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0

[마침] 12월 알음알음 강좌(24)-말이 칼이 될 때/홍성수 교수 ■ 주제: 말이 칼이 될 때 ■ 강사: 홍성수 교수(숙명여대, 법학과) ■ 때: 2017년 12월 28일 목요일, 저녁 7시 30분부터 ■ 곳: 활짝(한글문화연대 마포 사무실 옆방) 2017. 12. 29.
[안전 용어]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소책자" 홍보 활동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를 비롯하여 네 명은 12월 18일 새벽 6시 기차를 타고 정부 청사가 있는 오송역 버스환승센터와 세종시에서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라는 책자를 출근하는 공무원들에게 나눠주었다. 추운 날씨와 바쁜 출근길에서도 한글문화연대가 나눠 준 책자를 꼼꼼히 살펴보며 읽는 사람들이 눈에 띄기도 했다. *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모음집 보러가기 2017. 12. 18.
[국민신문고]"GREEN FOOD ZONE"이라는 영문 표현을 없애주십시오(답변) 안녕하세요?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상임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로 만드는 운동에 앞장서 활동한 시민단체로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일에 힘써 왔습니다. 특히, 공공언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 권리와 의무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쉽고 바르고 분명한 우리말로 쓰자는 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국어기본법 제14조에서는 "공공기관은 공문서를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에게 재난이나 위험이 닥쳤을 때 안전을 다루는 말은 안전에 바로 영향을 미치므로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을 한글로 적는 게 마땅합니다. 그런데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시행규칙'의 제3조 관련 별표1(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 2017. 12. 14.
[한겨레신문]/[왜냐면]개헌, '알기 쉬운 헌법'으로 가자-2017.12.12. [왜냐면]개헌, '알기 쉬운 헌법'으로 가자-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법무부에서 2015년 한글날에 민법 개정안을 국회에 보내 고치려 했다. 예를 들어 108조에 나오는 “相對方(상대방)과 通情(통정)한 虛僞(허위)의 意思表示(의사표시)”를 “상대방과 짜고 거짓으로 한 의사표시”라고, 낯설고 어려운 한자어를 쉬운 말로 바꾸면서 한글전용으로 적겠다는 생각이었다. 19대 국회의원들의 무관심 탓에 물거품에 그치긴 했지만, 법령 분야에서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려는 매우 중요한 시도였다. 1958년에 만들어진 대한민국 민법은 부끄럽게도 일제 강점기부터 사용하던 일본 민법을 많이 베꼈던지라 우리는 쓰지 않는 일본어 한자어와 말투, 낯선 한자어가 그득하다. 1987년에 마련되긴 했으나 지금의 헌법도 낯선 한자어와.. 2017. 12. 12.
[알림]12월 알음알음 강좌(24) - 말이 칼이 될 때/홍성수 교수 ■ 주제: 말이 칼이 될 때 - 혐오표현의 개념과 논쟁 그리고 대응 혐오표현이 사회문제로 떠오른 지 수년이 흘렀지만 아직 그 개념조차 합의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 강연은 혐오표현의 개념에서 시작하여 혐오표현의 해악, 그 규제를 둘러싼 관련 논쟁까지 소개하고 그 법적, 사회적 대응을 모색해 본다. * 강사: 홍성수 교수(숙명여대 법과대학 법학과) ■ 때: 12월 28일(목) 저녁 7시 30분 ■ 곳: 활짝(공덕역과 마포역 사이) ** 찾아오는 길 더 자세히 보기 2017. 12. 6.
[공문/답변]태스크포스라는 외국어를 사용하지 말아 주십시오 2017년 10월 24일, '티에프'라는 외국어 사용과 관련하여 농림축산식품부에 공문을 보냈고,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이에 대한 답변을 보내왔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우리 농림축산식품부 업무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깊이 감사드립니다. 먼저, 외국어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사과드리며, 귀 단체에서 국민신문고를 통해 신청하신 민원(신청번호 1AA-1711-087088)에 대해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귀 단체에서 제기하신 민원내용은 "태스크포스라는 외국어를 사용하지 말아 주십시오"라는 내용으로 공공기관에서 바른 우리말을 사용할 것을 당부하시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우선, 귀 단체에서 지적해주신 ‘반려견 안전 관리 태스크포스(TF)’라는 부적절한 표현이 포함된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는 국립국어원에.. 2017. 11. 20.
[누리방송4-50] 그러니까 말이야 - 아하 그렇구나 <'가을하다'의 뜻, 가을 속담>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그러니까 말이야 넷째 타래 50회] ▶ 우리말 소식 - 대학가 음료수 자판기에 상품명이 가려졌다고 합니다. 자판기 훈맹정음 사업을 소개합니다. - 국립공원관리공단 외국어 말고 우리말 쓰라고 말한 국회위원을 소개합니다. ▶ 재밌게의 - '가을하다'의 뜻, 가을 속담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수요일: 우리말 뉴스, 돌비의 , 정재환의 금요일: 우리말 뉴스, 재밌게의 월요일: 우리말 뉴스, 문어발의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듣는 방법 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 2017. 11. 17.
[안전 용어]안전산업박람회에 찾아가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라는 활동을 펼치다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를 비롯하여 다섯 명이 11월 15일부터 고양시 한국국제전시장(킨텍스)에서 열린 ‘제3회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에 찾아가 박람회 참여 업체 250여 곳과 방문객에게 ‘안전 관련 용어에는 쉬운 우리말을 써 주십시오.’라는 제목의 공문과 꼭 바꿔써야 할 어려운 안전용어 목록을 나눠주었다. 공문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어기본법 제14조에서는 “공공기관은 공문서를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안전을 다루는 용어는 산업계만이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사용하게 되어 국민의 안전에 바로 영향을 미치므로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을 한글로 적는 게 마땅합니다. 어려운 안전 용어는 행정기관과 해당기업.. 2017. 11. 15.
[누리방송4-49] 그러니까 말이야 - 심층수다 <한글의 세계화 지원 법률안이 마냥 반갑지 많은 않은 까닭>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그러니까 말이야 넷째 타래 49회] ▶ 우리말 소식 - 부산교통공사에서 일본식 철도 전문용어를 우리말로 순화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전합니다. - 코리아패싱은 정치용어가 아닌 호사가들이 만든 용어로 밝혀졌습니다. ▶ 정재환의 - 모두가 위너 ▶ 돌비의 - 한글의 세계화 지원 법률안이 마냥 반갑지 많은 않은 까닭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월요일: 우리말 뉴스, 문어발, 김슬옹 운영위원의 수요일: 우리말 뉴스, 정재환의 , 돌비의 금요일: 우리말 뉴스, 재밌게의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2017.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