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대학생기자단

<복수 표준어>의 탄생… 그동안 우리가 궁금했던 이야기 - 조수현 기자

by 한글문화연대 2017. 2. 9.

<복수 표준어>의 탄생… 그동안 우리가 궁금했던 이야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조수현 기자 aumi32@naver.com 

표준어는 한 나라에서 공용어로 쓰는 규범으로서의 언어를 일컫는 말로, 의사소통의 불편을 덜기 위하여 전 국민이 공통으로 쓸 공용어의 자격을 부여받은 말을 뜻한다. 이 말은 쉽게 말해 전 국민이 의사소통을 쉽게 하려고 공통으로 쓸 말을 원칙을 세워 정한 말이라는 뜻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표준을 삼은 말이 표준어이며 표준이 되지 않는 말도 있으며 이를 구분하면 비표준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인의 언어생활에서 표준어와 비표준어를 정확하게 구별해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표준어보다 비표준어가 많이 사용되기도 하며, 말을 하고 쓰는 동안에도 이 말이 표준어인지 비표준어인지도 모르거나 헷갈리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생활에서 무척 많이 사용하는 말인데 표준어가 아닌 경우는 더욱 헷갈리게 한다. “왜?”라는 의문도 들기도 한다. 분명히 두루 쓰는 말인데 표준어가 아니고 낯선 표현이 표준어로 정해져 있는 경우가 특히 그렇다. 그렇다면 표준어는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을 바꿀 수 없는 걸까?

 

사회가 빠르게 변하고 새로운 개념과 사물이 생기고 새로운 표현이 생겨나는 속도가 빨라졌다. 거기에 따라 말로 표현하는 방식에 조금씩 변화가 생기다 보니 예전의 표준어로는 부족함 점이 생기게 된다. 이럴 때 표준어에도 변화가 생긴다. 표준이 되는 말이 1개가 아닌 2개 이상이 되는 복수 표준어가 생기고 새로운 표준어가 지정되기도 한다. 이 복수 표준어는 언제 생겼으며 어떻게 지정되는지 과정을 알아보자.

2016년 12월 27일 국립국어원(원장 송철의)은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6개의 어휘를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는 내용의 ‘2016년 표준어 추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러한 국립국어원의 복수 표준어 발표는 2011년 최초로 이루어진 후, 2012년, 2014년, 2015년, 2016년까지 이어져 왔다. 복수 표준어 확대는 ‘법’처럼 여기던 어문규정을 바꾸는 시도이기 때문에 우려하는 목소리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국민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안인 만큼 국어규범정비위원회, 국어심의회 등 여러 단계의 전문가 자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되고 있으며, 이번에 추가된 복수 표준어는 올해 1월 1일부터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반영되고 있다.

▲ 2016년 새로 추가된 표준어

◆ 2011년 <복수 표준어>의 탄생

바야흐로 2011년 8월, 국민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그동안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았던 '짜장면'과 ‘먹거리’ 등 비표준어 39개를 ‘복수 표준어’로 인정했다. ‘맨날’과 ‘만날’, ‘복숭아뼈’와 ‘복사뼈’, ‘허접쓰레기’와 ‘허섭스레기’ 등이 여기에 포함됐다. 결과가 알려지자 한쪽에서는 비판적인 시선을 숨기지 않았다. 어떤 일간지에는 비판적인 글이 실렸고, 어문규정을 함부로 허물고 있다는 항의 전화도 많았다.

그렇다면 2011년 갑자기 국립국어원에서 이러한 결정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2011월 11월 8일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안 연구실에서 이루어진 차익종(서울대학교 강사)씨와 남기심(전 국어심의회 위원장, 연세대학교 명예 교수)씨의 인터뷰에 따르면, 복수 표준어를 확대한 사정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다.

 

◆ 복수 표준어 확대는 언중의 소통을 위한 것

1933년 조선어 학회에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정하고 그에 따라 1936년에 표준어를 정해 발표한 일이 표준어를 정한 최초의 일이다. 언중의 소통을 강화하자는 취지에서 표준어를 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같은 사물을 가리키는 말이라도 ‘옥수수’도 있고 ‘강냉이’도 있는 것처럼, 당시 조선은 지역에 따라 방언이 매우 다양했다. 거기다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소통의 혼란은 더욱 가중됐다. 

하나의 표준어를 정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말의 형태나 신조어가 나오면서 현실과 맞지 않게 되는 일도 많았기 때문이다.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발표한 이후 다시 표준어 규정을 덧붙이거나 고친 것이 그 후로 시간이 꽤 흐른 뒤인 1989년인 것도 이러한 이유이다.

 

시간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언어습관은 변화한다. 어문규정이 실제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생활에서 너무 동떨어져 있어도 문제이지만, 너무 자주 바뀌는 일도 어문규정의 권위를 훼손할 수 있다. 표준어 규정을 바꾸거나 추가하는 일이 매우 신중히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이다.
  이러한 고민에서 나온 것이 <복수 표준어>의 확대였다. 일상생활에서 쉽고 편하게 쓸 수 있는 국어를 가꾸겠다는 취지이며, 인터넷과 실생활에서의 사용 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언어 현실과 어문규정 사이의 괴리를 줄이겠다는 시도였다. 즉 국민의 원활한 언어소통을 위해 필요한 일이라는 것이다.

 

◆ 복수 표준어 확대 심의 과정
기자가 국립국어원 국어생활종합상담실(1599-9979)과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복수 표준어 확대 심의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과정을 조사했다. 복수 표준어 확대는 따로 설문조사형식의 국민 조사를 거치지는 않는다.

국립국어원 홈페이지(국민상담실과 국민신문고) 민원절차로 수집된 자료와 국어생활종합상담실(1599-9979)의 전화민원 자료를 중심으로 표준국어대사전 정보보안심의회가 여러 단계의 논의한 끝에 심의할 단어를 선정한다. 표준국어대사전 정보보안심의회 내에서도 서로 충돌하는 의견이 생기는 경우, 논의되고 있는 비표준어가 복수 표준어로 인정될 수 있을지 국어 심의회를 열고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한다고 한다.

 

내부심의 이후 따로 국민과 소통하는 과정 없이, 국립국어원의 일방적인 결과발표로 이어진다.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여러 단계의 심의를 거쳐 이루어진다고는 하나, 정작 국민들과 직접 소통하는 과정이 없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과의 대대적인 소통이 필요하다고 본다. 00을 복수 표준어 확대로 인정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 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한다면, 발표 이후에도 화합과 소통의 분위기를 좀 더 증진할 수 있지 않을까? 복수 표준어 확대에 대해 아직 눈살을 찌푸리는 사람들은 어쩌면 투명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내부적으로만 심의를 거쳐 공개하는 국립국어원의 행동을 아쉽게 생각하는 것은 아닐까 기자는 생각해 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