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9/0639

[누리방송5-126]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32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126회] ▶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32 땅이름 학자 배우리 님과 함께 떠나는 땅이름 여행. 토박이말로 지어졌던 땅이름들이 한자의 음이나 훈을 빌어 한자로 표기되고 다시 일본식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으니... 그 역사를 거꾸로 더듬어 가며 땅이름들의 공통점을 파헤치다 보면 어느덧 넓디넓은 토박이말 곳간에 다다른다. 매주 화요일 방송!!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화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화요일: 배우리의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에서 듣는 방법 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 2019. 6. 25.
[공문] 대통령의 외국어 남용(모멘텀, 규제 샌드박스 등), 바로잡아 주십시오. 받는 이 윤도한/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제목 대통령의 외국어 남용(모멘텀, 규제 샌드박스 등), 바로잡아 주십시오. 1.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대한민국 대통령께서 ‘모멘텀, 규제 샌드박스’와 같은 외국어로 국민과 소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쓰길 요구합니다. 1)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3월 제1회 정부혁신 전략회의에서 행정용어는 쉬운 말을 써야 한다고 말씀하셨고, 평소에도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잘 사용하신다고 알고 있습니다. 2.. 2019. 6. 24.
한글 아리아리 725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725 2019년 6월 20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암과 수 - 성기지 운영위원 암과 수가 붙어 새 말이 만들어질 때에, 우리말의 속살이 드러나는 흥미로운 사례가 있다. 우리가 흔히 ‘암컷’, ‘수컷’이라고 하는 말은 사실은 ‘암’과 ‘것’, ‘수’와 ‘것’이 각각 합쳐진 낱말이다. 그런데, ‘것’이라는 말이 암수 뒤에서 ‘컷’으로 변했다. ‘암+개→암캐’, ‘암+돼지→암퇘지’, ‘수+닭→수탉’ 들이 모두 그러한 경우이다. 옛말에서 ‘암’과 ‘수’는 각각 ‘암ㅎ’과 ‘수ㅎ’였다. 끝에 ‘ㅎ’ 소리가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면서 이들은 각각 ‘암’과 ‘수’로만 쓰이게 되었다. 곧 ‘ㅎ’ 소리가 밖으로 나타나.. 2019. 6. 21.
대표님 강연, 바람직한 호칭 문화 [대표님 강연] 바람직한 호칭 문화-시민강좌 주제: 바람직한 호칭문화를 향하여 - 때: 2019년 6월 20일(목) 낮4시~5시 30분 - 곳: 한글회관 얼말글 강당 - 강연자: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 참석 인원: 김명진 부대표 외 20여 명 2019. 6. 20.
[16기] 모둠 활동 소식/8모둠(영상) 매주 월수금에 열심히 날아다닌 팔색조는 다음주 이른 여름휴가(라고 쓰고 사실은 시험기간)를 가지려합니다. 우리 모두 아리아리! 오늘은 8모둠, 파라한빛의 '1분 우리말 톺아보기' 2화를 가져왔습니다. 우리말 톺아보기 두 번째 시간 주제 "-들어오실게요" 시험 공부로 지친 머리 식힐 겸 재밌게 봐주세요. 2019. 6. 20.
우리말글 강연/서울 중구청 [서울 중구청 공무원 대상 특강] “언어는 인권이다.”, “공공언어 공문서 교육” - 때: 2019년 6월 18일(화) 낮 3시~5시 - 곳: 중구청 대강당 - 강연자: 이건범 대표, 김명진 부대표 - 참석 인원: 200여 명 2019. 6. 20.
좋은 말들 58 싱겁게 살다가 싱겁게 가련다. 그래도 돈은 짜게 쓸 거야. 2019. 6. 20.
좋은 말들 57 열심히 살지 마라.대충 살아라. 그러나 성실하게 살아라. 2019. 6. 20.
작품 '닭'(34.5 x 26.5cm)은 2005년 1월에 제작된 것으로 2017년에 전시, 발표되었습니다. 제작 의도는 세밀한 묘사를 통한 사실적인 표현보다는, 간결하고 단순한 형태와 묘사를 통해 누구나 쉽고 빠르게 읽을 수 있는 그림글자를 만들고자 함이었습니다. 작품의 시작은 '닭은 왜 이름이 닭일까?'라는 물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한글은 뜻글자가 아닌 소리글자이기에 어떠한 형태와 연관성이 거의 없지만, 닭의 이름을 지을 때 닭의 형태를 보고 그것에 알맞는 닿소리, 홀소리를 조합하여 '닭'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처럼 보여질 수 있다면 상당히 재미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닭의 예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한글은 발상과 표현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림글자로 표현할 경우 다른 문자들보다 결과물이.. 2019.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