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7

[공문/답변]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자치과 - 2022.12.02 1. 귀 기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와 관련하여 요청드린 사항에 대해 첨부파일과 처리하였으니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2. 12. 14.
[공문]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자치과 - 2022.12.01 1. 구민중심 혁신행정! 더불어 잘 사는 행복북구!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자치과의 평소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광주광역시 북구 누리집에 쓰여 있는 ‘아카이브’라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아카이브는 2020년에 시행한 「외국어의 국민 이해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21%’, 2021년 「공공언어 속 외국어의 이해도와 수용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18%’를 기록한 어려운 외국어입니다. 공공언어에서는 우리말 ‘자료저장소’, ‘자료보관’ 등으로 쓰는 .. 2022. 12. 14.
[공문/답변]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광주광역시 광산구 문화예술과 - 2022.12.09 문화예술과-14859(2022.12.07.)호와 관련하여 광산구 누리집(문화관광 홈페이지) 용어 개선사항을 붙임과 같이 제출합니다. □ 개선사항 : 문화관광 홈페이지 메뉴명칭 변경 ○ 광산구 아카이브 → 광산구 자료저장소 붙임 개선 사항 1부 끝. 2022. 12. 14.
[공문]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광주광역시 광산구 문화예술과 - 2022.12.01 1. 상생과 혁신으로 광산을 새롭게 시민을 이롭게! 광주광역시 광산구 문화예술과의 평소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광주광역시 광산구 누리집에 쓰여 있는 ‘아카이브’라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아카이브는 2020년에 시행한 「외국어의 국민 이해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21%’, 2021년 「공공언어 속 외국어의 이해도와 수용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18%’를 기록한 어려운 외국어입니다. 공공언어에서는 우리말 ‘자료저장소’, ‘자료보관’ 등으로 쓰.. 2022. 12. 14.
[공문/답변]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경주문화재단 - 2022.11.28 1.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현재 신라문화제 누리집은 수정 및 보완 작업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축제갤러리 - 아카이브 목록의 게시 자료는 게시물 성격에 적합한 타 목록으로 이동 후 삭제될 예정입니다. 3. 차년도는 제50회 신라문화제를 기념하여 경주시민의 신라문화제에 대한 기록물 수집 확대운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자료 수집시기에 맞춰 누리집 내 목록을 신설할 예정이며, 신설 시 '자료보관소' 등의 우리말로 개선하고자 하오니 이점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2022. 12. 14.
[공문]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경주문화재단 - 2022.11.24 1. 재단법인 경주문화재단의 평소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신라문화제 누리집에 쓰여 있는 ‘아카이브’라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아카이브는 2020년에 시행한 「외국어의 국민 이해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21%’, 2021년 「공공언어 속 외국어의 이해도와 수용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18%’를 기록한 어려운 외국어입니다. 공공언어에서는 우리말 ‘자료저장소’, ‘자료보관’ 등으로 쓰는 것이 적합하다고 답한 국민이 83.4%로 나타났습니다. 우.. 2022. 12. 14.
[알림] 서른세 번째 알음알음 강좌 - 석금호 산돌 의장이 들려주는 산돌의 글꼴 개발 역사 ■ 주제 : 산돌의 글꼴 개발 역사 - 글꼴 만들기 의지를 갖게 된 동기 산돌의 글꼴 개발 역사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글꼴) 한글이 글꼴시장에서 갖는 의미 ■ 강사 : 석금호 (산돌 의장) ■ 때 : 2022년 12월 23일 (금) 오후 3시 ~ 5시 ■ 곳 : 한글문화연대 모임공간 '활짝’ ■ 수강신청 (아래 설문지를 작성해주세요) 로드 중… 2022. 12. 13.
[미디어오늘] ODA, SPV, ASF, GVC, VC... 정확히 뭔지 아시나요? - 2022.12.06 ODA, SPV, ASF, GVC, VC 시민단체 한글문화연대가 지난해 9월 조사기관 티앤오코리아에 의뢰해 조사한 ‘공공언어 속 외국어의 국민 이해도와 수용도 조사’ 결과, 주요 로마자 약어에 대한 국민 이해도가 가장 낮은 단어들이다. 해당 단어들의 국민 이해도는 각각 ODA(공적개발원조) 7.4%, SPV(기업유동성지원기구) 8.4%, ASF(아프리카돼지열병) 8.7%, GVC(국제공급체계) 9.7%, VC(벤처투자사) 10.4% 등으로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1명 정도만 이해하는 단어들이지만 정부기관 보도자료나 언론보도에 그대로 등장하기도 한다. 김명진 한글문화연대 부대표는 지난 2일 한글문화연대 주관으로 서울 용산 국립한글박물관에서 개최한 ‘2022 쉬운 우리말 쓰기, 공공언어 개선 학술대회’에.. 2022. 12. 13.
[농민신문] 알기 쉬운 용어가 도농장벽 허물길 - 2022.12.05 1980년대를 풍미했던 라는 영화가 있다. 할리우드 대표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가 제작한 사이언스픽션(SF) 영화로 3탄까지 나왔을 정도로 크게 흥행했다. 주인공이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가 결혼하기 전 부모를 만나기도 하고 또 위기에 빠진 자녀를 구하기 위해 미래로 간다는 허무맹랑한 내용이다. (중략) 오래전부터 써왔던 한자 농업용어는 학교에서 한자를 배우지 않은 세대들에겐 마치 암호처럼 들릴 것이다. 마찬가지로 세계화 바람을 타고 들어온 영어식 농업용어는 오랫동안 농촌을 지켜오신 어르신들을 한숨짓게 만든다. 한글문화연대는 몇년째 어려운 공공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고 있다. 올해는 농촌진흥청과 함께 그동안 미뤄두었던 어려운 농업용어를 다듬고 있다. 경엽(莖葉)·조사료(粗飼料)·파각란(破却卵)·입제(粒劑.. 2022.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