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언론에 나온 우리

[한겨레]/[왜냐면] 어려운 언어가 코로나만큼 치명적인 이유 / 이건범

by 한글문화연대 2020. 3. 31.

[왜냐면] 어려운 언어가 코로나만큼 치명적인 이유 / 이건범


너무나도 많은 가짜 뉴스가 바이러스보다 더 빠르게 퍼지면서 전염된 공포가 우리를 괴롭혔다. 새로운 바이러스라 대처가 쉽지 않았고, 그런 탓에 좋든 싫든 엄청나게 많은 의학 지식과 정보를 접해야 했다. 그 와중에 ‘코호트 격리’ ‘드라이브스루 진료’ ‘팬데믹’ ‘인포데믹’처럼 일반 국민은 별로 들어본 적이 없는 말을 전문가와 방송 진행자, 기자들 덕에 알게 되었다. 알아들어야 생존에 도움이 되니 필사적으로 귀를 기울일밖에.


유심히 들은 사람이라면 이 말들이 언론에서 바뀌어갔다는 점을 알아챘을 것이다. ‘코호트 격리’는 ‘동일집단 격리’로, ‘드라이브스루 진료’는 ‘승차 진료’나 ‘자동차 이동형 진료’로, ‘팬데믹’은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포데믹’은 ‘악성 정보 확산’ 또는 ‘정보 전염병’ 따위로 말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 한글문화연대가 공공언어에서 쉬운 우리말을 써야 한다는 언어 인권의 정신으로 펼친 사업의 결과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런 노력에 대해 “지금이 말 같은 데에 신경 쓸 시국이냐?” “드라이브스루와 같이 쉬운 말을 왜 굳이 승차 진료라는 어색한 말로 고치라고 하느냐?” “이미 다 퍼진 다음에 뒷북치는 것 아니냐?”고 비판한다. 정말로 이 시국에 말을 이래 쓰나 저래 쓰나 그게 뭐 그리 중요할까?


중요하다. 이 무시무시한 전염병과 싸워 이기기 위해서는 되도록 쉽고 분명한 의미로 남녀노소 학력 구별 없이 모든 국민에게 위험과 대처법을 제대로 알려야 한다. “동일한 집단을 통째로 격리하는 코호트 격리” “차를 탄 채로 검진을 받는 드라이브스루 진료” 따위로 굳이 앞에 설명을 붙여가면서 영어 교육 시키듯이 말을 할 까닭이 없다. 시간과 정보의 낭비이며, 그렇지 않아도 바이러스의 공포에 시달리는 국민을 더 피곤하게 만든다.


어떤 이는 이런 외국어보다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한 우리말이 어색하다고 한다. 그러나 아침저녁으로 그 낯선 외국어를 몇날 며칠 듣다 보니 익숙해져서 그렇지, 그 외국어를 처음 들었을 때의 낯섦과 어려움이 어찌 우리말로 하는 것보다 덜하겠는가? 처음부터 전문가들과 언론에서 그런 외국어 대신 우리말을 썼다면 어땠을까 한번 상상해보라. 피로와 공포가 훨씬 덜했을 것이다.


2020년 1월에 한글문화연대가 의뢰하여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서 전국의 성인 남녀 1천명에게 ‘블랙 아이스’(도로 살얼음)와 같은 외국어 사용에 대해 의견을 물어보았다. 응답자 49%가 ‘안전용어는 반드시 우리말로 사용해야 한다’고 답했고, 17%가 ‘쉬운 영어 단어지만 뜻이 명확하지 않아 문제 있다’고 응답했다. 국민 66%가 안전에 관련된 용어에서 외국어를 사용하는 데에 부정적이었다.


위험한 용어의 과녁을 미리 정확하게 겨냥하여 알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공무원과 언론인, 전문가들이 전문용어나 특정 분야에서 쓰던 말을 국민 대중 앞에서 사용할 때에는 우리말로 마땅한 게 없는지 먼저 찾아보길 부탁한다. 특히 자신의 어머니가 알아들을 수 없을 거라고 의심이 드는 ‘의심 단어’가 있을 때는 반드시 인터넷에서 ‘쉬운 우리말 목록’을 찾아보길 권한다. 코로나바이러스만이 아니라 영어 낱말도 사회 취약층일수록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언어는 인권이다.


* 이 글은 2020년 03월 31일, 한겨레신문에 실린 기사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