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925 디지털 포렌식 -> 디지털 자료복원, 디지털 과학수사 디지털 포렌식 -> 디지털 자료복원, 디지털 과학수사 ‘포렌식’(Forensic)이라는 단어는 로마 시대의 포럼(Forum)과 공공(public)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말로 '법의학적인, 범죄 과학 수사의, 법정의, 재판에 관한'이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포렌식 분야 중 하나인 ‘디지털 포렌식’이란 디지털 증거물을 분석하여 활용하는 과학수사 기법을 말한다. (출처: 나무위키) '디지털 자료복원'이나 ‘디지털 과학수사’라고 우리말로 쓰면 그 뜻이 알기 쉽고 분명하다. 예문) 외장하드 등을 압수한 뒤 디지털포렌식 수사를 벌이고 있다.-> 외장 하드디스크 등을 압수한 뒤 디지털 과학수사를 벌이고 있다. 2019. 2. 14. [알림]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6기 모집합니다. 대학생기자단 6기 모집(~3월 3일) 1. 지원 자격 ▶우리말과 한글, 언어문화를 둘러싼 여러 가지 주제를 기사로 다루고자 하는 대학생 또는 대학원생(휴학생 포함) ▶ 교육, 기획 모임(월 1회)에 참석할 수 있는 사람 ▶ 달마다 기사 1건 이상 쓸 수 있는 사람 ▶ 영상 분야 - 영상 기획/촬영/편집 등을 할 수 있고 캠코더와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다룰 줄 아는 사람 ▶ 글/사진 분야 - 일반 취재나 인터뷰를 하여 기사를 쓸 수 있고 기사에 넣을 사진을 찍는데 어려움이 없는 사람 2. 모집 인원: 15명 3. 모집 분야: 글/사진, 영상 4. 활동 기간: 2019년 3월~2020년 2월 5. 활동 내용 ▶ 우리말과 한글을 잘못 사용하거나 망가뜨리는 현장 고발 ▶ 청소년, 대학생 언어문화 조사, 개선 방안.. 2019. 2. 14. 좋은 말들 22 월요병 걸리고 싶은 꿈의 병 ㅡ취준생과 실업자 2019. 2. 14. 좋은 말들 21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 독 안에 든 쥐는? 2019. 2. 14. [누리방송5-97] 네모소식: 복지용어가 어려운 말 투성이라는 지적이 높습니다.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97회] ▶ 네모소식 - 복지용어가 어려운 말 투성이라는 지적이 높습니다. ▶ 토박이말 따라잡기 - 들봄 한볕 기쁨 가득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화요일: 배우리의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목요일: 대학생 기자단 5기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에서 듣는 방법 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우리말 아리아리' 로 검색한다. 2. '우리말 아리아리', '그러니까 말이야' 채널에서 각 회차를 선택하면 들을 수 있다. 3. 손전화(휴대전화).. 2019. 2. 13. SOC -> 사회간접자본 SOC -> 사회간접자본 사회간접 자본(SOC: Social Overhead Capital)이란 생산활동과 소비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해 주는 자본의 하나로서, 도로·항만·공항·철도 등 교통시설과 전기·통신, 상하수도, 댐, 공업단지 등을 포함하고 범위를 더 넓히면 대기, 하천, 해수 등의 자연과 사법이나 교육 등의 사회제도까지를 포함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생활 SOC’란 표현은 정부에서 지난 2018년 8월에 ‘지역 밀착형 생활 SOC 확충 방안’을 발표하면서 퍼진 용어다. 당시 정부는 도로나 철도 같은 대규모 토목공사 대신에 도서관, 체육시설 등 국민의 삶과 밀접한 기반시설을 늘리겠다고 정책 내용을 밝혔다. 예문) 생활밀착형 SOC사업 추진단 회의와 발굴 보고회를 열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 2019. 2. 13. 섬뜩하다, 선뜩하다, 선뜻하다 [아, 그 말이 그렇구나-273] 성기지 운영위원 입춘이 훌쩍 지나고 봄비가 얼음을 녹이는 우수를 며칠 앞두었지만 날씨는 여전히 춥다. 날씨가 추운 것만큼이나 오싹하고 살벌한 사건 사고들도 끊이지 않는다. 우리는 흔히 소름이 끼칠 만큼 무섭고 끔찍한 것을 ‘섬찍하다’, ‘섬찟하다’ 들처럼 말하곤 하지만, 이 말들은 표준말로 인정받지 못했다. 대신 같은 뜻으로 통용되는 ‘섬뜩하다’가 오랫동안 표준말이었다. 그런데 요즘 국립국어원 온라인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섬찍하다’는 북한말로, ‘섬찟하다’는 표준말로 각각 올라 있다. ‘섬찟하다’와 ‘섬뜩하다’는 복수 표준어라는 이야기다. ‘섬찟하다’, ‘섬뜩하다’ 들과 비슷한 말로, ‘선뜩하다’란 말도 있다. 추운 날에 밖에 있다가 집에 들어와 방안에 있는 사람의 속.. 2019. 2. 13. 헤이트 스피치 -> 증오 표현 헤이트 스피치 -> 혐오 표현, 증오 표현 헤이트 스피치(hate speech)란 특정 인종이나 종교, 성별 등을 기준으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증오를 선동하는 발언을 일컫는다. 공공장소에서 이루어지는 편견과 폭력을 부추기는 위협 · 폄하 · 선동 발언 등은 물론이고 국기 등 상징물을 모욕하는 행위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출처-트렌드 지식사전) ‘헤이트 스피치’라는 외국어는 ‘혐오 표현, 증오 표현'이라고 하는 것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더 쉽고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다. 예문) 일본 극우 단체들의 헤이트 스피치가 재일조선인에서 한국 전체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 일본 극우 단체들의 '혐오 표현/ 증오 표현'이 재일조선인에서 한국 전체로 확대되고 있다. 2019. 2. 13. [누리방송5-96]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13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93회] ▶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13 땅이름 학자 배우리 님과 함께 떠나는 땅이름 여행. 토박이말로 지어졌던 땅이름들이 한자의 음이나 훈을 빌어 한자로 표기되고 다시 일본식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으니... 그 역사를 거꾸로 더듬어 가며 땅이름들의 공통점을 파헤치다 보면 어느덧 넓디넓은 토박이말 곳간에 다다른다. 매주 화요일 방송!!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화요일: 배우리의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목요일: 대학생 기자단 5기 "우리말 .. 2019. 2. 12. 이전 1 ··· 315 316 317 318 319 320 321 ··· 5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