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대학생기자단

시적 허용, 어디까지 가능할까? - 권나현 기자

by 한글문화연대 2022. 7. 21.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9기 권나현 기자

nahyunia@naver.com

 

문학 작품 안에서는 어법에 어긋나는 표현이 특별히 허용된다.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를 어긴 표현,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문장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표현 방법은 시()를 창작할 때 적용되기 때문에 시적 허용이라 부른다. 시의 운율을 살리고 시인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해, 시적인 효과를 강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오란 네 꽃잎이 필라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보다 국화옆에서, 서정주

 

이 시에서 노오란노란의 잘못된 표현이지만, ‘노오란이라는 표현이 시에 운율감을 더해준다. ‘노오란의 어감이 왠지 더 애틋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시적 허용은 시()뿐만 아니라 소설, 산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나타난다. 때문에 예술적 허용, 문학적 허용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오늘날엔 드라마나 영화 제목, 노래 가사 등 대중문화 작품에도 시적 허용이 적용된다. 이렇게 다양한 작품에서 시적 허용을 쓰는 이유는 작품에 예술적 효과를 더하고 인간의 감정과 정서를 섬세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다. 정해진 어휘와 한글 규범으로는 섬세한 감정을 담아내기 어렵지만, 시적 허용을 활용한다면 작가가 의도하는 바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시적 허용이 잘못된 언어문화를 조장한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앞서 말했듯, 시적 허용의 목적은 규정된 어휘로는 담아낼 수 없는 정서를 더 섬세하게 표현하고 예술적 효과를 더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시적 허용의 본래 목적에서 벗어나 다른 의도로 쓰이거나, 시적 허용이 과도하게 쓰이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는 껍데기만 시적 허용일뿐, 언어문화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엔 대중문화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신조어나 유행어 사용이 늘어나면서, 시적 허용의 옳고 그름을 판단해야 하는 경우 또한 많아졌다.

문학 작품 안에서는 어법에 어긋나는 표현이 특별히 허용된다.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를 어긴 표현,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문장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표현 방법은 시()를 창작할 때 적용되기 때문에 시적 허용이라 부른다. 시의 운율을 살리고 시인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해, 시적인 효과를 강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오란 네 꽃잎이 필라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보다 국화옆에서, 서정주

 

이 시에서 노오란노란의 잘못된 표현이지만, ‘노오란이라는 표현이 시에 운율감을 더해준다. ‘노오란의 어감이 왠지 더 애틋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시적 허용은 시()뿐만 아니라 소설, 산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나타난다. 때문에 예술적 허용, 문학적 허용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오늘날엔 드라마나 영화 제목, 노래 가사 등 대중문화 작품에도 시적 허용이 적용된다. 이렇게 다양한 작품에서 시적 허용을 쓰는 이유는 작품에 예술적 효과를 더하고 인간의 감정과 정서를 섬세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다. 정해진 어휘와 한글 규범으로는 섬세한 감정을 담아내기 어렵지만, 시적 허용을 활용한다면 작가가 의도하는 바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시적 허용이 잘못된 언어문화를 조장한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앞서 말했듯, 시적 허용의 목적은 규정된 어휘로는 담아낼 수 없는 정서를 더 섬세하게 표현하고 예술적 효과를 더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시적 허용의 본래 목적에서 벗어나 다른 의도로 쓰이거나, 시적 허용이 과도하게 쓰이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는 껍데기만 시적 허용일뿐, 언어문화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엔 대중문화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신조어나 유행어 사용이 늘어나면서, 시적 허용의 옳고 그름을 판단해야 하는 경우 또한 많아졌다.

 

사진 출처 - 동아일보

2012, 케이비에스(KBS) 드라마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차칸남자(이하 차칸남자’)>의 제목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었다. ‘착한을 발음 그대로 쓴 차칸이 맞춤법 표기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이에 국립국어원과 한글학회는 올바른 국어 사용을 해야 할 공영방송에서 맞춤법 표기에 어긋난 제목을 사용하는 것은 공영방송으로서의 책무를 저버린 것과 같다라며 개선을 요구했다. 이밖에도, ‘차칸이라는 표현이 주인공 이름 마루와 함께 협찬업체의 상호명을 연상시킨다는 지적도 있었다. 제작진은 차칸남자가 드라마 전개상 필요한 장치이고 드라마 이미지와 연관돼 있으니 시적 허용의 측면에서 이해해달라는 의견을 주장했으나, 결국 드라마 제목을 <착한남자>로 변경했다.

 

이 외에도 드라마, 영화, 예능에서 맞춤법 표기를 어긴 제목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지난해 방송된 엠비시(MBC) <방과후 설렘>은 첫 방송 전 방과후 설레임이라는 제목으로 홍보를 했지만, 이후 국문 표기법에 맞추어 설렘으로 변경한 바 있다. 반면, 티비엔(tvN) 드라마 <우와한 녀>와 영화 <반창꼬(2012)>는 한국어 파괴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글 맞춤법 표기에 어긋난 제목을 끝까지 고수했다. 작품 제목에 담긴 작가의 창작 의도는 보호받아야 하는 영역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대중문화는 막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만큼, 시적 허용이 자칫하면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사진 출처 - 멜론

영화, 드라마, 예능 작품의 제목뿐 아니라 대중가요 가사에도 한국어 파괴 논란이 적지 않다. ‘내꺼인 듯 내꺼 아닌 내꺼 같은 너 / 니꺼인 듯 니꺼 아닌 니꺼 같은 나’. 정기고와 소유의 곡, <>의 한 구절이다. ‘내꺼’, ‘니꺼내 것’, ‘네 것의 잘못된 표현이다. 노래를 부르기 쉽게 하고자 한 발음을 가사에도 그대로 적용했다. 이처럼 노래 가사는 시와 비슷한 형태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시적 허용을 무분별하게 적용하기 쉽다. 또한, 정해진 멜로디에 가사를 써넣다 보니 문법을 간과해버리기 십상이다. 하지만 대중가요의 가사는 사람들의 기억에 남기 쉽고 특히나 청소년의 언어 사용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노래 가사를 공식적으로 기재할 때만큼이라도 올바른 맞춤법으로 표기한다면 위와 같은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시적 허용은 예술 작품에서의 풍부한 표현을 위해 인정되는 특별한 도구이다. 덕분에 우리는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더 풍요롭고 아름다운 언어를 마주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 다양한 작품 속 시적 허용을 사이에 두고, 한국어 파괴가 우려된다는 관점과 창작자의 자유를 존중해야 한다는 관점이 첨예하게 대립한다. 창작의 자유와 우리말 파괴, 이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기란 쉽지 않다. 규정된 어휘, 바른 우리말만 사용한다면 예술 작품이 가지는 정서를 섬세하게 표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시대상을 묘사하거나 유행을 반영하지 못해 사람들의 공감을 얻기 어려워질 수도 있다. 따라서 언어 규범에 어긋난 표현의 허용 범위를 어디까지 둘 것인지에 대한 논의와 조율이 필요하다. 창작자의 노력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시적 허용을 적절히 쓰되 본래 목적을 벗어나거나 과도하게 쓰지 않아야 한다. 특히 오늘날의 대중문화 작품은 언어문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책임감을 갖고 시적 허용의 오남용을 더욱 경계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