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아리아리

한글 아리아리 482

by 한글문화연대 2014. 7. 31.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82
2014년 7월 31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내리비치]

   ◆ [누리방송]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5회-실용주의자는 희생을 모른다-김영명 교수(한림대)
   
◆ [우리말 이야기] 호치키스와 마사무네-성기지 학술위원
   
◆ [우리나라 좋은 나라] 다시 어머니 이야기-김영명 공동대표
   ◆ [알림] 우리말 가꿈이 7기 모집(~8/3/일)
   ◆ [알림] 안녕! 우리말 운동을 함께해주세요.

* '내리비치'는 한글문화연대가 '차례'를 갈음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 [누리방송]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5회-실용주의자는 희생을 모른다-김영명 교수(한림대)

한글문화연대는 우리말글을 주제로 여러가지 지식과 정보 등을 나누는 누리방송(팟캐스트) "그러니까 말이야"를 하고 있습니다.

■ 방송을 듣는 방법
- 인터넷: 팟빵 누리집에서 '그러니까 말이야'를 검색하세요.
- 전화기: 팟빵 앱 설치한 뒤 '그러니까 말이야'를 검색하세요.
* 팟빵 바로가기 http://www.podbbang.com/ch/7823


팟캐스트를 우리말로 바꾸면 ?

팟캐스트(podcast)라는 외국어를 인터넷녹음방송이라고 표현하다가 누리방송 이라는 말로 바꾸었다.

  ◆ [우리말 이야기] 호치키스와 마사무네-성기지 학술위원

사람이름이 마치 상품이름인 것처럼 널리 쓰이다가 그대로 굳어진 것들이 있다. 그 가운데서 ‘호치키스’와 ‘정종’은 지금이라도 바로잡을 수 있다.

‘호치키스’라 부르는 사무용품의 본래 이름은 ‘스테이플러’이다. 이 스테이플러를 발명한 미국사람 이름이 호치키스인데, 호치키스라는 사람이름이 상품이름처럼 알려져 있는 것이다. 스테이플러도 이미 예전에 우리말로 순화해서 쓰고 있다. 어떤 이들은 ‘박음쇠’라고 쓰기도 하지만,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찍개’로, 한글학회의 ‘우리말 큰사전’에는 ‘종이찍개’로 각각 순화해 놓았다.

‘정종’이라는 술의 본래 이름은 ‘청주’이다. 정종은 일본 무사 가문의 하나인 ‘마사무네(正宗)’를 우리식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 마사무네 집안에서 대대로 빚어 온 술이 상품화하면서 ‘마사무네’가 술 이름이 되었다. 이 술이 일제 때 우리나라에 들어와 우리식 한자음인 ‘정종’으로 불렸던 것인데, 어느 틈에 다른 청주까지도 모두 정종이라 부르게 되었다. 일본식으로 맑게 빚어 만든 술은 청주이다. 청주는 우리의 전통적인 맑은술과 비슷한 것이므로, 정종도 청주도 모두 ‘맑은술’로 부르면 된다.

  ◆ [우리나라 좋은 나라] 다시 어머니 이야기-김영명 공동대표

어머니가 집을 나와 병원과 요양원에 들어가신 지 세 해 하고도 반이 다 돼 간다. 모닥불은 다 꺼졌고 부지깽이로 재를 뒤적이면 남은 불씨가 가물거린다. 언제 돌아가실지 알 수 없다. 1년 뒤가 될지 한 달 뒤가 될지...

상태의 오르내림이 있기는 하나 점점 정신이 가물거려 간다. 몸은 오히려 살도 오르고, 얼굴이 좋아졌다 안 좋아졌다 하니 점점 나빠져 간다고 할 수는 없다. 그래도 물론 전체적으로 보면 점점 쇠약해져 가는 것이리라.

파킨슨 병이 있어서 병원에 처음 입원했을 때는 침대 위를 뱅뱅 돌 듯 하시더니 약을 계속 복용한 덕분인지 그런 증상은 진작 없어졌다. 처음에는 침대 밖으로 내려와서 기어 다니려고 하고, 벽장이나 찬장 위에 무엇이 있는지 자꾸 확인해 보자고 하였다. 치매 증상이었다.

치매라는 것이 가족들을 괴롭힌다고 하지만, 그것도 여러 종류가 있는 것 같다. 어머니는 위 증상 외에도 먹는 것을 밝히는 증상을 보였다. 우리만 보면 먹을 것 달라고 보채었다. 그러나 우리가 괴로울 정도는 아니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그런 증상도 없어졌다, 이제 치매 단계도 지난 것 같다. 거의 인지 능력이 없어졌다. 나를 알아보지 못하신다. 마지막으로 나보고 아들이라고 말 한 것이 몇 주 전인데, 그때도 오락가락 하다가 오랜 만에 알아보신 거였다. 앞으로 돌아가시기 전에 다시 한 번 나를 알아보실지 아닐지는 모르겠다.

쓰다 보니 독자들을 슬프게 만든 것 같은데, 나는 슬프지 않다. 그저 지나가는 인생 행로로 생각하고 자연 법칙을 충실히 이행하시는 어머니가 대견스럽다. 아들이 어머니에게 대견하다는 말을 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요양원에 가신 지 얼마 안 되었을 때는 특유의 친화력과 유머로 요양사 선생들을 곧잘 웃기기도 하셨건만, 이제 그런 단계는 다 지났다. 다른 사람한테는 몰라도 내가 어머니에게서 들을 수 있는 말은 이제 “몰라!” 밖에 없다.
   “엄마 내가 누구야?”
   퉁명스럽게
   “몰라!”
   “아들이지 아들, 아들도 몰라?”
   “몰라!”
아, 최근에 다른 말도 들었다.
   “엄마 밥 많이 먹었어요?” 했더니
   “주지도 않고 뭐라노?” 하셨다.
참, 아기 옹아리 하는 거 보고 좋아서 “여보, 여보 이리 와 봐요. 얘가 말을 해요!” 하는 것과 비슷하네.

실상 죽음을 앞둔 노인은 갓난아기와 흡사하다. 얼러야 하고 뉘어야 하고 기저귀 갈아야 하고. 말투도 아기에게 하는 것과 같아진다.

다른 점이라면, 아주 중요한 차이이지만, 아기는 귀엽고 노인은 귀엽지 않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어쩌랴, 그것이 인생이고 자연인 것을. 그래서 세상은 돌고 돌며 사람은 왔다 간다.

어머니가 나를 잘 알아보지 못하시고 대화도 안 되니 주말마다 가 뵈는 것이 이제 점점 시들해져서 두 주에 한 번씩 가기도 한다. 가봤자 별로 할 일도 없으니 말이다. 그저 상태를 확인하고 몇 마디 독백을 하는 것으로 그친다. 몸에 손대는 것도 싫어하시니 잘 만질 수도 없다.

그래도 이번 주말에는 또 요양원에 가리라.
   “엄마 나 왔소. 내가 누군지 알겠소?”
   “몰라!”

  ◆ [알림] 우리말 가꿈이 7기 모집(~8/3/일)

 

  ◆ [알림] 안녕! 우리말 운동을 함께해주세요.

안녕! 우리말"^-^
대한민국 구성원이 쉬운 말을 사용하며 원활하게 소통하고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품격있는 언어문화를 꽃피우기 위하여 많은 단체가 뜻을 모아 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을 만들었습니다. 한글문화연대는 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의 사무국을 맡아 언어문화개선 운동에 앞장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누리망을 통해 언어문화개선 운동을 많은 사람에게 퍼뜨리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참여해주세요. 고맙습니다.
■ 안녕! 우리말-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 누리집
http://www.urimal.kr/ 에서 안녕! 우리말 운동에 참여해주세요.
■ 안녕! 우리말-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
페이스북 페이지에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한글아리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아리아리 484  (0) 2014.08.14
한글 아리아리 483  (0) 2014.08.11
한글 아리아리 481  (0) 2014.07.24
한글 아리아리 480  (0) 2014.07.18
한글 아리아리 479  (0) 2014.07.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