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불교방송,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부활 어떻게 보십니까?

by 한글문화연대 2015. 4. 10.

불교방송 '양창욱의 아침저널'이라는 라디오에서 오늘(4월 10일) 아침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부활"에 대한 짧은 토론이 열렸습니다. 반대 토론자로는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가 나왔고 찬성 토론자로는 성균관대 중어중문학과 전광진 교수가 나왔습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했을 때 긍정적인 효과는 무엇인지, 지금처럼 중학교부터 배우면 되는데 왜 초등학교 3학년부터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 초등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했을 때의 긍정적인 효과는 무엇인가요?


 초등 교과서 병기 찬성: 첫 번째는 한자어 어휘력 향상으로 모든 과목 공부를 잘하게 합니다. 영어 지식은 영어 과목 성적을 올려주고 한자 지식은 모든 과목 성적을 올려줍니다. 두 번째는 학생들의 정직성을 길러주는 인성교육 효과가 있습니다. 한글 전용은 겉과 속이 다른 표리부동한 교과서입니다. 속은 한자어 성분인데 겉은, 겉포장은 한글로 돼 있기 때문에 그 속을 알 수 없고 그래서 겉과 속을 잘 알게 하는, 한자어를 한자어라고 인식할 수 있는 그런 정직한 교과서가 만들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 세 번째는 학생들로 하여금 생각을 많이 하게 하여 사고력과 창의력을 길러줍니다. 어떤 학생들은, 초등학생들은 공중화장실이 왜 땅에 있습니까?”, “여관 옆에 남관이 왜 없습니까?”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다 한자 지식이 부족해서 오는 문제들이죠.

 

초등 교과서 병기 반대: . 일단 첫 번째로는 아이들이 읽기에서 어떤 암초를 만나는 듯 한 느낌을 가질 수밖에 없겠죠. 그러니까 우리가 늘상 지금 인터넷이나 일반적인 신문, 문서 이런 것들을 읽을 때 한자 병기 안 하고도 다 사실 이해하고 우리가 평소 업무라든가 이런 걸 다 하거든요. 자기 일 잘 하고. 근데 아이들도 그동안 그렇게 한글로 된 교과서로 공부를 해왔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이제 한자가 들어가게 되는 거죠. 그러면 당연히 읽기에서부터, 교과서를 읽는 데서부터 집중도와 흥미가 떨어진다는 게 선생님들의 걱정입니다. 당연히 한자를 아는 애들은 그 한자를 보느라고 앞뒤를 가다가 놓치게 되고 한자를 모르는 애들은 그 모르는 거 때문에 그 앞뒤를 놓치게 되고. 그러면 읽다가 자기초의 어떤 숨이 끊기게 되는 거죠



▣ 왜 초등학교 3학년부터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해야 하나, 중학교부터 배우면 안 되나요?


등 교과서 병기 찬성: . 초등학교 3학년에 하는 이유는 대단히 큰 의미를 갖습니다. 많은 어휘에 노출되고 교과서도 두꺼워지고 그래서 어휘력 학습 부담이 가장 높아지는 게 3학년 때입니다. 학습 효과와 학습 부담이 높아지는 것입니다.그때부터 한자가 무지 많이 나오는데 여기에 대한 대응능력을 길러줘야 되지, 이때 기르지 않고 중학교 가서 한다고 하면은 암을 2, 3기 때 가서 나으려고 하는 거와 마찬가지입니다. 초기에 아무리 난치병이 어려운 암이라 하더라도 초기에 발견하게 되면 쉽게 나을 수 있지 않습니까? 이미 병은 초등학교에, 고통은 발생됐는데 그걸 중학교 때 가서 낫게 한다면 너무 늦지 않습니까? ...보면은 학생들이 자각 증세가 없어요. 암이 어려운 것도, 암이 난치병인 것도 초기 단계에서 자각 증세가 없기 때문에 그걸 암이라고 느끼지 못하는 건데 학생들은 사실은 공부에 암이 걸려있다고 보면은 뭐 틀림이 없습니다. 그래서 현명한 어머니들은 그 사실을 잘 알고 일찍이 잘 시키고 있습니다. 

 

초등 교과서 병기 반대: 그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낱말들이 많이 나오게 되는 거는 그저 아이들은 가만히 있는데, 아이들은 그 낱말을 받아들일 능력이 없는데 갑자기 낱말이 많이 나온다, 이렇게 생각하면은 그동안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을 설계했던 분들이 정말 엄청나게 멍청한 짓을 한 거 아닙니까? 그게 아니죠. 아이들의 발달이 초등학교 1,2학년에서 이미 그런 것을 받아들일 만한 수준에 갔기 때문에 3학년 때부터 그런 식으로 교과가 좀 더 분해, 나뉘어지고 그런 낱말들이, 어휘들이 나오게 된 거거든요. 그러니까 거기다가, 많이 나오는데 거기다가 한자까지 더 외워라는 식으로 가면 아이들은 정말 완전히 배탈이 나게 되죠. 저는 그래서 한자를 완전히 배우지 말자,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은 아니고요. 중학교 정도부터 우리가 사실 한자를 배우고 있습니다, 우리도 배워왔고. 고등학교 선생님들 얘기 들어보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이야기들을 하세요.


병기를 하기 시작하면 그걸 쓸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외워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그거를 쓰고 외워서 읽을 줄 모르면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그러면 그 뜻을 모른다고 여기게 되고 이런 식의 어떤 연쇄, 부정적인 어떤 연쇄효과가 생기게 되거든요. 어머니들은 당연히 그것을 걱정하시게 되고 그러면은 또 어린 시절부터 더, 사실 지금도 유치원생들을 끌고 가서 한자 급수 시험을 보게 하는 그런 곳들도 있습니다. 그 정도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인데 그것은 더 크게 사교육이나 선행학습이나 이런 것을 부추겨서 아이들의 학습 부담을 키운다는 게 또 아까 제가 말씀드렸던 초등학교 선생님들의 반대 의견입니다.



한자를 몰랐을 때 낱말 뜻을 알 수 없다, 이것은 억지라는 거죠. 예를 들면 이 방송을 들으시는 분들 중에서 치매라는 말을 모르시는 분들은 없을 거예요. 그쵸? 그러나 치매가 한자로 어떻게 쓰는 거다, 이거 아시는 분이 몇이나 되겠습니까? 사실 낱말의 뜻이라는 것은 우리가 그 낱말을 듣고 또는 읽고 그다음에 그 과정에서 또 풀이를 듣고, 그 풀이를 들으면은 그 낱말 뜻은 사실 어느 정도 다 알 수 있는 거고 자기가 그 말을 사용해가면서 또 책을 읽어가면서 이렇게 그 낱말의 뜻이 계속 확장되는 거거든요. 그저 한자 뜻풀이 정도로 주저하는 게 아니라는 거죠. 그런 점에서는 아이들의 체험활동과 또 대화와 독서, 이런 것들을 통해서 낱말 뜻을 확보해가는 초등학생 과정의 국어 교육이나 나머지 교육을 그냥 한자를 계속 가르치는 데에만 시간을 써야 하는, 수업 진행이 안 될 테니까 계속 한자만 가르쳐야 된단 말이죠, 그렇게 되면. 그런 점 때문에 오히려 낱말 교육에서도 사실은 문제가 있는 거고 초등교육 전반에서도 저는 문제가 생길 거라고 봅니다.<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