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7

평가 내용-대화 영역 ■ 평가내용 1. 대화 영역 대화 영역(출제 비중-20%) 평가 유형 평가 요소 1) 담화 이해하기 ① 담화에서 맥락이 지시하는 내용 또는 대화 당사자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가? ② 대화나 강연 등 긴 분량의 이야기를 듣고 핵심을 정확하게 요약할 수 있는가? 2) 높임말 제대로 쓰기 ③ 대상에 따라 높임말을 제대로 쓸 수 있는가? ④ 선어말어미 ‘-(으)시’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가? 3) 갈등 조정하기 ⑤ 대화의 구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가? ⑥ 대화 속에서 일어난 의견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가? 4) 대화 예절 지키기 ⑦ 대화를 독점하지 않고 차례를 지키면서 민주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가? ⑧ 말과 행동의 주체, 임무의 수행자를 분명하게 밝히며 책임 있게 대화할 수 있는가? ⑨ 권위적으.. 2015. 9. 3.
평가 영역-안내 ■ 무엇을 평가하나? 대화, 어휘, 읽기, 쓰기, 국어문화와 어문규범 등 다섯 영역에 걸쳐 소통능력을 평가합니다. 고등학교 국어 수업까지 중요하게 다루던 국어능력과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국어능력은 전혀 다릅니다. 시험 점수를 올리는 데 필요한 국어 지식이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의사소통할 때 효율과 신뢰를 높이는 데 필요한 국어능력을 평가합니다. 따라서 평가의 소재도 문학 지식이나 문법보다는 공문서와 정책 언어, 신문과 방송의 언어, 기업에서 쓰는 언어, 사회생활과 교양물에서 쓰는 언어에서 찾습니다. (1) 대화 영역(점수 비중 20%) 자세히보기 ▶ 남의 말을 귀담아듣고 대화 예절을 지키면서 자기 뜻을 설득력 높게 말로 표현하는 능력을 잽니다. 이야기 이해하기, 높임말 제대로 쓰기, 갈등 조정하기, 대.. 2015. 9. 3.
국어소통능력시험의 평가 체계 ■ 국어소통능력시험의 평가 체계 1) 시험의 특징 (1) 문학이나 어학 지식 위주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추구하는 기존의 국어시험과는 다르게 사회생활에 필요한 대화 예절과 소통력을 중요하게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2) 현대언어생활에서 비중이 높은 ‘쓰기’ 능력을 높이기 위해 전체 평가 영역에서 ‘쓰기’의 비중을 35%로 구성하고 객관식 ‘쓰기’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서술형 문항의 출제비중을 30%로 정하였습니다. (3) 국어소통능력시험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전국국어문화원 연합회가 시험의 공공성을 인정해서 시험시행에 필요한 준비과정을 후원하고 지원했습니다. 2) 평가영역 및 유형별 문항구성 영역 비중 영역별 문항 수 (주관식) 평가 유형 유형별 문항 수 대화 20% 18(2) 담화 이해하기 .. 2015. 9. 3.
제1회 시험안내 1) 시험절차 안내 ① 시험 신청하기 입장 ② 신청서 작성: 전자우편주소를 정확하게 적어 주세요. ③ 응시료 납부: 신청서 작성 후 응시료 30,000원을 신청마감일까지 지정된 계좌로 보내지 않으면 신청은 자동 취소합니다. ④ 전자우편으로 도착한 수험표 출력: 응시료를 내면 전자우편으로 수험표가 도착합니다. 도착한 수험표를 출력해서 시험장에 가져와야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⑤ 시험응시: 10월 9일 오전 9시 30분까지 시험장에 입장해야 합니다. ⑥ 성적표/인증서 전자우편 수령(인증서 발급 여부는 성적에 따름) 인증서를 인쇄물로 받을 응시자께서는 한글문화연대에 전화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070-7807-5084) 5,000원의 수수료를 내야 하며 신청일로부터 5일 후에 받을 수 있습니다. 2) 시험시.. 2015. 9. 3.
제1회 국어소통능력시험 안내(10/09) 소통의 시대를 이끌어 갑시다 우리는 다른 무엇보다도 '소통능력'이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남의 공감을 끌어내어 일을 순조롭고 빠르게 처리하는 능력은 돈벌이와 승진을 넘어서 남에게 사랑받는 뿌듯한 삶을 약속합니다. 누구나 문제없이 사용한다고 여기는 '국어', 바로 거기에 우리의 소통능력을 높일 열쇠가 묻혀 있습니다. 처음도 끝도 소통은 말과 글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낯선 한자어나 외국어를 남용하지 않고, 쉽고 바르고 분명한 말과 글로 소통하는 능력은 특히 전 국민을 두루 상대하는 공직과 민간기업, 방송, 언론 등에서 일하는 사람에게는 일의 효율을 높이고 신뢰를 쌓는 데에 지렛대임이 분명합니다. 교과서 속 국어 지식, 대입 대비 국어 지식이 국어로 소통하는 능력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한글문화연대.. 2015. 9. 3.
한겨레 광고-황우여 장관은 당장 사퇴하라!! 초등 한자교육 사기 공청회 책임져라!! 한겨레, 2015년 9월 2일(수) 광고 2015. 9. 2.
[사진]한국어학교 입학식(2015.08.31.월) 한국어학교 입학식(2015.08.31.월) 2015. 9. 1.
[한국일보/기고]교과서 한자 병기, 추진 근거가 없다 교과서 한자 병기, 추진 근거가 없다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 이 글은 2015년 8월 30일, 한국일보에 실렸습니다. (http://www.hankookilbo.com/v/79dc74569a984fd0b437a1f657628174) 교육부에서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방침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지 벌써 열 달이 지났다. 발표 직후부터 연구진을 꾸려 연구하겠노라고 말했지만 98%의 초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시킨다고 해놓고 몇 시간이나 가르치고 얼마나 많은 양을 다루는지 조사한 것도 없다. 발표 전이나 후에나 연구다운 연구가 한 건도 없다. 그리고 결정의 시기는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한자 병기는 교육 전반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이를 넘어서 우리 문자 생활에 큰 혼란을 부를 일인데, 이렇게 구렁이 담 넘어가.. 2015. 9. 1.
[누리방송2-13]그러니까 말이야-『창씨개명된 우리 풀꽃』 [그러니까 말이야 두 번째 타래 13회]『창씨개명된 우리 풀꽃』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 초대 손님: 이윤옥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 소장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작가: 김은영 ▷ 녹음,편집: 염성제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를 듣는 방법 1. 컴퓨터에서 듣기 팟캐스트 전문누리집 팟빵(www.podbbang.com)에 접속하고 를 검색 >> 바로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2. 전화기(스마트폰)에서 듣기 팟캐스트 전용 프로그램 "팟빵-인기 팟캐스트를 한 자리에"를 설치 를 검색후 내려받기 2015.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