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1440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동대문소방서 - 2023.01.05 공문 접수 후 23.1.5.(목) 제거하여 조치하였습니다. 2023. 1. 27. [공문]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동대문소방서 - 2023.01.04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동대문소방서 용두119안전센터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구호로 바.. 2023. 1. 27. [공문] 원스톱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행정안전부 정부24 정책팀 - 2022.12.09 1. 행정안전부 정부24정책팀의 평소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한글문화연대는 11월 28일 시민의 제보를 받아 강원도 홍천군 누리집에 쓰인 ‘원스톱’을 바꿔달라고 요청했습니다. 11월 30일 홍천군 종합민원과에서는 “원스톱서비스는 행정안전부에서 총괄하여 전국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특정 지자체에서만 변경할 수 없다."라고 답변했습니다. 4. 원스톱은 2021년에 시행한 「공공언어 속 외국어의 국민 이해도와 수용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40.6%’, 70세 이상.. 2023. 1. 27.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자체 제작물, 오리지널 콘텐츠 오늘 살펴볼 말은 ‘오리지널 콘텐츠’(original contents)다. 인터넷동영상서비스(오티티)나 전자책 서점 등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 공개하는 제작물을 가리킨다. 연원을 따져 보면 지금부터 무려 20년 전인 2002년 처음 우리 언론에 등장해 지금까지 5만번이 넘게 쓰인 표현이다. 처음 디지털타임스에 이 표현이 나타났을 때는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Use)라는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서였다. 웹, 모바일, 디지털 티브이 등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하게 유통(멀티 유즈)할 수 있는 하나의 원천 제작물(원 소스)을 가리키는 게 바로 ‘오리지널 콘텐츠’였다. 이후 수입 영상물을 주로 방영하던 국내 위성방송, 케이블 방송에서 수입품이 아닌 ‘자체 제작 국산 프로그램’을 만들어 .. 2023. 1. 4.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하락 전환과 피크 아웃 어려운 외국어 신조어를 우리말로 다듬는 새말 모임의 성과물을 이 지면에 소개한 지 어느덧 1년이 돼 간다. 그간 스무 개가 조금 넘는 우리말을 이 지면을 통해 선보였다. 그런데 이번처럼 언론에서 우리말 설명을 각양각색으로 덧붙인 외국어는 없었던 것 같다. 그만큼 많이 쓰이고는 있으되 우리말로 표현하기는 까다로운 용어라는 얘기다. ‘피크 아웃’(Peak Out)이 주인공이다. ‘피크 아웃’이란 고점(peak)을 찍은 뒤 빠져나온다(out)는 뜻으로, 경기나 주식이 최고점을 찍고 하락 국면에 접어드는 상황을 일컫는다. 영어의 뜻 자체만으로는 경기나 주식 등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몸 상태나 운동 기량 등 여러 방면에서 최고 상태를 기록하고 내리막에 막 접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경제 용.. 2023. 1. 4. [마침] <2022 한글문화 토론회> 토박이말 꽃피우는 길 ■ 주제: 토박이말 꽃피우는 길 ■ 때: 12월 27일 화요일 14:30~17:30 ■ 곳: 활짝 ■ 여는이 : 한글문화연대 ■ 도운이 :토박이말바라기 ■ 전체진행 : 최지명 ■ 종합토론 진행 : 이건범(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2022년 12월 28일 오후 2시 반부터 5시 반까지 한글문화연대는 이라는 주제로 2022 한글문화토론회를 열었습니다. 토론회에는 총 11명이 참가했습니다. 첫번째로 이창수(사단법인 토박이말 바라기 맡음빛)님이 '토박이말로 가르치고 배우는 길 찾기'를 주제로 토박이말을 살려 일으켜 북돋울 방법을 발표해주셨습니다. 이어서 이건범(한글문화연대 대표)님은 우리 국민이 자주 사용하는 고빈도 한자어 어휘 위주로 1만~3만 개 규모의 어휘 목록을 구축하고, 이에 대응하는 토박이말을 연결해야.. 2022. 12. 28. [마침] 서른세 번째 알음알음 강좌 - 석금호 산돌 의장이 들려주는 산돌의 글꼴 개발 역사 ■ 주제 : 산돌의 글꼴 개발 역사 - 글꼴 만들기 의지를 갖게 된 동기 산돌의 글꼴 개발 역사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글꼴) 한글이 글꼴시장에서 갖는 의미 ■ 강사 : 석금호 (산돌 의장) ■ 때 : 2022년 12월 23일 (금) 오후 3시 ~ 5시 ■ 곳 : 한글문화연대 모임공간 '활짝’ 2022년 12월 23일 한글문화연대에서는 를 주제로 서른두 번째 알음알음 강좌를 열었습니다. 강사인 석금호 의장님은 산돌의 글꼴 개발 역사를 주제로 강의를 진행해주셨습니다. 산돌이 그동안 만든 글꼴 자료를 직접 제시하며 강의를 이어갔습니다. 인용해주신 자료 덕분에 참석자들이 세계 시장에서 한글이 갖는 의미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 강의를 들려주신 석금호 의장님, 고맙습니다^^ 2022. 12. 28. [민원/답변] 2022교육과정 개정안에서 사용한 4가지 외국어 용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써 주십시오. 교육부 - 2022.12.12 ○ 안녕하세요? 교육부 2022교육과정개정지원팀입니다. 귀하께서 국민신문고를 통해 요청하신 내용에 대한 검토 결과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 먼저, 우리 부 교육정책과 관련하여 의견을 주신 데 대하여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귀하께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 개정안에서 사용한 4가지 외국어 용어(AI, 아이디어, 리터러시, 브레인 스토밍)를 우리말로 바꾸어 달라는 의견을 주신 것으로 이해하고 답변드리겠습니다. ○ 귀하께서 요청하신 내용을 포함한 다양한 대국민 의견, 전문가 검토 및 현장 적합성 등에 대한 의견은 연구진에 전달되어 논의 중이며, 관련 위원회 회의 등에서도 지속적으로 검토 및 논의 중임을 알려드립니다. ○ 현재 「국민참여소통채널」에 탑재된 교과 교육과정 시안은 최종안이 아니며, 추후 지.. 2022. 12. 22. [민원] 2022교육과정 개정안에서 사용한 4가지 외국어 용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써 주십시오. 교육부 - 2022.11.24 안녕하세요?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국가 교육과정은 초중등 공교육의 길잡이 노릇을 하는 중요한 공문서이므로, 국어기본법 제14조1항에서 규정한 것처럼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합니다. 국어기본법 제3조에 규정한 대로 대한민국의 공용어(공식어)는 한국어이므로, 한국어로 번역하여 표현할 수 있는 용어는 모두 한국어 용어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2022개정 교육과정에 담긴 다음의 4가지 외국어 단어를 우리말로 바꿔 한글로 써 주시기 바랍니다. 1. AI --> 인공지능 2. 아이디어 --> 생각 3. 리터러시 --> 문해력 4. 브레인 스토밍 --> 생각 쏟아내기 이와 같은 외국어 용어를 사용하는 학자들은 대체로 우리말로는 그 의미.. 2022. 12. 22.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