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50

[활동] 정재환 공동대표 강연 [정재환 공동대표 강연] ▶ 주제: 높임말 제대로 알고 있습니까? ▶ 때: 2018년 12월 4일(화) ▶ 곳: 강남세브란스병원 강당 ▶ 참석 대상자: 강남세브란스 병원 간호사 및 병원 직원 70여 명 참석 2018. 12. 5.
[활동] 김명진 한글문화연대 부대표 강연 [김명진 한글문화연대 부대표 강연] ▶ 주제: 높임말 제대로 알고 있습니까? ▶ 때: 2018년 11월 28일(수) ▶ 곳: 강남세브란스병원 강당 ▶ 참석 대상자: 강남세브란스 병원 간호사 및 병원 직원 35명 참석 2018. 12. 5.
[15기] 모둠활동 소식/11모둠 지난 두 번의 우리말 능력 평가는 반응이 정말 뜨거웠는데요. 열렬한 반응에 의욕이 샘솟아 한층 새롭고 재밌는 문제를 출제했다고 합니다. 다들 십자말풀이는 많이들 알고 계시죠? 몇몇 잡지의 뒷면이나 신문, 방송 중에서는 우리말 겨루기에서 흔히 볼 수 있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다듬은 말(순화어) 십자말풀이 가로, 세로 열쇠에 해당하는 다듬은 말을 하나하나 채우시다 보면 저기 빨간 상자 속 단어를 확인하실 수 있을 텐데요. 상자 속 단어의 뜻은 과연 무엇일까요. 다들 연필 들어주시고 출발! 모르는 다듬은 말이 있었다면 새로이 배우고, 아는 말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가 막힌 가치와 복을 지닌 여러분 모두, 아리아리! 우리말가꿈이 15기 아리아리! ✏기획 및 제작 : 11.. 2018. 12. 5.
장을 지지다 [아, 그 말이 그렇구나-263]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 속담 가운데 ‘장을 지지다’는 말이 있다. 자기가 주장하는 것이 틀림없다고 장담할 때 ‘장을 지지다’라는 표현을 쓴다. 이 속담이 어떤 의미에서 생긴 말인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들이 있다. 이때의 ‘장’을 ‘掌’(손바닥 장)으로 보면 ‘장을 지지다’는 ‘손을 지지다’로 해석되고, ‘장’을 된장이나 간장을 뜻하는 ‘醬’(젓갈 장)으로 보면 ‘장을 지지다’는 ‘장을 끓이다’로 해석되며, ‘장’을 ‘章’(글 장)으로 보면 ‘인장(印章)을 지지다’로 이해된다. 그런데 이 속담은 그냥 ‘장을 지지다’로만 전해지지 않고 “손에 장을 지지겠다.”, “손바닥에 장을 지지겠다.”처럼 구전되어 쓰이고 있다. 그렇다면 손이나 손바닥을 중복해 쓴 ‘掌’보다 ‘醬’ 또는 .. 2018. 12. 5.
[15기] 모둠 활동 소식/6모둠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는 맞춤법. 때로는 누가 지적해서 짜증이 나기도 하고, 또 어떤 때는 누가 맞춤법을 너무 틀려서 교정해주기도 하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에요와 예요, 이여요, 거에요와 거예요 등 어떤 상황에 이걸 써야 하는지 헷갈렸던 우리말 맞춤법을 사례, 예외사항과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렇게 정리해서 알아두면 앞으로 틀릴 일은 줄겠죠. 조금만 신경 쓰면 틀리지 않을 수 있는 맞춤법 함께 공부해서 틀리지 않도록 노력하기로 우리말가꿈이와 약속해주세요. 한글이 우리나라를 이끄는 빛이 될 때까지 아리아리! 우리말가꿈이 15기 아리아리! ✏기획 및 제작 : 6모둠 한글빛 2018. 12. 4.
좋은 말들 2 어제를 후회 말고 내일을 걱정 말고 오늘에 충실하라 (석가모니) 부처님, 그런데 유비무환은요? 2018. 12. 4.
좋은 말들 1 돌다리도 두드리고 건너라 쇠뿔은 단김에 빼라 쇠뿔 빼러 돌다리를 건너자 2018. 12. 3.
용인청소년수련관, 우리말 아리아리 녹음실 현장 견학 ▶ 때: 2018년 11월 24일(토) 오전 11시~오후 1시 ▶ 곳: 한글문화연대 활짝 ▶ 방문인원: 용인청소년수련관 학생과 지도선생님 포함 15명 - 동아리 활동에 대한 궁금증 질문,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 녹음 현장 견학 2018. 11. 29.
[이웃집소식] 국악뮤지컬, 성왕의 낙원 세종대왕 즉위 600돌 기념 문화적 혁명으로 이룬 위대한 "미래" 가슴 뜨거운 감동 국악뮤지컬 성왕의 낙원 - 아래 그림이 입장권인 셈입니다. 들어가는 곳에서 이 그림을 보여주면 누구나 무료 입장할 수 있습니다. 전문예술단체 한국창극원(대표 박종철)이 세종대왕 즉위 600돌을 기념하며, 12월 2일 연세대학교 대강당을 시작으로 12월 8일 대구 달성문화체육관, 12월 11일 김해 서부문화센터, 12월 14일 계룡 문화예술의전당, 12월 23일 제주아트센터, 1월 4일 창녕 문화예술회관에서 창극 공연을 올린다. 창극 은 한국창극원에서 기획, 제작하여 다수의 공연을 통해 그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며 한국 역사 속 위대한 인물의 스토리와 우리의 소리, 춤, 음악, 미술을 함께 엮어 우리 문화예술의 가장 아름다운 .. 2018.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