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우리말가꿈이170

[마침] 우리말가꿈이 25기 오름마당과 모꼬지 2023년 9월 2일 토요일 아침 9시부터 9월 3일 일요일 아침 11시 30분까지 우리말가꿈이 25기 오름마당과 모꼬지를 진행했습니다. 서류와 대면 면접을 거쳐 '우리말가꿈이 25기'로 뽑힌 학생은 모두 62명입니다. 이번 오름마당은 충무로역에 근처 있는 하제의 숲 지하 1층 '공간하제'에서 진행되었습니다. 9월 2일 ~ 3일, 1박 2일 동안 진행된 오름마당과 모꼬지를 진행했었던 모습! 지금 확인해볼까요? 오름마당은 모꼬지를 가기 전 한글문화연대 대표 특강, 우리말가꿈이 다짐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첫 번째로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가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주제로 우리말글 기본 소양교육과 더불어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한글과 한국어(우리말)의 차이 등 우리말가꿈이라면 알아야 할 지식들을 알기 쉽게 설.. 2023. 9. 21.
우리말가꿈이 25기 모집 우리말가꿈이는 미래세대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 ​ ▣ 지원하기 https://forms.gle/WqP1x8ia6KtmQ3Xu7 매년 세종 나신 날(5.15), 한글날(10.9)에 광화문에서 시민 분들을 대상으로 우리말 사랑 행사를 진행합니다. ​ 우리말가꿈이는 단지 순우리말 혹은 토박이말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활동에만 그치지 않고, 우리말과 한글을 함부로 사용하여 다른 구성원을 차별하지는 않는지 살피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에게 쉽게 전달해야 할 공공언어에 낯선 외국어나 어려운 한자어가 가득한 건 아닌지 함께 고민합니다. 또한, 신문과 방송에서.. 2023. 7. 20.
[마침] 우리말가꿈이 24기 마침마당 2023년 7월 15일(토) 마포구 마포문화원 4층 대강당에서 우리말가꿈이 24기 활동 뽐내기 및 마침마당을 진행했습니다. 행사 1부에서는 우리말가꿈이 24기 약 60명의 학생이 올 3월부터 4개월동안 우리말과 한글 사랑 활동을 펼친 결과를 발표했고, 2부에서도 활동 결과를 발표하고 나서 마침보람과 수료증, 우수활동 가꿈이와 모둠을 시상했습니다. 우리말가꿈이 24기는 4년 만에 다시 모꼬지를 다녀왔고 5월 세종 나신 날 행사, 6월 전체 행사, 7월 마침마당까지 모두 대면으로 활동을 한 활기찬 기수였습니다. 그런 만큼 성과도 많았는데요 등산 별동대 활동으로 인왕산, 북악산, 남한산에 오르며 시민들에게 파이팅의 순우리말 '아리아리'를 알렸고 5월 15일은 세종 나신 날이라는 것과 우리말가꿈이를 알렸습니다... 2023. 7. 20.
[24기] 6월 단체 활동 마침 6월 17일 토요일 아침 9시 우리말가꿈이 24기는 6월 단체 활동을 위해 서울 경복궁에 모였습니다. 이번 단체 활동 주제는 바로 가꿈이, '세종대왕님 댁에 놀러가자!' 인데요 세종대왕님이 탄생하셨던 경복궁에서 장소를 유추하는 문제를 받고 해당 장소에 도착하면 놀이를 수행하고 다음 장소로 이동하는 친목 활동을 구성했습니다. 활동을 할 때에는 모둠 이름과 뜻이 적힌 팻말을 들고 다닙니다. 모든 장소에서 놀이를 수행하고 광화문까지 먼저 도착한 모둠 순서대로 상품을 수여하기로 했습니다. 다들 아리아리! 경복궁은 만 24세 이하면 무료 입장입니다! 만 24세가 넘어 결제한 사람은 지도위원을 포함해서 총 3명.... ㅜㅜㅜㅜㅜ 힘내요....!!!! 첫 번째 장소 놀이는 근정전에서 돌사자 사진 찍어오기 입니다! 다.. 2023. 6. 23.
[24기] 4년 만에 진행한 세종 나신 날 시민 참여 행사! 5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네 스승의 날로 다들 알고 계시죠..! 이날은 겨레의 스승 '세종대왕'이 탄생한 날이라서 스승의 날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우리말가꿈이는 626돌 세종 나신 날 시민 참여 행사를 준비했고 2023년 5월 13일 토요일 아침, 용산구에 있는 국립한글박물관 앞 광장은 천막과 책상, 의자가 설치되었습니다. 4년 만에 세종 나신 날 시민 참여 행사가 진행되었기 때문인데요. 우리말가꿈이 친구들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종 나신 날 행사엔 다채로운 활동들과 푸짐한 상품을 준비했습니다. 오랜만에 시민과 함께 하는 행사이기 때문에 준비 과정에서부터 단체 기획 '별하' 모둠은 많은 회의를 통해 활동을 준비했습니다. 세종 나신 날 활동은 총 5가지.. 2023. 6. 8.
[마침] 우리말가꿈이 24기 오름마당과 모꼬지 2023년 3월 4일 토요일 아침 10시부터 3월 5일 일요일 아침 10시 30분까지 우리말가꿈이 24기 오름마당과 모꼬지를 진행했습니다. 서류와 비대면 화상 면접을 거쳐 '우리말가꿈이 24기'로 뽑힌 학생은 모두 61명입니다. 거리두기도 폐지되고 새 학기 시작에 맞추어 4년만에 모꼬지를 떠났습니다. 총 참석 인원은 46명이었으며, 불참한 분들은 개인 사정, 감기 몸살 등으로 인한 이유들로 아쉬움을 자아냈습니다. 이번 오름마당은 광화문역에 있는 한글학회 지하 2층 대강당에서 진행되었습니다. 3월 4일 ~ 5일, 1박 2일 동안 진행된 오름마당과 모꼬지로 진행되는 강행군에도 열심히 자리를 지켜준 가꿈이들에게 고마움을 밝힙니다. 이번 오름마당 모꼬지를 가기 전 한글문화연대 대표 특강, 우리말가꿈이 다짐 순으.. 2023. 3. 20.
우리말가꿈이 24기 모집 우리말가꿈이는 미래세대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 ​ ▣ 지원하기 https://forms.gle/D8s3vZbx3YNo7ArP6 매년 세종 나신 날(5.15), 한글날(10.9)에 광화문에서 시민 분들을 대상으로 우리말 사랑 행사를 진행합니다. ​ 우리말가꿈이는 단지 순우리말 혹은 토박이말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활동에만 그치지 않고, 우리말과 한글을 함부로 사용하여 다른 구성원을 차별하지는 않는지 살피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에게 쉽게 전달해야 할 공공언어에 낯선 외국어나 어려운 한자어가 가득한 건 아닌지 함께 고민합니다. 또한, 신문과 방송에서.. 2023. 1. 25.
[마침] 우리말가꿈이 23기 마침마당 2023년 1월 7일 토요일, 오후 3시부터 오후 6시까지 청년문화공간주동교동 바실리오홀에서 우리말가꿈이 23기 활동 뽐내기 및 마침마당이 열렸습니다. 행사 1부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약 50명의 학생이 올 8월부터 5개월동안 우리말과 한글 사랑 활동을 펼친 결과를 발표했고, 2부에서는 마침보람(수료증)과 우수활동 가꿈이와 모둠을 시상했습니다. 우리말가꿈이 23기는 키스앤라이드 표지판 교체 요청 활동, 옥외광고물 시행령 개선안 연구, 2020년부터 멈췄던 한글날 시민 참여 행사, 방송, 패션, 미용 등 분야의 용어를 우리말로 다듬는 네모소식 제작 등 다채로운 활동을 펼쳤습니다. 으뜸으로 활동한 가꿈이에게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이 수여됐으며, 모둠상으로는 늘품, 너울가지, 늘찬 모둠상 등의 시상.. 2023. 1. 12.
[23기] 우리말가꿈이 11월 전체활동 (왁자지껄 우리말 대잔치) 2023년 11월 26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우리말가꿈이 23기끼리 첫 대면활동이 열렸습니다. 코로나 감염 등 개인 사정으로 참여하지 못한 가꿈이들이 많아 25명이 참여해 각자의 모둠원들과 함께 상크름 모둠에서 준비한 우리말 수수께끼, 훈민정음 윷놀이, 우리말 노래방 등 다양한 놀이를 즐겼습니다. 첫 번째로 상크름의 모둠장님과 총무인 안효원, 정서라 가꿈이의 사회로 시작된 는 우리말 수수께끼였습니다. 우리말로 된 수수께끼를 모둠별로 머리를 맞대 풀며 점수를 획득했는데요. 한국방송에서 방영하는 이 생각날 정도로 칠판을 꾸미고, 열심히 참여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다음으로는 우리말 윷놀이인데요. 품에 한 아름 가득 안을 정도의 크기인 윷을 던지고, 판에 적혀 있는 우리말 임무를 수행하.. 2023.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