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7

헌법 문장 쉽게 바꿔야 국민 알권리 지킬 수 있어-서울신문/2018.01.18 “법 문장이 지나치게 어려워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법조인이 일종의 ‘언어권력’을 휘두르는 셈인데, 이를 하루바삐 바로잡아야 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개헌 의지를 강하게 내비친 가운데 국어 관련 단체와 시민 단체들이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운동’에 나섰다. 한글문화연대, 한글학회, 흥사단, 전국교수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을 비롯한 41개 단체가 모인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운동본부)는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잘못된 법률 용어를 순우리말로 바꾸고 문장을 다듬는 운동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운동본부 공동대표 겸 집행위원장을 맡은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는 이와 관련,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 민족문화 정체성을 돋우려면 용어와 문장을 알기 쉽도록 고쳐야 한다.. 2018. 1. 18.
[출범 기자회견]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 펼친다 2018년 1월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한글문화연대를 비롯한 한글 단체, 흥사단 등 시민단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교육단체,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등 학부모단체 41개 단체가 모여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 출범 기자회견을 열었다. 출범식에는 금태섭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과 국민운동본부 권재일(한글학회 회장), 류종열(흥사단 이사장), 이건범(한글문화연대 대표), 이대로(한글사용성평가위원회 회장), 이주영(한국어린이문학협의회 회장) 공동대표를 비롯하여 김영환(한글철학연구소 소장), 오동춘(짚신문학회 회장), 최기호(세종대왕나신곳성역화국민위원회 상임대표), 박용규(이극로연구소 소장), 송환웅(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부회장) 등 참여 단체 대표, 문성근(흥사단 사무국장), 김명진·정인환(한글.. 2018. 1. 17.
[논평] '초등교과서 한자 병기 정책 폐기' 발표를 환영한다. 교육부의 ‘초등교과서 한자 병기 정책 폐기’발표 환영 논평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국민운동본부 상임대표: 이대로 010-4715-9190, 집행위원장: 박용규 010-3742-1231 교육부는 지난 1월 10일 를 통해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정책을 폐기한다고 공식으로 밝혔습니다. 초등교과서 한자 병기 정책은 박근혜정권의 교육부가 추진한 정책으로 몹시 나쁜 정책이었습니다. 적폐 정책 가운데 대표적이었습니다. 54개 단체가 참여한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국민운동본부(상임대표 이대로)는 늦게나마 교육부가 잘못된 정책임을 인정하고 폐기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국어·교육·시민단체는 장장 3년 4개월 동안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정책을 비판하고 규탄하였습니다. 초등학교의 경우 한글전용 교과서로 배워도 학습 이해에.. 2018. 1. 17.
국민 청원:: ‘알기 쉬운 헌법’ 만들어 주세요~ 헌법을 알기 쉽고 우리말답게 바꾸어 주십시오. 저는 의 공동대표인 한글문화연대 이건범입니다. 우리 국민운동본부는 한글학회와 한글문화연대 등 국어단체, 흥사단과 한국와이엠시에이(YMCA)전국연맹 등 시민단체,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등 교육학부모단체를 비롯한 41개 단체가 모여 2018년 1월 17일에 출범하였습니다. 헌법은 대한민국 국민의 삶을 뿌리에서 좌우합니다. 따라서 국민의 행복 추구권과 알 권리, 평등권을 보장하기 위해 헌법은 우리 국민이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기 쉬워야 하며,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에 애써야 하는 국가의 의무에 비추어 우리말답게 써야 합니다.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은 바로 이와 같은 헌법 정신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1.. 2018. 1. 17.
가톨릭평화방송-열린세상 오늘 김혜영입니다.<이건범 대표 인터뷰> 2018년 1월 11일(목)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병기정책 폐기에 관련하여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 인터뷰 내용을 담았습니다. ▶ 인터뷰 내용 들어보기 ▶ 인터뷰 전문 내용 읽어보기 ■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pbc 가톨릭평화방송 '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pbc 가톨릭평화방송'에 있습니다.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 [주요 발언] "초등 교과서에 한글과 한자 병기 불필요" "한자병기, 교과서를 한자교재로 활용하는 정책" "한자 써야 사고력이 높아진다는 건 단순 논리" "정부, 한자병기 폐기 정확하게 알릴 의무 있어" [인터뷰 전문]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글과 한자를 같이 쓰는 것. 청취자 여러분은 어떻.. 2018. 1. 11.
[속보] 교육부, 초등교과서 한자 병기 정책 폐기- 한겨레신문/2018.01.10 [단독] 교육부, 초등교과서 한자 병기 정책 폐기 [한겨레] 2019년 초등 5~6학년 교과서 300자 표기 백지화 교육부 “쟁점화 안 되는 게 낫다”며 알리지 않아 이전 정부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 정책을 추진했던 교육부가 새 정부 출범 이후 이를 폐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9일 교육부 교과서정책과는 “지난해 말 현장 적합성 검토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해보니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를 표기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해 이를 더이상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지난해 12월27일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자료’(편수지침)를 누리집에 띄우고, 교과서에 실을 수 있는 교육용 기초한자로 중·고교용 1800자만 소개했다. 교과서에 한자를 함께 표기하려면 먼저 편수지침.. 2018. 1. 10.
[안전 용어]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영상) 어떤 말이 더 이해하기 쉬울까요? 어떤 말이 국민을 더 안전하게 할까요? 안전을 위협받는 긴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말이 생각나지 않거나 무슨 뜻인지 알지 못해 필요한 조치를 못 하게 된다면....? 어려운 말이 우리의 안전을 위협합니다. 안전에 관한 말은 쉬운 말로 해야 더욱 안전할 수 있습니다. 외국어나 낯선 한자어는 정확한 뜻을 알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쉬운 우리말로 쓰면 누구든지 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씁시다. 나아가 공공언어는 국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말, 뜻이 분명한 말로 써야 합니다.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2017. 12. 29.
[마침] 12월 알음알음 강좌(24)-말이 칼이 될 때/홍성수 교수 ■ 주제: 말이 칼이 될 때 ■ 강사: 홍성수 교수(숙명여대, 법학과) ■ 때: 2017년 12월 28일 목요일, 저녁 7시 30분부터 ■ 곳: 활짝(한글문화연대 마포 사무실 옆방) 2017. 12. 29.
[안전 용어]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소책자" 홍보 활동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를 비롯하여 네 명은 12월 18일 새벽 6시 기차를 타고 정부 청사가 있는 오송역 버스환승센터와 세종시에서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라는 책자를 출근하는 공무원들에게 나눠주었다. 추운 날씨와 바쁜 출근길에서도 한글문화연대가 나눠 준 책자를 꼼꼼히 살펴보며 읽는 사람들이 눈에 띄기도 했다. *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모음집 보러가기 2017.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