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이나 미용실 등에서 흔히 사용하는 “~하실게요.” 말투가 ‘손님은 왕’이라는 고객만족 경영 논리의 극단적인 병폐를 담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습니다. “들어오실게요.”와 같은 말은 문법에도 맞지 않거니와 말하는 이의 의지를 표현하는 말투를 상대방에게 요청할 때 사용함으로써 혼란을 부릅니다. “들어오세요.”가 맞는 표현입니다. 어떤 이는 “들어오세요.”가 명령투라고 지레 겁을 먹지만, 이는 강압적인 명령이 아니라 부드러운 요청의 말투이므로 걱정할 까닭이 없습니다.
한글문화연대가 ‘올바른 높임말로 서로 존중하는 세상을 만들자’는 뜻에서 영상 '커피 나오셨습니다'에 이어 만든 2탄 영상입니다.
'활동 > 공공언어 바로잡기 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문] ‘플랫폼 택시, 모빌리티 서비스’ 같은 외국어를 쓰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5) | 2019.07.23 |
---|---|
[공문] 대통령의 외국어 남용(모멘텀, 규제 샌드박스 등), 바로잡아 주십시오. (1) | 2019.06.24 |
고객만족꺼뻑증후군(영상) (1) | 2019.04.19 |
[공문/답변]수원 광교중앙역 신분당선 1번 출구 앞 “Kiss & Ride” 바닥 표시를 우리말로 바꿔주세요. (1) | 2019.04.12 |
[공문] 수원 광교중앙역 신분당선 1번 출구 앞 “Kiss & Ride” 바닥 표시를 우리말로 바꿔주세요. (0) | 2019.04.09 |
[알림] <공공언어 시민감시단> 모읍니다. (0) | 2018.12.28 |
TAG ~실게요,
~하실게요,
갑질,
고객만족,
꺼뻑증후군,
높임말,
대우법,
들어오실게요,
따뜻한 세상,
병원체,
사물 존대,
손님,
손님은 왕,
잘못된 말투,
존대말,
한글문화연대
댓글을 달아 주세요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살펴보는 일도 중요합니다.
고깩꺼뻑증후군을 많은 사람이 느낄겁니다. 고객을 맞이하는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합니다. 때로는 이렇게하지 않으면 오히려 무시당하는 느낌을 받을 고객도 있을 터입니다.
이 일이 어디서부터 비롯되었는지를 살펴서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는 일도 이롭다고 여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