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26

[우리말 비타민] 탓일까 덕분일까 2023. 12. 31. 관련 자료 [우리말 바루기] ‘탓에’와 ‘덕분에’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331468?sid=102 [우리말 바루기] ‘탓에’와 ‘덕분에’ 2023년도 며칠 남지 않았다. “친구들 덕분에 캠핑하는 취미가 생겨 올 한 해 매우 즐겁게 보냈다” “올해는 새로 시작한 취미 생활 탓에 살이 5㎏이나 쪄버렸다” 등 1년 동안 자신에게 일어난 n.news.naver.com 2024. 1. 16.
[우리말 비타민] 전골 ▶ 전골 2023. 12. 24. [우리말 산책] 상인의 상술이 바꾼 음식, 전골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65061?sid=110 [우리말 산책] 상인의 상술이 바꾼 음식, 전골 | 엄민용 기자 오는 7일이 대설(大雪)이다. 많은 눈이 내리는 때, 즉 겨울이 깊어지는 시기다. 절기를 입증하기라도 하듯이 최근 들어 날씨가 부쩍 추워졌다. 이럴 때면 뜨끈한 국물의 음식이 생 n.news.naver.com 2024. 1. 16.
[우리말 비타민] 오요 ▶ 오요 2023.12.20 [우리말 바루기] ‘아니요’가 아니오? https://news.koreadaily.com/2023/12/05/society/opinion/20231205190350071.html 2024. 1. 16.
『쉬운 우리말을 쓰자』 통권 9호 고용량 피디에프(PDF) 파일을 내려받는 곳으로 이동합니다. 2023년 12월 30일, 「쉬운 우리말을 쓰자」 9호가 발행되었습니다! 공공언어에서 쉬운 우리말 문화를 꽃피우기 위해, 「쉬운 우리말을 쓰자」 잡지를 계절마다 발행합니다. 3월, 6월, 9월, 12월에 발행하며, 신청을 받아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책자 신청하는 곳: urimal@urimal.org *생각 더하기/사례 나누기 - 어려운 외국어와 쉽게 다듬은 우리말 등 말과 관련된 다양한 생각과 경험을 두루 다룹니다. *우리말 이해하기 -공문서 작성 원칙을 쉽고 간단하게 알려 드립니다. 577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날 특집'도 준비했습니다. *재미있는 한글 마당 - 만화로 보는 우리말, 영상으로 보는 쉬운 우리말, 아리아리 새말대모험까지 .. 2024. 1. 16.
한글 아리아리 960 새 창으로 보기한글 아리아리 9602024년 1월 12일2024년 1월 12일, 우리말 소식 📢1. 💌💌이 나왔습니다! ㅁㅁ2. ❤️사례 나누기❤️ 쉬운 한글로 쓰기, 소통과 배려의 시작3.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전 과자입니다.'4. 대학생 기자단 10기 기사 - 김민 기자 - 김현선 기자5. 🐉새해 인사🐉 -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 ㅁ💌 💌2024 쉬운 우리말 달력이 나왔습니다! 한글문화연대에서 2024 쉬운 우리말 달력을 제작하였습니다. 쉬운 우리말 달력은 2023년에 진행한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사업 결과물을 담고 있습니다. 해당 사업은 전국의 국어책임관(3,000명 이상) 및 도서관과 교육청 등 쉬운 우리말 사용 실천을 해야 하는 곳에 달력을 제작하여 전달하고 있습니다. .. 2024. 1. 12.
쉬운 우리말 달력이 나왔습니다. 2024 쉬운 우리말 달력이 나왔습니다. 한글문화연대에서 을 제작했습니다. 은 쉬운 우리말을 사용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모은 달력입니다. (귀여운 삽화도 존재합니다!) 한글문화연대는 을 전국의 국어책임관(3,000명 이상) 및 도서관과 교육청 등 쉬운 우리말 사용 실천을 해야 하는 곳에 전달하였습니다. 한글문화연대는 앞으로도 쉬운 우리말 사용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자 합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2024. 1. 11.
한글 아리아리 959 새 창으로 보기 한글 아리아리 959 2023년 1월 5일 2024년 1월 5일, 우리말 소식 📢 1. 🐉새해 인사🐉 -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 2. 사례 나누기 어려운 용어 개선, 언어 환경 개선의 밑거름 3.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퍼플섬' 4. [우리말 돋보기] 어때? 쉬운 우리말? -우리말 약칭 편- [국립국어원] -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 출연- 5. 대학생 기자단 10기 기사 - 누리보듬 - 송한석 기자 🐉 한글문화연대 새해 인사 🐉 새해엔 확실하게 하나씩 고쳐 가겠습니다.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지난 4년 동안 한글문화연대는 공공언어 개선을 위해 중앙정부 47개 기관, 17개 광역자치단체의 모든 보도자료를 조사하여 불필요하게 외국어.. 2024. 1. 5.
“그 메뉴는 안 되세요” 여전히 판치는 엉터리 존댓말 - 정채린 기자 “그 메뉴는 안 되세요” 여전히 판치는 엉터리 존댓말 한글문화연대 10기 정채린 기자 jcr7710@naver.com 요즘 “화장실은 이쪽이세요”, “커피 5천 원이십니다”, “찾으시는 옷은 없으세요” 같은 엉터리 존댓말을 식당, 백화점 등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고객에게 공손히 말해야 한다는 강박감에 사람이 아니라 사물을 높이는, 일명 ‘사물 존칭’이다. 특히 백화점 판매 사원이 이런 표현을 많이 써 ‘백화점 높임말’이라고도 한다. 우리말은 대화할 때 상대에 따라 존댓말이나 편하게 반말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배우기 어려워하는 이유도 존댓말과 반말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이다. 친절하게 응대하려다 어법에 어긋난 어색한 표현을 쓰는 현상, 우리말이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강원도민일보 취재.. 2024. 1. 4.
<새해 인사> "새해엔 확실하게 하나씩 고쳐 가겠습니다 "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지난 4년 동안 한글문화연대는 공공언어 개선을 위해 중앙정부 47개 기관, 17개 광역자치단체의 모든 보도자료를 조사하여 불필요하게 외국어와 외국 문자를 사용한 분들에게 개선을 권하였습니다. 성과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그 분들이 주위에서 보고 듣는 영어 단어의 횟수에 비해 우리의 개선 권고는 새발의 피였겠지요. 체화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많은 공무원들이 말과 글을 국어기본법에 맞추어 사용하려 애쓰기 시작했다는 좋은 변화의 기운도 충분히 느낄 수 있습니다. 작년에 처음 시작하여 좋은 반응을 얻었던 ‘쉬운 우리말 기자상’을 올해엔 좀 더 널리 알리고 발전시켜 보겠습니다. 언론인들의 추천, 시민들의 추.. 2024.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