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아리아리

한글 아리아리 598

by 한글문화연대 2016. 12. 22.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98
2016년 12월 22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림]12월 알음알음 강좌(12.23.금)
   
◆ [알림] 2016년 기부금영수증 발급 안내
   
◆ [항의] 교육부 학교정책실 항의 방문(12.16.금) 
   
◆ [우리말 이야기] 알은체하다-성기지 운영위원
   
◆ [누리방송3-26] 그러니까 말이야-내년에 뵙겠습니다.
   ◆ [우리말 가꿈이] 우리말 사랑 강연 활동
   ◆ [한글날 570돌 "한글 사랑해" 신문] 10. '다르다'라고 해야 할 때 '틀리다'라고 하면 틀려
  
 ◆ [후원] 한글문화연대 후원 및 회원 가입 안내

◆  [알림] 12월 알음알음 강좌(12.23.금)


수강 신청 하러 가기

◆ [알림] 2016년 기부금영수증 발급 안내

기부금 확인, 기부금영수증 발급 방법
▷ 2016년에도 우리말글을 지키고 가꾸는 데에 마음을 모아주셔서 고맙습니다.
▷ 한글문화연대는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연말정산 간소화란 국세청이 연말정산에 필요한 각종 소득공제 증명자료(금융기관 거래내역, 학비/병원비 납입내역, 각종 기부금 내역 등)를 모아 국세청 홈택스 누리집(www.hometax.go.kr)에서 제공하는 것입니다.
▷ 홈택스 누리집에서 2016년 기부 내역을 확인하고 기부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으니 이곳에서 기부금영수증을 인쇄하거나 문서로 내려받아 회사에 제출하시면 됩니다.(2017년 1월 중순, 홈택스에서기부금 확인과 영수증 발급이 가능할 예정입니다.)
▷ 혹시 연말정산간소화 누리집 사용이 어렵거나 조회가 안되는 분은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휴대전화번호를 적어 urimal@urimal.org 로 보내주시면 전자우편 답장으로 기부금영수증 원본을 보내드립니다. 보내드리는 문서를 인쇄하셔서 필요한 곳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 [항의] 교육부 학교정책실 항의 방문(12.16.금)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국민운동본부에서는 2016년 12월 16일(금) 11시 교육부를 항의 방문하여 학교정책실 금용한 실장을 만나 '교과서 한자표기 정책'을 당장 멈출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습니다.

 ◆ [우리말 이야기] 알은체하다-성기지 운영위원

송년 모임이 잦은 때이다. 이맘때면 한 해 동안 벌여 온 일들을 매조지하고, 가까운 이들과 어울려 일상의 소소한 앙금들을 훌훌 털어버린다. 때로는 수십 년 동안 잊고 살았던 친구에게서 전혀 뜻밖의 송년 모임에 초대되는 경우도 있다. 너무 오랫동안 잊고 살다가 만난 친구들의 모임에 나가게 되면, 첫눈에 잘 알아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무심코 지나치다가, 아는 체 좀 하라고 타박을 받기도 한다.

이처럼 흔히 사람을 보면 인사하는 표정을 지으라는 뜻으로, “아는 체 좀 해라.” 또는 “아는 척 좀 해라.”처럼 말하고 있는데, 이 말들은 상황에 맞지 않는 표현이다. 이때에는 “알은체 좀 해라.” 또는 “알은척 좀 해라.”로 말해야 한다.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일 때에나,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짓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은 ‘알은체’ 또는 ‘알은척’이라는 명사이다. 여기에 ‘-하다’가 붙어서 ‘알은체하다’ 또는 ‘알은척하다’로 쓰이는 것이다. “남의 일에 알은체를 (또는 ‘알은척을’) 하다.”, “서로 알은체도 (또는 ‘알은척도’) 안 한다.” 같은 말들이 바로 이러한 쓰임이다.

만일 “아는 체 좀 해라.”, “아는 척 좀 해라.” 하고 말하면, 이는 모르면서도 알고 있는 척하라는 뜻이 되므로 말하는 사람의 의도에서 벗어나는 표현이다. “사람을 보면 알은체를 해라.”라는 말과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체는 왜 하니?”라는 말을 잘 비교해 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 [누리방송3-26] 그러니까 말이야-내년에 뵙겠습니다.

● 여는 수다 : 셋째 타래 마지막 방송, 행복하게 지내시길

재밌게의 아하 그렇구나: 애띤 얼굴/앳된 얼굴/~하세요
돌비의 우리말 소식: 
      방송 아나운서 외국어 사용 자제해 달라/
      정재환 공동대표, 세종시 공무원 대상 바른 공공언어 사용 강연 진행/
      고문헌 어휘 22만개 뜻풀이 담은 '고어대사전' 출간/
      병무행정 용어 바뀌어 

정재환 오늘은 : 안내판 띄어쓰기
도전 천시: 허영자 "겨울 햇볕" "행복"

□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를 듣는 방법
   - 인터넷: 팟빵 누리집에서 '그러니까 말이야'를 검색하세요.
   - 전화기: 팟빵 앱 설치한 뒤 '그러니까 말이야'를 검색하세요.

* 팟빵 바로가기 http://www.podbbang.com/ch/7823

[우리말 가꿈이] 우리말 사랑 강연 활동


우리말 가꿈이는 중학생과 수능시험을 마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십자말 풀이', '우리말 알아 맞히기', '우리말 사랑 강연' 활동을 펼쳤습니다. 11월 29일과 30일에는 인천부개고등학교, 인천남고등학교에서 12월 20일에는 신수중학교에서 우리말과 한글을 사랑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한글날 570돌 "한글 사랑해" 신문] 10. '다르다'라고 해야 할 때 '틀리다'라고 하면 틀려

우리 국민이 헷갈려 잘못 쓰는 말의 짝으로, ‘다르다-틀리다’, ‘가르치다-가리키다’, ‘~든(든지)-~던(던지)’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다르다’는 ‘같다’의 반대말로서, 서로 같지 않음을 표현할 때 써야 한다. ‘틀리다’는 ‘맞다, 옳다’의 반대말로서, 어떤 기준이나 답에 비추어 맞지 않을 때 쓰는 말이다. 예를 들면 이렇다.  너와 나는 다르다.(O)  너와 나는 틀리다.(X) ‘틀리다’라고 말해야 할 때 ‘다르다’라고 말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개 ‘다르다’라고 해야 할 때 ‘틀리다’라고 말한다. “너희 둘은 생각이 틀리니까 자주 싸우는 거야.”라고 말했다면, 이는 전체에서 두 사람만 생각이 옳지 않다는 뜻으로 오해하기 쉽다. ‘틀리다’라는 말은 정답을 가릴 때 말고는 사용할 일이 거의 없으므로 대부분의 경우에 ‘다르다’라고 바꿔 사용해야 틀리지 않는다.

그 다음으로 많이 틀리는 말 짝으로, ‘영어를 가르치다’와 ‘표지판을 소가락으로 가리키다’라고 할 때 쓰는 ‘가르치다-가리키다’가 있다. 주로 ‘가르치다’라고 해야 할 때 ‘가리키다’라고 틀리게 사용한다.

“밥을 먹든 말든”처럼 두 가지 이상을 늘어 놓을 때 쓰는 ‘~든(든지)’와 “아침에 먹던 밥을”처럼 이미 지나간 일이나 반복되는 일을 묘사할 때 쓰는 ‘~던(던지)’도 자주 헷갈리는 말이다. 소리가 비슷하여 헷갈리기도 하는데, 대개 ‘~든(든지)’라고 써야 할 말을 “먹던지 말던지”처럼 ‘~던(던지)’로 틀리게 사용한다.

◆ [후원] 한글문화연대 후원 및 회원 가입 안내


후원 및 회원 가입 안내

'한글아리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아리아리 600  (0) 2017.01.05
한글 아리아리 599  (0) 2016.12.29
한글 아리아리 597  (0) 2016.12.15
한글 아리아리 596  (0) 2016.12.08
한글 아리아리 595  (0) 2016.12.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