대왕의 정신을 알려야 할 판에 세종대왕 동상과 한말글 수호 기념탑 사이에 담을 치는 형국”이라고 말했다.
차재경 세종대왕기념관 관장은 “진정 광화문광장을 세계인의 기억에 남기겠다면 전쟁 조형물이 아니라 우리 문화의 뿌리인 한글을 기리는 ‘한글탑’을 세움이 마땅하다”며 “조형물은 용산 전쟁기념관 혹은 삼각지에서 이태원으로 가는 길에 세우는 게 낫다”고 밝혔다.
한글학회 등은 “광화문광장은 대한민국 전체의 것”이라며 “이 사업은 오로지 오세훈 시장 개인의 상징을 만들고자 하는 정치적 야욕의 결과”라고도 했다. 이들 단체는 “6.25 참전국을 기억하자는 모든 사업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광화문광장을 사유화하는 행태를 반대하는 것”이라며 “마땅한 명분도 없고 국민의 공감대도 없는 정원 조성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 관계자는 “22개 참전국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우리도 없었다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고,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는 차원에서 국가상징공간인 광화문에 이런 내용을 담을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여론 수렴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대해 “지난해 9월 자체 여론조사도 하고, 시 의회도 시민 의식 조사를 하면서 결과적으로 찬성한다는 것으로 정리가 됐다”고 말했다.
[공공언어활동]
오세훈 시장 '감사의정원' 사업 반대 기자회견
(25.10.23)
서울시청 앞 국어 한글 단체 모여
'감사의정원' 사업 반대 기자회견 열어
10월 23일 목요일 이른 아침, 한글단체 75개가 모여 오세훈 시장의 광화문 광장 '감사의 정원' 조성 사업을 즉각 중단 요구하기 위해 서울 시청 앞에서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오세훈 시장은 한글의 성지이자 민주주의의 상징 공간인 광화문광장에 6.25 참전국을 기리는 '감사의 정원'을 만들려 하고 있다. '받을어 총' 모양의 이 시설 공간은 민주주의의 성지인 광화문 광장의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광화문 광장은 4.19 혁명이래 민주주의 성지이며 자랑스러운 한글을 보여주는 '글자마당'을 포함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오세훈 시장은 광화문 광장의 오랜 역사를 본인 개인의 상징으로 만들려는 행위를 즉각 중지해야 한다.
기자회견의 주관은 한글문화연대가 맡았고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가 기자회견을 진행하였다.
또한 해당 기자회견에는 한글 단체와 더불어 더물어민주당 서울시의원[박유진(은평3),유정희(관악4)]도 참여하여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마침]
2025만화표어공모전
10월 17일 금요일 오후 4시, 서울 한겨레 신문사 청암홀에서 토론회와 동시에 만화표어공모전 시상식을 열었습니다.
이번 공모전 시상식에는 부산, 대전에 사는 수상자 분들도 먼길을 달려 와주셔서 어느때보다 많은 수상자분이 참여한 행사였습니다.
지난 7월 18일부터 9월 18일까지 청소년,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2025년 바른 말 쉬운 말 고운 말 만화표어 공모전”은 <만화>,<표어>부문을 나눠 진행했습니다.
표어 부문에는 "한 글자 아끼다, 한 마음 잃습니다" 표어를 보내준 송이나 학생이 으뜸상을 받았고
만화 부문에는 "언어의 숲’과 ‘우리말 정령’이라는 참신한 설정을 볼 수 있었던 <언어의 숲> 작품을 그려낸 허보민 학생이 으뜸상을 받았습니다.
우리 말글의 소중한 가치를 알리기 위한 모든 표어와 만화 작품을 누리집에서 확인 할 수 있으니 아래 주소 혹은 아래 네모상자를 눌러서 확인해주세요!
공공기관이 사용하는 언어는 국민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된 소통 수단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행정기관이 써온 언어는 외국어, 한자어, 약어, 전문용어가 뒤섞여 있어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계속되어 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수년 전부터 개선 노력을 이어왔고, 국어책임관 제도나 언어 진단 사업처럼 제도화된 사례도 있다. 최근 공공기관에서 진행한 언어 개선 사례를 살펴보자. 대구광역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경기도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국민이 이해할 수 있는 행정 언어’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1. 대구광역시–쉬운 행정용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도입
대구광역시는 시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공공언어를 쓰기 위해 시스템 개선에 나섰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2025년 국어책임관 업무 우수기관’으로 뽑힌 대구시는, 시민과 더 잘 소통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 개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가운데 대표 사례는 대구시가 자체 개발한 ‘행정용어 검사 자동화 도구’다. 이 프로그램은 공무원이 보도자료나 공문서 같은 문서를 작성할 때, 어려운 한자어·외국어·전문용어를 자동으로 찾아내고 쉬운 말로 바꿀 수 있도록 제안해 준다. 현재 4,513개의 어려운 용어와 이에 대응하는 6,074개의 쉬운 말이 등록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