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925 모델 -> 모형, 본, 본보기, 모범 모델(model)은 우리말에서 다음의 용법으로 많이들 쓰고 있다. 「1」 작품을 만들기 전에 미리 만든 물건. 또는 완성된 작품의 대표적인 보기.「2」 본보기가 되는 대상이나 모범.「3」 =패션모델.「4」 『미술』조각이나 회화 등의 모방 대상이 되는 인물이나 사물.「5」 『미술』조각에서, 점토 따위로 미리 만들어 낸 원형. ‘모형04’으로 순화. 이 가운데 사람을 가리키는 4의 뜻을 제외하면 모두 ‘모형, 본, 본보기’ 등으로 다듬어 쓰는 게 좋다. 예문) 새싹기업은 빠른 시간 안에 수익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 새싹기업은 빠른 시간 안에 수익모형을 만들어야 한다. 2019. 2. 1. 임베디드 -> 내장형, 붙박이 임베디드 -> 내장형, 붙박이 임베디드(embedded)란 ‘단단히 박다, 파견하다, 끼워 놓다’라는 뜻의 ‘임베드’에서 파생한 말이다. 우리말로는 ‘붙박이, 내장형’으로 번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내장형/붙박이 소프트웨어로 써야 한다. 예문) 이외에도 ‘디지털 사이니지 버스 광고’, ‘전기차 충전 과금형 콘센트(차지인)’ 등 10건의 실증 특례 -> 이외에도 ‘디지털 맞춤형 광고’~~ 2019. 2. 1.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 디지털 맞춤형 광고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 디지털 맞춤형 광고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란 디지털 정보 전시판(디스플레이)을 이용한 옥외광고로, 관제센터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는 광고판을 말한다. 지하철 역사, 버스정류장, 아파트 엘리베이터, 은행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현재는 단순히 동영상 형태에 소리를 곁들인 광고를 시간대별로 번갈아 노출하는 형식이 대부분이지만, 향후에는 동작 인식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을 이용해 사용자와 쌍방향으로 통신하는 형식으로 점차 옮겨갈 전망이다. TV, 인터넷, 모바일에 이어 제4의 미디어로 주목받고 있다. [출처: 용어로 보는 IT]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는 ‘디지털 맞춤형 광고’로 표현하는 것이 훨씬 더 뜻을.. 2019. 2. 1. 규제 샌드 박스 -> 규제 미룸, 규제 유예, 규제 임시 면제 규제 샌드 박스 ⇥ 규제 미룸, 규제 유예, 규제 임시 면제 ‘샌드 박스’는 말 그대로 모래 상자인데, 불 났을 때 불 끄라고 또는 눈 많이 왔을 때 길에 뿌리라고 모래 담아둔 상자가 아니다. 어린이들이 자유롭게 노는 모래 놀이터에서 따온 말이란다. ‘규제 샌드 박스’는 ‘Regulatory sand box’의 머리만 번역한 말로, , 신산업ㆍ신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내놓을 때 일정 기간 기존 규제를 미루거나 유예하거니 임시 면제해주어 자유로운 시도를 북돋는 제도란다. 관료들은 마땅한 우리말이 없어서 샌드박스를 그대로 쓸 수밖에 없다고 변명하겠지만, 그럼 그냥 ‘모래 상자, 모래판’이라고 해도 안 될 까닭이 없다. 어차피 놀이터 상황에 비유하여 나온 말이므로 그런 맥락을 설명해주지 않는 한.. 2019. 2. 1. 한글 아리아리 705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705 2019년 1월 31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새해 인사 드립니다. 새해엔 공공언어 바로잡기에 온 힘 쏟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새해엔 바라는 일 모두 이루시길 빕니다. 늘 건강하셔야 하고요. 우리 한글문화연대는 지난 몇 년 동안 한자 문제로 마음 고생, 몸 고생을 했습니다만, 그 덕분에 한자혼용과 한자병기 확대 요구를 모두 물리쳤습니다. 그 사이에 끈을 놓은 건 아니지만 공공언어 분야의 영어 남용이 나날이 늘어나는 듯하여, 올해엔 공공언어 바로잡기에 온 힘을 쏟고자 합니다. 이 일을 함께 할 직원도 한 분 더 뽑았고, 시민감시단을 꾸려 할 일을 알려드리고 저마다 할 몫을 나누고 있습니다. 공공언어 바로.. 2019. 2. 1. ‘반짝’ 행사성 한글 상징, 붙박이로 하자.-박다영 기자 ‘반짝’ 행사성 한글 상징, 붙박이로 하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박다영 기자 ghj38070@nate.com 해마다 한글날에는 여러 곳에서 한글날을 기념하는 행사를 연다. 길거리에서는 세종대왕의 업적이나 한글의 매력을 알리고, 학교에선 글짓기와 멋글씨 대회를 연다. 그리고 크게 눈에 띄지는 않지만, 네이버와 다음 같은 검색 누리집에선 ‘NAVER/DAUM’이라는 알파벳 상징 대신 한글 상징인 ‘네이버/다음’을 사용한다. 그러나 한글날 24시간 동안만 등장하는 반짝 행사라는 점에 아쉬움이 남는다. ▲네이버와 다음의 한글날 기념 한글 상징 (출처=네이버 블로그) 물론 인사동을 제외한 길거리에선 여전히 ‘Etude House’, ‘ARTBOX’ 등 영어 간판이 대부분이고, 한글날에도 가게에서 별다.. 2019. 1. 31. 새해 인사 드립니다. 새해엔 공공언어 바로잡기에 온 힘 쏟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새해엔 바라는 일 모두 이루시길 빕니다. 늘 건강하셔야 하고요. 우리 한글문화연대는 지난 몇 년 동안 한자 문제로 마음 고생, 몸 고생을 했습니다만, 그 덕분에 한자혼용과 한자병기 확대 요구를 모두 물리쳤습니다. 그 사이에 끈을 놓은 건 아니지만 공공언어 분야의 영어 남용이 나날이 늘어나는 듯하여, 올해엔 공공언어 바로잡기에 온 힘을 쏟고자 합니다. 이 일을 함께 할 직원도 한 분 더 뽑았고, 시민감시단을 꾸려 할 일을 알려드리고 저마다 할 몫을 나누고 있습니다. 공공언어 바로잡기에는 단지 감시와 항의 활동만 있는 건 아닙니다. 우리 수익 사업을 겸하여 공공기관의 공문서 교정교열 사업을 넓혀나가고 있습니다. 정부 .. 2019. 1. 31. 좋은 말들 18 아프니까 청춘이다. 아프니까 중년이다. 아프니까 노년이다. 아프니까 사람이다. 근데 개도 아픈단다. 2019. 1. 31. 좋은 말들 17 황야를 달리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뾰족하지 마라. 2019. 1. 31. 이전 1 ··· 317 318 319 320 321 322 323 ··· 5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