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우리말 비빔밥(이건범)56

(1) 국어사전에 한자어가 70%나 된다던데, 사실일까? 국어사전에 한자어가 70%나 된다던데, 사실일까? 거짓이다. 국립국어원에서 간행한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51만여 개의 낱말 가운데 한자어는 57%이다. 물론 그 한자어 가운데에도 사전에만 실려 있을 뿐, 현실에서는 일상생활 및 전문 분야 어디에서도 전혀 사용하지 않는 낱말이 수두룩하다. ‘푸른 하늘’을 뜻하는 말만 해도 궁창(穹蒼), 벽공(碧空), 벽락(碧落), 벽소(碧霄), 벽우(碧宇), 벽천(碧天), 벽허(碧虛), 제천(霽天), 창궁(蒼穹), 창호(蒼昊), 청궁(靑穹), 청명(靑冥), 청허(晴虛) 등 13개 이상이 실려 있고, ‘넉넉하다’는 뜻의 ‘은부(殷富)하다’처럼 우리가 죽을 때까지 듣도 보도 못할 낱말들이 많다. 한자 혼용파의 이러한 주장은 일제 강점기인 1920년에 조선 총독부가 만든 《.. 2013. 7. 12.
(0)-과학과 진실의 눈으로 살펴봅시다. ** 다음은 이건범 대표의 글로 한겨레 훅에 연재를 하는 내용입니다. ( http://hook.hani.co.kr/archives/50104 ) 우리말에 한자어가 많으니 초·중등 교과서에 나오는 한자어는 한자로 적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초등학생에게도 한자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인다. 이들은 2013년 2월 18일에 몇몇 국회의원을 앞세워 “초·중등교육법 일부 개정안”을 냈다. 개정안은 교과서에 한글과 한자를 함께 사용하자는 방안을 담고 있는바, 한자 혼용으로 가는 디딤돌을 마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한자어는 반드시 한자로 적어야 그 뜻을 알 수 있다는 이 사람들의 주장은 논리가 궁지에 몰리면 카멜레온처럼 변하므로 찬찬히 짚어보아야 참과 거짓을 가릴 수 있다. 한자는 우리 조상의 .. 2013.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