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25

풀어쓰기부터 천지인 자판까지 - 이원철 기자 풀어쓰기부터 천지인 자판까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8기 이원철 기자 idiot0223@naver.com 한글 타자기의 기원, 풀어쓰기 한반도에 글을 가로로 풀어쓰려는 시도는 서양의 선교사들이 찾아와 성서를 한국어로 번역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왼쪽부터 가로로 글을 쓰는 서양책의 방식대로 한글을 담아내려는 시도는 아라비아 숫자나 로마자와 어우러지게 써야 하는 성서의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 과정에서 로마자 쓰기 방식의 영향을 받아 구두점, 띄어쓰기와 같은 새로운 요소가 도입되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 등을 비롯한 서양 세계는 한반도에서 멀리 있어, 일제강점기가 끝날 때까지도 글은 일본을 따라 세로로 쓰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고, 그 결과 세로쓰기에 맞춰 발달한 일본의 활자와 조판, 인쇄 기술에 한글을 .. 2022. 1. 13.
‘위드코로나’ 이후 ‘부스터샷’과 ‘서킷 브레이커’ 발동이요? - 김민서 기자 ‘위드코로나’ 이후 ‘부스터샷’과 ‘서킷 브레이커’ 발동이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8기 김민서 기자 alstj2069@naver.com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정부는 지난 2021년 11월 1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을 시행했다. 이 방안은 사회적 거리두기, 영업시간 제한 등 기존의 확진자 억제 규제에서 방역 대책의 방향을 중증, 사망 발생 억제로 전환하는 정책으로 현재는 ‘위드 코로나’로 더욱 많이 불리고 있다. 이는 영어권에서 유래한 단어인 것처럼 보이지만 위드 코로나는 사실 영어권에서 쓰지 않는 단어이다. 심지어 영국 일간지 더타임즈의 기사에서는 위드 코로나를 콩글리쉬라고 소개했다. 11월 17일 김부겸 국무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단계적 일상회복’과 ‘추가접종’.. 2022. 1. 13.
외국인과 한국어로 소통하는 봉사활동, 경희대학교 ‘한국어 도우미’ 제도 - 김미르 기자 외국인과 한국어로 소통하는 봉사활동, 경희대학교 ‘한국어 도우미’ 제도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8기 김미르 기자 jjs1550@khu.ac.kr 경희대학교에는 한국어 도우미 제도가 있다. 경희대학교 재학생과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 과정 외국인 수강생을 연결하여 외국인 학생이 한국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이다. 한국어 도우미는 외국인 학생에게 한국어를 비롯한 한국의 문화를 알려주는 친구이자 선생님의 역할을 한다. 경희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봉사활동 제도이다. 기자가 2021년도 상반기에 활동한 한국어 도우미 경험을 바탕으로 경희대학교 한국어 도우미 제도를 소개하고자 한다. 1991년 10월 국제교류위원회의 교환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한국어 과정이 개설되었다. 한국어를.. 2022. 1. 13.
한글 아리아리 855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855 2021년 1월 6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한글 그림글자(김대혁)] 호랑이 2022년은 검은 호랑이의 해입니다. 호랑이는 용맹하고 강력함의 상징이므로 '호랑이'의 글자를 이용한 그림글자의 표현에서도 이러한 점을 살리고자 하였습니다. 호랑이의 튼튼한 앞발과 날카로운 발톱, 크고 강한 턱과 뾰족하고 긴 송곳니 등을 강조하였고, 특히 힘차게 뛰어 나오는 동작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힘이 있는 강렬한 느낌을 주고자 하였습니다. 호랑이의 색상은 검은 호랑이에 어울릴 수 있도록 눈과 코, 입을 제외하고는 흑백만을 사용하였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리말 비빔밥(이건범)] ‘Safe Ko.. 2022. 1. 7.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2022.01.04 홍천소방서 1. 귀 기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M00008-419976(2021.06.15.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호와 관련하여 우리 소방서 소속 부서에 설치된 외래 어 구호문을 우리말로 교체·변경하였기에 결과를 회시하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 다. 붙임 교체결과 사진 1부. 끝. 2022. 1. 5.
[공문]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2021.06.15 홍천소방서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홍천소방서 북방119지역대, 동면119지역대 정문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 2022. 1. 5.
[공문/답변] 아카이브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2021.12.31 괴산군 1. 귀 기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한글문화연대 쉬운말사업단 M00011-380345(2021.12.17.)호와 관련하여 귀 기관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변경하였습니다. 붙임 변경내역 1부. 끝. 붙임 1. 붙임 2. 2022. 1. 5.
[공문] 아카이브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2021.12.17 괴산군 1. 충청북도 괴산군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괴산군 누리집에 쓰여 있는 ‘포토갤러리’, ‘포토앨범’이라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5월 21일 ‘제천시’, 7월 2일 ‘원주시’, 8월 2일 ‘용인시의회’, 9월 15일 ‘경기도’, 9월 16일 ‘한국지역정보개발원’, 9월 30일 ‘울릉군’에서 한글문화연대의 건의를 수용해 ‘사진게시판’, ‘사진모음’, ‘사진마당’, ‘사진첩’ 등으로 바꾼 사례가 있습니다. 4. ‘아카이브’라는 외국어도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 2022. 1. 5.
[공문/답변] 아카이브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2021.12.31 영동군 1. 쉽고 바른 우리말 사용에 앞장서는 귀 기관에 감사드리며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한글문화연대 M00011-380556(2021. 12. 17.)호와 관련하여, 영동군은 「충청북도 국어 바르게 쓰기 조례」13조 2항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는 쉽고 바른 국어를 사용하고, 무분별한 외래어·외국어·신조어 사용을 지양할 책임이 있습니다. 3. 이에 따라 2022년 상반기 내에 영동군 누리집에 잘못 쓰여 있는 언어를 살펴보고, 앞서 보내주신 건의내용과 다른 지자체의 사례를 참고하여 누구나 의미를 바로 이해할 수 있는 우리말로 바꾸어 쉽고 바른 언어 사용에 뜻을 함께하도록 하겠습니다. 끝. 2022.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