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문화연대 소개11

2022년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 및 기부금 활용 실적 한글문화연대의 2022년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 및 기부금 활용실적 명세서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 공익법인 결산서류 공시 – 공시/공개 열람하기 –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 공시 – [한글문화연대]로 조회) 1.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 2.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주무관청: 문화체육관광부 www.mcst.go.kr/kor/main.jsp 2023. 4. 28.
2021년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 및 기부금 활용 실적 한글문화연대의 2021년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 및 기부금 활용실적 명세서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 공익법인 결산서류 공시 – 공시/공개 열람하기 –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 공시 – [한글문화연대]로 조회) 1.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 2.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주무관청: 문화체육관광부 www.mcst.go.kr/kor/main.jsp 2022. 5. 16.
2020년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 및 기부금 활용 실적 한글문화연대의 2020년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 및 기부금 활용실적 명세서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 공익법인 결산서류 공시 – 공시/공개 열람하기 –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 공시 – [한글문화연대]로 조회) 1. 공익법인 결산서류 등의 공시 2.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주무관청: 문화체육관광부 www.mcst.go.kr/kor/main.jsp 2021. 4. 30.
2019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2020. 9. 1.
한글문화연대 정관(2020년 개정) * 2020년 6월 29일 총회에서 정관 개정을 결의하여 2020년 7월 17일 문체부에서 승인을 받아 2020년 7월 28일 새로 등기를 마친 개정 정관이다. 정 관 제1장 총칙 제1조(명칭) 이 법인은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이하 “이 회”)라고 한다. 제2조(소재지) 이 회의 사무소는 서울특별시에 두며 필요한 곳에 분사무소(지부)를 둘 수 있다. 1. 지부의 요건은 회원 열 사람 이상이 있는 경우로 한다. 2. 지부의 회칙은 이 회에서 제정한 지부 준칙에 따라 지부가 따로 정하되,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제3조(목적) 이 회는 「민법」 제32조와 「문화체육관광부 및 문화재청 소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 제4조의 규정에 따라 설립된 법인으로서, 우리말을 가꾸고 한글을 지켜 .. 2020. 9. 1.
한글문화연대 소개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2000년부터 우리말글을 아름답게 가꾸고 우리 말글살이의 잘못된 점을 바꾸어, 세계화의 거센 물결에서 잃어가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찾고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독창적인 한글문화를 일구고자 활동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주소: (04157) 서울시 마포구 토정로37길 46, 정우빌딩 3층 303호(도화동) 전화: 02-780-5084 전송: 02-6082-8855 누리집: www.urimal.org 전자우편: urimal@urimal.org ■ 시민 운동 - 한글날 공휴일 지정 운동을 펼쳐 20년 만에 한글날을 공휴일로 다시 만들었습니다. - ‘스크린도어’를 ‘안전문’으로, ‘쿨비즈’를 ‘시원차림’으로 바꾸는 등 우리말이 아닌 외국어로 만들어진 공공언어를 누구나 알기 쉽게 쉬운 우.. 2013. 6. 28.
대표 인사말 안녕하세요. 한글문화연대 3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지난 12년 동안 우리 연대를 이끌어주신 김영명 대표님과 고경희 대표님의 진심을 이어받아 우리말글을 가꾸고 발전시키는 데 온 힘을 쏟겠습니다. 특히 국어는 곧 인권이라는 평소의 믿음대로 공공 언어 분야에서 어려운 말과 외국어를 남용하는 일이 줄어들고 쉬운 말을 사용하는 풍토가 자리 잡도록 국민의 힘을 모으는 데 앞장서겠습니다. 또한 모람님들이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벌여 한글문화연대를 운동의 즐거움과 보람을 함께 나누는 조직으로 만들겠습니다. 이 누리집은 한글문화연대의 활동과 생각이 모여 이루는 물줄기의 샘입니다. 아무쪼록 작은 힘을 더 큰 힘으로 만들 수 있도록 관심의 끈을 놓지 말아 주세요. 고맙습니다. ◈ 약력 ◈ 작가, 출판기획자 1965.. 2013. 6. 27.
한글문화연대를 움직이는 사람들 ◑ 상임대표 이건범 작가, 출판기획자, 시민운동가 서울고등법원 시민사법위원 저서 - 언어는 인권이다(2017, 피어나), 한자 신기루(2016, 피어나), 파산(2014, 피어나), 내 청춘의 감옥(2011, 상상너머), 미디어 몽구 사람을 향하다(2012, 상상너머), 좌우파사전(2010, 위즈덤하우스), 경제학자, 교육혁신을 말하다(2011, 창비), 더불어 행복한 민주공화국(2012, 후마니타스) 자세한 약력 보기 ◑ 공동대표 고경희 시인 한글문화연대 2대 대표 석금호 산돌커뮤니케이션 대표이사 정재환 방송인 ◑ 고문 강철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영명 한림대 정치학부 교수 한글문화연대 창립대표 박상배 전 공무원 이계진 18대 국회의원 전 한국방송공사 아나운서 ◑ 감사 남궁 현 김은숙 ◑ 운영위.. 2013. 6. 27.
한글문화연대가 걸어온 길 한글문화연대가 걸어온 길 보기 (* 열기를 누르세요.) 2016. 2. 22. 이사회 2016. 2. 22. 정기총회 ▒ 언어 공공성 지키기 1. 헌법재판소를 설득하여 한자혼용 주장을 물리치다 2. 초등 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싸움의 한복판에 서다. 3. 17개 행정부처 보도자료의 말글살이를 살피다. 4. 렛츠런파크 역을 없애다. 5. 역명심의 위원, 국어 바르게 쓰기 위원으로 활동하다. 6. 공공기관의 외욱어 남용을 꾸짖다. ▒ 한글 문화 가꾸기 1. 세종날과 한글날 시민과 함께 세종대왕께 꽃을 바치다. 2. 광화문 광장에서 한글옷이 날개를 펴다. 3. '한글사랑해' 신문을 만들어 뿌리다. 4. 우리말 사랑꾼과 해침꾼을 뽑다. 5. 제8회 쉬운말 고운 말 바른말 표어, 만화 공모전을 열다. ▒ 한글 문화.. 2013.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