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문화연대
2023. 12. 29. 09:30
한글 아리아리 958
2023년 12월 29일
|
2023년 12월 29일, 우리말 소식 📢
1. [마침] 우리말가꿈이 25기 마침마당
2. 새말을 소개합니다. 뷰잉 파티는 '단체 시청 행사'로
3.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늘그막'
4. 쉬운 우리말을 보고 듣자!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패션편 1]
5. 대학생 기자단 10기 기사 <힘들게 대학교에 왔는데 누리집 보는 것도 힘들다니...> - 박수진 기자
<한글문학, 현대인을 위로하다> - 이성민 기자
|
2023년 12월 16일 토요일 우리말가꿈이 25기 학생들은 마포문화원 4층 대강당에 모였습니다. 바로 마지막 단체 활동인 마침미당을 진행하기 위해서 인데요! 지금부터 마침마당 둘러보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중략)
2023년 9월 2일부터 12월 16일까지 쉼 없이 달려온 25기 가꿈이들에게...
이제 마지막이니까 말 놓고 얘기할게! 벌써 우리 만난 지 3개월이 지났고 마침 마당도 벌써 2주가 지났네! 다들 잘 지내고 있지? 한글과 우리말에 관련된 대외활동이라 긴장 많이 하고 면접 장소 왔는데 웬 양아치 같은 놈이 앉아 있어서 많이 당황했겠다 ㅎㅎ 너희들과 같이 활동하면서 좋아하지도 않는 술도 많이 마시고 다가가려고 많이 노력했어 ㅎㅎ 그래도 모꼬지도 가고 활동은 재밌었지? 다들 재밌었기를 바랄게! 너희들은 나를 금방 잊겠지만 나는 너희들과 함께했던 시간을 영원히 기억할 것 같아! 함께했던 추억 영원히 내 가슴 속에 묻어둘게! 내 새끼들!!!! 그동안 고생 많았어! 나는 너희들과 함께여서 정말 행복했어! 나에게 좋은 추억 선물해줘서 고마워!! 앞으로도 응원할게! 아리아리!! |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뷰잉 파티와 '단체 시청 행사'
|
특정 분야 애호가 집단에서 통용하는 말 중에 일반인들에겐 다소 낯선 용어들이 있다. 이번에 살펴볼 말 ‘뷰잉 파티(viewing party)’도 그런 표현에 속한다. ‘뷰잉 파티’의 뜻을 찾아보면 “한 공간에 여러 사람들이 모여 경기 중계 방송을 시청하고 응원하는 행사”라고 한다.
이런 의미라면 이미 우리가 익숙하게 써온 말이 있지 않은가. 축구나 야구 한일전이 열릴 때 친구나 동료끼리 대형 화면이 있는 맥주집에 모여 술 한 잔 하면서 즐기는 ‘단체 응원’ 혹은 ‘단체 시청’ 말이다. 이렇게 널리, 많이 쓰이는 말이 있는데도 굳이 ‘뷰잉 파티’라는 표현을 쓰는 사람들이 있을까 싶었다.
그런데 언론에서 어렵잖게 ‘뷰잉 파티’라는 말이 검색된다. 분야는 다소 좁게 한정되어 있다. 주로 이(e)스포츠에 많이 쓰이고, 해외에서 열리는 종합격투기, 프리미어 리그, 테니스 경기 등 일부 운동 경기에도 더러 쓰인다. 도대체 언제, 왜 ‘뷰잉 파티’란 말이 익숙한 우리말을 밀어내고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일까.
(계속) |
|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알면 알수록 유익한 우리말 비타민! 구독과 좋아요💜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영상💻
쉬운 우리말을 보고, 듣자! 💛음식편💛
|
🎤 알기 쉬운 우리 새말[패션편 1]
(2023. 12. 22.)
|
💌 대학생 기자단 기사 💌 젊은 감각으로 만나는 우리말, 한글 소식!
|
💬 힘들게 대학교에 왔는데 누리집 보는 것도 힘들다니...- 박수진 기자
|
 |
(출처: 명지대학교 누리집 대표 화면)
|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학교 누리집과 학교에서 제공하는 각종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한다. 처음 학교 누리집에 접속했을 때를 떠올려 보면 꽤 헤맸던 것 같다. 누리집에 있는 말이 뭐가 뭔지 하나도 몰라 선배들이나 대학생 전용 앱 ‘에브리타임’에서 알려주는 정보를 열심히 찾아본 기억이 있다. 대학생뿐만 아니라 누구나 어떤 누리집에 접속했을 때 ‘이게 뭐지?’ 하는 경험이 있을 것이다. 최근 대학교 누리집은 누군가 알려주기 전까지는 알기 힘든 영어 단어, 약자가 많다. 그 예를 명지대학교 누리집을 통해 살펴보자.
(계속)
|
💬 한글문학, 현대인을 위로하다 - 이성민 기자
|
 |
강원대학교 시 동아리 '시선' 제공
|
문학이란 무엇인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문학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이라 나온다. 한글로 쓰인 문학, 흔히 한국문학이라고 부르는 한글문학은 우리만의 정서와 사상이 깃든 한국 고유의 문학이다. 한글문학의 매력은 무엇일까? 강원대학교 문학동아리 두 곳을 취재해 어떻게 하면 우리가 한글문학에 더욱 친숙해질 수 있을지 알아보았다.
(계속)
|
모람이 되어
한글 사랑 함께 해요!
당신의 후원이 우리말을 지킵니다.
후원: KEB하나은행 294-910009-56304
한글문화연대 urimal@urimal.org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37길 46, 정우빌딩 303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