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아리아리

한글 아리아리 438

by 한글문화연대 2013. 7. 30.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38호
2013년 7월 29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한글문화연대 누리집을 새로 열었습니다


한글문화연대가 누리집을 새로 열었습니다.
우리말글에 대한 정보와 한글문화연대의 활동 등의 내용으로 누리집을 알차게 채우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누리집 주소는 예전과 같이 www.urimal.org 이고 새 누리집 화면 오른쪽에 있는 빨간 글씨 "한글문화연대 옛날 누리집"을 누르면 예전 누리집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 서울시 국어 사용 조례 공청회에 다녀오다

2013년 7월 23일, 서울시가 "서울시 국어 사용조례" 만드는데 폭넓은 의견을 듣기 위해 공청회를 연다고 하여 한글문화연대 사무국이 다녀왔습니다. 그리고 이건범 상임대표께서는 토론자로, 고경희 공동대표께서는 서울시 행정용어 순화 위원으로 함께하셨습니다.

토론자로 나선 이건범 상임대표께선 서울 시민의 알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1) 조례 목적을 "서울시 및 그 산하기관 구성원들의 올바른 국어 사용을 촉진함으로써 서울시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로 고치기를 제안했고 2) 현재 국어 책임관을 홍보 담당자 겸하고 있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국어 책임관 제도의 강화를 위해 서울 시청만이라도 부시장 급에서 국어 책임관을 맡아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이 공청회에는 한글문화연대와 함께 활동하고 있는 우리말 가꿈이 대학생도 함께했습니다. 우리말 가꿈이 대학생의 공청회 참가 후기는 이곳을 누르면 볼 수 있습니다.

  ◆ [우리말 이야기]무더위와 강더위_성기지 학술위원

무더위와 강더위
- 성기지 한글문화연대 학술위원


긴 장마 끝에는 무더위가 기다리고 있다. 무엇보다 식중독이나 장염 같은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겠다. 우리 속담 가운데, “밥은 봄같이 먹고, 국은 여름같이 먹고, 장은 가을같이 먹고, 술은 겨울같이 먹으랬다.”는 말이 있다. 밥은 따뜻하게, 국은 뜨겁게 먹어야 한다는 속담이다. 더운 날씨일수록 너무 찬 음식을 찾기보다는, 선조들의 가르침대로 잘 끓여서 뜨겁게 먹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무더위’는 ‘물’과 ‘더위’가 한몸이 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습도가 높아 찌는 듯한 더위를 가리킨다. 이에 비해, 비가 오지 않아 습기가 없고 타는 듯이 더운 것은 ‘강더위’이다. 흔히 ‘땡볕더위’, 또는 ‘불볕더위’라고 하는 것이 바로 강더위이다. 무더위와 강더위는 둘 다 몹시 더운 날씨를 말하지만, 습도가 높아 찌는 듯한 더위냐, 그렇지 않으면 비 한 방울 오지 않고 타는 듯한 더위냐 하는 뜻 차이가 있다.

우리말 ‘강더위’와 상대어라고 할 수 있는 말이 ‘강추위’이다. 기상예보에서 아주 강한 추위를 가리켜 ‘강추위’라고 말하고 있는데, 그것은 한자 ‘굳셀 강’ 자를 붙여 말하고 있는 것이지, 본래부터 쓰던 순 우리말 ‘강추위’와는 뜻이 다른 말이다. 순 우리말 ‘강추위’의 ‘강’은 아무 것도 끼어들지 않은 순수한 것을 나타낼 때에 붙이는 접두사이다. ‘강더위’가 비가 오지 않고 타는 듯이 더운 날씨를 말하는 것처럼, ‘강추위’라고 하면 눈이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추운 날씨를 가리킨다. 아무리 추워도 눈이 내리고 바람이 불면 강추위가 아니었는데, 요즈음엔 한자 ‘굳셀 강’ 자가 달린 변종이 나타나 “눈보라 치는 강추위”라는 표현이 자연스러워졌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 안주 없이 마시는 술을 ‘강술’이라고 한다. 소주를 안주 없이 마시면 ‘강소주’라고 말할 수 있다. 흔히 된발음으로 ‘깡술’, ‘깡소주’라고 하는데, ‘강술’, ‘강소주’가 표준말이다. ‘강’이 “다른 첨가물이 없이 오직 그것만으로 된”이라는 뜻을 보태 주는 순 우리말이기 때문에, 두부나 호박 같은 재료를 넣지 않고 빡빡하게 끓이는 된장을 ‘강된장’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 ‘강된장’을 일부 지방에서는 ‘깡장’이라 말하기도 한다. ‘강’이 붙는다고 모두 한자말 ‘굳셀 강’으로만 여길 게 아니라, 이렇게 순 우리말 ‘강’이 따로 있다는 것을 생각해서 여러 가지 경우에 응용해서 쓰면 좋겠다.

  ◆ 좋은 것은 따라하는 것이 좋다-홍종현 운영위원

울산시가 ‘공공언어 개선 용례집’ 300부를 발간한다고 7월 15일 발표했다.이렇게 공공기관이 앞장 서서 알기 쉬운 글을 사용하고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정말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관공서에서 각종 민원을 진행하다보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동안 직원들이 친절해진 것은 사실 이지만, 사용하는 행정 용어는 아직 많이 불친절하다.

울산시가 이번에 바꾼 말들을 살펴 보자
■ 메세나 → 문예후원
■ 바우처제도 → 복지상품권제도
■ 소셜커머스 → 공동할인구매
■ 시방서 → 설명서
■ 부당 염매 → 싸게 팔기
■ 양생 → 굳히기
■ 회납금 → 반납금
■ 협착 → 끼워 붙이기
■ 우수 무지 → 오른 엄지
■ 음용수 → 먹는 물

메세나 바우처제도와 같이 외국어를 직접 사용한 경우도 있고 우수, 무지와 같이 도무지 무슨 뜻인지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아마도 손도장을 찍을 때 쓰는 말인 것 같다. 양생, 회납금 이런 것들도 그냥 들어서는 무슨 말인지 알 수 없다.

다른 지방자치단체들도 울산시를 많이 따라하면 좋겠다. 좋은 것은 바로 따라하는 것이 좋다.

* 관련 기사는 위 그림을 누르면 볼 수 있습니다.

'한글아리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아리아리 440  (0) 2013.08.09
한글 아리아리 439  (0) 2013.08.02
한글아리아리 437  (0) 2013.07.18
한글아리아리 436  (0) 2013.07.12
한글아리아리 435  (0) 2013.07.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