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쉬운우리말쓰기운동2

한글 아리아리 798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798 2020년 11월 26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간여와 관여 - 성기지 운영위원 경상도 사투리 발음에서 첫소리에 오는 단모음 ‘으’는 잘 실현되지 않고 거의 ‘어’에 섞여든다. ‘응답하라’가 ‘엉답하라’로, ‘승리자’가 ‘성리자’로 들린다. 경상북도가 고향인 아내도 ‘느타리버섯’을 [너타리버섣]으로 발음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사람 이름도 자주 헷갈려서 ‘김 승철’이 ‘김 성철’로 둔갑하는 경우가 잦다. 이러한 발음 차이에서 영향을 받은 때문일까? ‘그저’와 ‘거저’의 쓰임도 자주 혼동된다. 우리는 농가 소득이 아무런 노력도 없이 “그저 증가하지는 않는다.”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그저’가 아니라, ‘거.. 2020. 11. 27.
[마침] <우리말을 지키는 외국어 수사대를 찾습니다!> 시상식 2020년 8월 6일(목) 한글문화연대 활짝에서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는 6월 10일부터 7월 20일까지 진행된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 행사입니다. 행사 기간에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꿔쓰고 싶다는 신청글이 무려 3426건이나 올라왔습니다. 시상식에는 으뜸 수사관 1명, 버금 수사관 2명, 보람 수사관 3명 총 6분이 참석해주셨습니다. 또한 한글문화연대 7기 대학생기자단 곽태훈 기자가 취재차 시상식에 참석했습니다. 식은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 이건범 대표의 한 마디, 상장 및 상품 수여, 행사 참여 소감 나누기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행사에 참여한 소감을 나누는 시간에는 참석해주신 수사관 님들의 다양한 생각을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공공기관이 이렇게 외국어를 많이 쓰고 있는.. 2020.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