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문화연대
2023. 10. 20. 09:30
한글 아리아리 948
2023년 10월 20일
|
2023년 10월 20일, 우리말 소식 📢
1. [마침] 8~9일에 걸쳐 진행한 우리말가꿈이 한글 주간, 한글날 행사!
2. [마침] 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동아리 6주차 활동
3. 새말을 소개합니다. 리커머스는 '재거래'로
4. [행사] 한글날 맞이 외국어 대청소 작전
5.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펫'
6. 우리말 이야기 <피벗전략 #어려운말소개>
7. 대학생 기자단 10기 기사 <아파트 이름, 어쩌다 어려워졌나> - 이성민 기자
|
[마침] 8~9일에 걸쳐 진행한
우리말가꿈이 한글 주간, 한글날 행사!
|
우리말가꿈이 25기는 2023년 10월 8일~9일 한글날이 있는 주간에 한글박물관에서 '한글 주간 행사'를 시민 참여 행사로 진행했습니다. 아침에는 비가 와서 지도위원은 식은땀을 흘렸다고 하는데요.
다행히 이틀 모두 오후에는 맑은 날이 이어졌습니다! 그럼 우리말가꿈이 25기 한글 주간 행사! 한번 살펴볼까요?
(계속) |
|
[마침] 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동아리 6주차 활동
|
추석에 맛있는 음식으로 배를 든든하게 채우고며 5주 차는 푹 쉬고, 2023년 10월 7일 오후 2시, 한글박물관에서 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동아리 6주 차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활동은 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동아리의 마지막 활동이었는데요.. 577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박물관에서 열린 축제에서 '훈민정음 서문 탁본 행사'를 이끌어 보았답니다.
훈민정음 서문이 새겨져 있는 판에 먹물을 묻히고 종이에 찍어보는 행사였는데요. 능숙하게 손님들을 맞이하는 푸릉이(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동아리의 애칭)들의 모습에 깜짝 놀랐답니다!
(계속) |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리커머스와 '재거래'
|
쓰던 물건을 사고파는 중고 거래가 요즘 활발하다. 예전에도 책이나 음반처럼 형태와 내용물이 일정한 ‘정보 상품’의 중고품 거래가 제법 있었지만, 최근 소비자들이 거래하는 품목에는 의류, 생활용품, 전자기기까지 ‘없는 게 없을’ 정도다. 쓰레기를 줄이고 제품 수명을 연장해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정말 반가운 일이다. 다만 염려되는 점은 이 분야까지 불필요한 외국어가 스멀스멀 끼어들고 있다는 사실이다. 오늘 살펴볼 ‘리커머스(recommerce)’라는 단어가 그 예다.
‘리커머스’의 사전상 의미는 “기존에 사용하던 제품을 재거래하는 제품 판매 전략. 새로운 상품을 살 때 기존에 사용하던 제품을 반납하면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보상 판매와 일정 기간 후 새로운 상품으로 바꿔 주는 교환 판매를 통틀어 이르는 말”(<우리말샘>)이다.
이 말을 처음으로 우리나라에 소개한 <한국경제> 2011년 10월 자 기사에 따르면, ‘리커머스’는 영국의 한 기업 자문 업체가 만든 신조어로 “기업들이 경기 악화로 새 상품을 쉽게 구매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을 자극하기 위해” 그리고 “확산되는 기부문화와 보상판매를 연결시키기 위해” 도입한 주목받는 거래 방식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후 우리 언론에서도 심심찮게 쓰였다. “리커머스 시장 활성화에 따라 중고 거래 메신저 사업도 염두에 두고 있다. 약간의 수수료를 받고 물건을 전달해주는 게 골자다.”(<머니투데이> 2023년 2월)와 “리커머스 플랫폼은 ‘신상’ 상품과 신상의 ‘엔차 제품’을 함께 검색해 구입하는 20·30대를 중심으로 특히 인기가 높다.”(<헤럴드경제> 2022년 8월)
(계속) |
|
📌 '오마카세', '페어링'은
'주방 특선', '맛조합'으로
[행사] 한글날 맞이 외국어 대청소 작전
- 외국어 대청소 하자!
|
 |
▶ 기간: 2023년 9월 25일(월) ~ 10월 22일(일) -4주- - 1차 대청소: 2023년 9월 25일(월) ~ 10월 8일(일), 2주 - 2차 대청소: 2023년 10월 9일(월) ~ 10월 22일(일), 2주 ▶ 발표: - 1차 대청소: 2023년 10월 10일(화) - 2차 대청소: 2023년 10월 24일(화) - 참가상: 매주 화요일 (매주 발표, 총 3번 선발)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 '공지' 게시판에 공지합니다. *수상자에게는 개별 연락 드립니다. * 1주차는 공휴일로, 2주차에 함께 발표합니다.
▶ 참가 방법: 1. 공공기관에서 불필요하게 쓴 외국어를 찾는다. 2. 찾은 외국어 사진(혹은 화면갈무리(캡처))을 찍고, 인터넷 주소를 복사한다. 3.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www.plainkorean.kr) '바꿔주세요' 게시판에 올린다. *어디서 찾은 외국어인지 꼭 밝혀주세요. 4. 게시글에 전화번호를 남기면 응모 완료! |
|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알면 알수록 유익한 우리말 비타민! 구독과 좋아요💜
|
💬 우리말 이야기💬
<피벗전략 #어려운말소개>
|
 |
피벗은 농구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로 공을 들고 세 걸음 이상 걸으면 안 되는 규칙상 한 발을 중심축으로 해서 다양하게 움직이는 농구 기술을 의미합니다. 피벗은 몸의 중심축을 한 발에서 다른 발로 옮긴다는 뜻의 용어이며 또한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최근 경제용어로 자주 사용 중인 '피벗(pivot) 경영'은
기존 사업에서 배운 것을 활용해 다른 영역으로 진출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기존의 영역을 완전히 벗어나는 경영 전략은 꽤나 흔하지만 기존에 가지고 있는 것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색다른 전략으로 불립니다.
|
|
💌 대학생 기자단 기사 💌 젊은 감각으로 만나는 우리말, 한글 소식!
|
💬 아파트 이름, 어쩌다 어려워졌나
- 이성민 기자
|
시민의 70% 아파트 이름 어려워해 “저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빛가람대방엘리움로얄카운티 1차’에 살아요.”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이 아파트는 25자나 되는 긴 이름을 자랑한다. 해당 아파트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긴 이름을 가진 아파트’라는 별칭까지 붙었다. 이외에도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가람마을10단지동양엔파트월드메르디앙’이나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위치한 ‘인천소래논현구역C10블록에코메트로3차더타워’와 같이 한 번에 발음하기도 힘든 이름이 붙은 아파트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오죽하면 “아파트 이름을 어려워한 어르신의 ‘니미xx 아파트’로 가달라는 말을 이해한 택시 기사가 목적지에 제대로 데려다줬다.”라는 이야기까지 있을까.
(계속)
|
모람이 되어
한글 사랑 함께 해요!
당신의 후원이 우리말을 지킵니다.
후원: KEB하나은행 294-910009-56304
한글문화연대 urimal@urimal.org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37길 46, 정우빌딩 303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