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통일부 누리집에 쓰여 있는 ‘홈페이지’, ‘사이트’, ‘사이트맵’이라는 외국어를 ‘누리집’이라는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누리집’은 ‘홈페이지’와 ‘사이트’를 대신하는 순우리말로 최근 어느 방송이든 코로나 예방접종 예약을 하거나 정보를 확인하려면 ‘코로나19 백신 및 예방접종 누리집’으로 가라고 안내하며 소상공인 방역지원금을 신청할 때에도 “안내 문자를 받은 소상공인은 전용 누리집인 ‘소상공인 방역지원금’에서 신청할 수 있다.”라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초등 교과서와 초등 용어 국어사전에서도 ‘누리집’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교육과 언론 등 여러 분야에서 바꾸는 추세입니다.
4. 실제로 2021년 3월 3일 ‘여성가족부’, 3월 4일 ‘문화재청’과 ‘강원도교육청’, 3월 10일 ‘통계청’, 3월 19일 ‘한국어촌어항공단’, ‘감사원’, ‘경기도교육청’, 3월 26일 ‘법제처’, 8월 11일 ‘행정안전부 정부 24’, 10월 20일 ‘질병관리청’, 12월 16일 ‘정읍시’에서 한글문화연대의 건의를 수용해 홈페이지와 사이트를 ‘누리집’으로 바꿨습니다.
5. 이에 대한 통일부의 의견을 2022년 1월 21일까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서예는 글씨를 붓으로 쓰는 예술로, 글의 아름다움을 담아낸다. 경기대학교 서예전공은 수도권 대학에 몇 없는 서예전공으로 서예 전반에 관한 이론과 실기를 배운다. 우리말의 가치를 붓으로 표현하는 서예 전공에서는 무슨 학문을 배우고 사회에 어떻게 진출하는지 알아보고 여러 가지 한글 서예 작품들도 전공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서예전공의 교육과정
서예전공은 전통실기와 이론교육 그리고 현대화된 응용서예를 배운다. 1학년 때는 ‘Fine Arts학부’라는 학부 수업을 듣다가 2학년 때 본격적으로 서예 수업을 듣는다. 실습 위주로 과정을 살펴보면 2학년 때는 주로 전서와 예서 그리고 한글 서예를 배운다. 3학년은 전각, 해서, 행서를 쓰는 실습을 거친다. 4학년에는 한문과 한글로 나누어 서예창작 실습을 한다. 전반적으로 한자와 한글 서체를 쓰는 방법들을 배우고 서예에 관한 배경지식을 알아간다. 서예전공 트랙제는 서예 교육의 자체 제작물을 개발하는 서예교육자양성트랙과 서예의 현대적 활용과 범위를 확장시키는 서예콘텐츠개발트랙이 있다. 트랙제는 일반 전공 내에서 특정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교육하는 체계를 말한다.
서예전공의 진로
서예전공은 사회로 어떻게 진출할까? 서예교육자, 캘리그라피디자이너, 서예비평가, 서예치료사 등으로 활동할 수 있다. 그중 독특한 사례로 이정화 서예가를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