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043 [공문답변] 공문에 대한 공공기관의 답변을 받았습니다. 총 48건 (21.05.14.~21.07.30)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에서 시민들의 제보를 받아 공공기관에 보낸 공문에 대해 2021년 5월 14일부터 2021년 7월 30일까지 총 48건의 답변을 받았습니다. 답변은 표현 변경, 일부 변경, 추후 반영, 변경 불가, 검토 중이라는 다섯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습니다. 우리말로 변경한다는 답변이 18건, 보낸 단어 중 일부만 변경하겠다는 답변이 15건, 추후에 반영하겠다는 답변이 4건으로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에 긍정적인 답변이 더 많았습니다. 그 외에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답변 8건과 검토 중이라는 답변은 3건을 받았습니다. 변경이 불가하거나 검토 중이라고 답한 기관은 그 이유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외국어임, 한글로는 해당 용어를 설명하기에 부족함, 한국어가 오히려 익숙하지 않음 등의 이유를 들.. 2021. 8. 4. 왜 사투리를 쓰면 안 되나요? - 김규리 기자 왜 사투리를 쓰면 안 되나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8기 김규리 기자 kyu0814ri@naver.com 우리는 글을 쓸 때에 표준어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초·중·고등학교의 교과용 도서 편찬과 공문서 작성 시 표준어 사용을 준수하도록 한다’는 규정에 따라 공문서에도, 교과서에도 사투리 표현은 찾아볼 수 없다. 언어유희를 위해 광고 등에서 사투리를 사용한 경우, 문학 작품이나 드라마, 영화에서 지역색을 살리기 위해 일부러 사투리를 강조해 표현하는 경우 등 일부를 제외하면 수도권 지역에 사는 사람은 방언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다. 언젠가부터 우리 국민들은 주변에서 사투리가 사라지고 표준어가 주로 사용되는 것에 익숙해졌다. 국가적으로 표준어를 더욱 장려하며 공적인 일에 표준어를 사용하는 것을.. 2021. 8. 4. 대학의 목소리, 대학 교내 방송국의 이야기를 들어보다 - 원지혜 기자 대학의 목소리, 대학 교내 방송국의 이야기를 들어보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8기 원지혜 기자 ygn08063@naver.com 저번 달 ‘코로나 19 속 대학 방송국이 살아남는 법’이라는 제목으로 대학 방송국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이번 달에는 방송국에 소속되어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들으며 대학 방송국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 방송국(경희대학교 기준)은 크게 보도기자, 아나운서, 피디, 엔지니어로 구분된다. 각 부서에 소속되어 있는 4명과 이야기 나누어 보았다. 각 부서마다 무슨 일을 하나? -보도기자(이하 기자): 일단 우리 부서에서는 교내외 다양한 곳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직접 발로 뛰어 취재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상, 오디오 방송을 진행한다. 시사를 위주로 다루며 보도부는 .. 2021. 8.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