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가꿈이184

뜨거움이 가득한 '세종나신날' 행사 - 23.05.15. 2023년 5월 15일, 제 626돌 세종대왕 탄신일을 기념하기 위해 5월 13일 토요일, 뜨거운 햇빛 아래서 세종나신날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우리말가꿈이24기, 대학생기자단10기가 참여한 이번 대규모 행사는 시민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활동들을 준비하여 세종대왕 탄신일을 시민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의 날로 만들었습니다. 뜨거운 햇빛뿐만 아니라, 한글문화연대 그리고 기자단과 가꿈이, 마지막으로 참여한 시민분들의 열기 또한 뜨거웠습니다. 한글문화연대는 이외에도 다양하고 뜻깊은 행사를 준비중입니다. 앞으로도 '한글'의 멋과 가치를 시민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한글문화연대에 대한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리겠습니다. 2023. 5. 18.
[우리말가꿈이 21기 - (주)붉다 협업 활동] 세계인한글글씨대회 최종 수상작 발표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575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문화연대에서 (주)붉다와 함께 를 열었습니다. 이 대회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글 글씨 쓰기' 공모를 통해, 으뜸상을 수상한 분에게 '개인 글꼴'을 만들어 특전으로 내걸었습니다. 우리말가꿈이 21기 별동대는 이 대회를 홍보하고, 누리소통망 관리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누리소통망과 외국인 공동체 대상) 1차 심사위원 평가와 2차 시민 투표 심사를 마친 후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으로 소통하고, 글꼴 제작 기간이 늘어나 2023년 5월 15일 세종 나신 날을 기념해 최종 선정된 2명의 글꼴을 배포합니다. 1. 으뜸상 - 사쿠라님(일본) -글꼴파일 2종 : ttf.zip / otf.zip -이미지 파일 6종 h.. 2023. 5. 16.
5월 13일(토),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세종나신날 행사가 있습니다. 5월 15일, 세종나신날을 기념하기 위해 한글문화연대에서 행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곳: 국립한글박물관[이촌역 2번 출구에서 300미터(m)] 때: 5월 13일(토) 오전 9:30 ~ 오후 4:30 (12:00 ~ 13:00시는 점심시간입니다.) 이번 행사는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가꿈이와 대학생 기자단이 함께하는 행사입니다. 많은 대학생과 함께하는 이번 행사는 한글박물관을 찾은 시민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활동이 준비돼있습니다. (세종대왕 의상 체험, 붓펜을 이용한 손글씨 체험, 구슬 공예 체험, 노래 수수께끼, 우리말과거시험 등..) 이외에도 많은 상품과 즐길 거리가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23. 5. 8.
우리말가꿈이 24기 모집 우리말가꿈이는 미래세대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 ​ ▣ 지원하기 https://forms.gle/D8s3vZbx3YNo7ArP6 매년 세종 나신 날(5.15), 한글날(10.9)에 광화문에서 시민 분들을 대상으로 우리말 사랑 행사를 진행합니다. ​ 우리말가꿈이는 단지 순우리말 혹은 토박이말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활동에만 그치지 않고, 우리말과 한글을 함부로 사용하여 다른 구성원을 차별하지는 않는지 살피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에게 쉽게 전달해야 할 공공언어에 낯선 외국어나 어려운 한자어가 가득한 건 아닌지 함께 고민합니다. 또한, 신문과 방송에서.. 2023. 1. 25.
[마침] 우리말가꿈이 23기 마침마당 2023년 1월 7일 토요일, 오후 3시부터 오후 6시까지 청년문화공간주동교동 바실리오홀에서 우리말가꿈이 23기 활동 뽐내기 및 마침마당이 열렸습니다. 행사 1부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약 50명의 학생이 올 8월부터 5개월동안 우리말과 한글 사랑 활동을 펼친 결과를 발표했고, 2부에서는 마침보람(수료증)과 우수활동 가꿈이와 모둠을 시상했습니다. 우리말가꿈이 23기는 키스앤라이드 표지판 교체 요청 활동, 옥외광고물 시행령 개선안 연구, 2020년부터 멈췄던 한글날 시민 참여 행사, 방송, 패션, 미용 등 분야의 용어를 우리말로 다듬는 네모소식 제작 등 다채로운 활동을 펼쳤습니다. 으뜸으로 활동한 가꿈이에게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이 수여됐으며, 모둠상으로는 늘품, 너울가지, 늘찬 모둠상 등의 시상.. 2023. 1. 12.
[23기] 우리말가꿈이 11월 전체활동 (왁자지껄 우리말 대잔치) 2023년 11월 26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우리말가꿈이 23기끼리 첫 대면활동이 열렸습니다. 코로나 감염 등 개인 사정으로 참여하지 못한 가꿈이들이 많아 25명이 참여해 각자의 모둠원들과 함께 상크름 모둠에서 준비한 우리말 수수께끼, 훈민정음 윷놀이, 우리말 노래방 등 다양한 놀이를 즐겼습니다. 첫 번째로 상크름의 모둠장님과 총무인 안효원, 정서라 가꿈이의 사회로 시작된 는 우리말 수수께끼였습니다. 우리말로 된 수수께끼를 모둠별로 머리를 맞대 풀며 점수를 획득했는데요. 한국방송에서 방영하는 이 생각날 정도로 칠판을 꾸미고, 열심히 참여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다음으로는 우리말 윷놀이인데요. 품에 한 아름 가득 안을 정도의 크기인 윷을 던지고, 판에 적혀 있는 우리말 임무를 수행하.. 2023. 1. 12.
[23기] 우리말가꿈이, 삼동역 앞 키스앤라이드를 바꾸다! Kiss&Ride는 자택에서 승용차를 타고 와서 대중교통 수단으로 환승하는 경우, 운전자는 내리지 않고 같이 타고 온 여행자(대중교통 이용자)만 환승을 위해 내리거나 대중교통 수단을 타고 온 여행자를 승용차에 태워서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정차하는 곳을 말합니다. 지난 2018년 국립국어원에서 '환승정차구역'으로 순화하였습니다.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삼동역 1번 출구 앞 진입로의 도로와 표지판, 동탄역 앞 도로에는 Kiss&Ride의 약자인 K&R이라는 외국어가 적혀 있습니다. 특히 '삼동역'의 K&R은 지난 2021년 10월 우리말가꿈이 21기에서 광주시에 건의해 2021년 11월 '환승정차구역'으로 개선을 약속받았으나 2022년 하반기가 되어서도 아직 K&R이 남아있었습니다. 우리말가꿈이 키스앤라이드 .. 2022. 12. 28.
[23기] 비가 와도 한글날 행사는 계속 된다! 2022년 10월 8일 토요일 아침, 용산구에 있는 국립한글박물관 앞 광장은 천막이 설치되었고,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3년 만에 한글날 대면 행사가 진행되었기 때문인데요. 우리말가꿈이는 8일, 9일 이틀간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한글날엔 다채로운 활동들과 푸짐한 상품을 준비했습니다. 오랜만에 시민과 함께 하는 행사이기 때문에 준비 과정에서부터 상크름 모둠의 피, 땀 눈물이 가득한 기획 회의가 새벽 늦게까지 계속 됐습니다. 한글날 활동은 총 6가지 천막으로 구성되었는데요. [우리말가꿈이], [공공언어, 우리말로 바꿔주세요], [압화 책갈피 만들기], [훈민정음 탁본 만들기], [우리말 수수께끼], [한글날 추억 남기기] 였습니다. 1. 우리말가꿈이 천막은 한글문화연대에서 만든 라는 한글 상식 책과 라.. 2022. 11. 4.
[22기] 마침마당 2022년 7월 16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우리말가꿈이 22기 마침마당이 열렸습니다. 시험기간 등으로 참석하지 못한 인원이 있어 총 참여인원은 54명이었습니다. 이번 마침마당 1부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약 80명의 학생이 8월부터 3개월동안 우리말과 한글 사랑 활동을 펼친 결과를 발표했고, 2부에서는 마침보람(수료증)과 우수활동 가꿈이와 모둠을 시상했습니다. 우리말가꿈이 22기는 키스앤라이드 표지판 교체 요청 활동, 차별어 등을 사용하지 않는 올바른 언어습관을 위한 네모소식(카드뉴스), 대중 투자로 시리얼컵, 엽서 만들기, 장애인 차별어를 사용하지 않는 공모전 참여 등 다채로운 활동을 펼쳤습니다. 으뜸으로 활동한 가꿈이에게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늘품 모둠상, 너울가지 모둠상, 늘찬 모.. 2022.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