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 누리집 첫 화면을 들여다보니, 곳곳에서 외국어·외래어가 나타났다. 정확한 뜻을 알기 어려운 사례도 있었고, 우리말로 쓸 수 있음에도 외국어·외래어로 표기한 사례도 많았다. 누리집을 방문한 시민이 외국어·외래어 뜻을 모르면 어떡하라는 걸까. 공공 기관 언어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원칙을 세워 써야 한다.
(중략)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 국립국어원 <2019 중앙행정기관 공공언어 진단> 보고서를 보면, 45개 중앙행정기관 누리집 첫 화면을 조사한 결과 어려운 어휘가 157개 발견됐다. 어려운 어휘 157개 중 외국어가 42.7%, 외래어가 28.7%, 외국 문자가 28%, 한자어가 0.6%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뉴스레터, 포토갤러리, 사이트맵, 홈페이지, 메뉴 등 외국어를 지적했다. 소식지, 사진첩, 누리집 안내 지도, 누리집, 목차·보기 등으로 바꾸면 되는 단어다. 부처마다 어려운 정책 용어도 많았다.
그러나 오늘날 도내 공공 기관 누리집을 살펴본 것과 같이 여전히 달라지지 않고 있다.
국립국어원은 "누리집 첫 화면에서도 불필요한 외래어와 외국어가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외국 문자를 무분별하게 노출하는 사례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이러한 표현이 사용될수록 국민과 정부 기관의 소통에 어려움이 가중되리라는 점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공공 기관 언어는 사회 전체 언어문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전문 용어를 누구나 알기 쉽게 다듬어야 한다고 했다.
한글문화연대는 "외국어를 남용하면, 외국어 능력이 떨어지는 국민에게 정보의 벽을 쌓는 꼴"이라며 "공공 언어는 중학교 의무교육을 마친 사람이라면 이해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73938
본 기사는 경남도민일보(2021.10.01)에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활동 > 언론에 나온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핌] 포트홀→도로파임·시마이→끝…한글날 맞아 도로용어 우리말로 바꾼다 - 2021.10.06 (0) | 2021.10.07 |
---|---|
타제석기가 '뗀석기'로 바뀐 이유를 아시나요? - 2021.10.05 (0) | 2021.10.05 |
[오마이뉴스] "토박이 말로 배우자"... 한글문화 '말잔치' 열린다 - 2021.09.29 (0) | 2021.10.05 |
[경남일보]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말나눔 잔치 - 2021.09.26 (0) | 2021.09.27 |
[경남도민일보] "무슨 행사인가요?"... 뜻 모를 그 이름 - 2021.08.12 (0) | 2021.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