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1440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펫 프렌들리 서비스? 아니 아니, 반려동물 친화 언어는 시대에 따라 변한다. 같은 단어라도 그 언어를 사용하는 언중에 따라 부정적으로 쓰이기도 하고, 긍정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리고 어느 시대에는 금기시되던 말이 다른 시대에는 긍정적으로, 또는 무난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예전엔 애완동물이라고 쓰다가 지금은 반려동물이라는 말을 너무나 자연스럽게 쓰고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이라고 쓰던 초기에는 국립국어원에 항의성 민원 전화가 적지 않게 왔다고 한다. 왜 동물에게 ‘반려’라는 단어까지 쓰냐는 얘기였다. 지금은 반려동물들이 좋은 것을 먹고, 철저한 의료 서비스도 받으며 지내는 일이 낯설지 않다. ‘개 팔자가 상팔자’라는 옛 속담이 현실인 세상이 됐다. 물론 한편에서는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농장에서 학대받으며 지내는 동물들도 있다. 외국어를 우리말로 다듬는.. 2022. 6. 2.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큐레이션 커머스’는 ‘소비자 맞춤 상거래’로 이번 새말모임에서 다듬을 말은 ‘큐레이션 커머스’였다. 역시 어렵다. 처음 듣는 말이다. 신조어다 보니 새말모임의 위원들에게도 생소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 마땅히 다듬어야지. ‘큐레이션 커머스’는 전시 기획자가 작품을 수집, 전시, 기획하듯이 특정 분야 전문가가 소비자의 성향 등을 고려해 직접 제품을 고르고 할인한 가격에 파는 전자상거래를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전시회를 기획하고, 작품을 수집하고 관리하는 일을 하는 ‘큐레이터’가 작품을 추천하듯이 전문가가 추천해 상품을 기획하고 판매하는 전자상거래의 일종이다. 새말모임의 한 위원은 “예전에 ‘큐레이션 서비스’를 정보 추천 서비스로 다듬었던데, 그것과 연계해서 ‘추천 상거래’로 해도 되지 않을까요?”라고 제안했고, 다른 위원은 “전문.. 2022. 6. 2.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어린 나이에 가족을 돌보는 청년을 뭐라고 할까? 예전에 소녀소년가장이라는 말이 많이 쓰였다. 국민소득이 3만 달러가 넘는 지금은 이 말의 사용 빈도가 예전보다 줄어든 것 같다. 그런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빈부격차가 큰 나라 중 하나인 대한민국에서 부모나 형제 등을 돌보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가족이 해체되고, 1인가구 등이 늘어난 탓도 있을 것이다. 일본에서 오래전부터 사회문제가 되었던 간병살인의 문제 역시 우리나라에서도 서서히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영 케어러’라는 말을 접했다. ‘영 케어러’는 장애, 질병, 약물 중독 등을 겪는 가족을 돌보는 청년이라는 뜻의 말이다. 이런 청년은 대부분 10대에서 20대로, 부모는 65세 이하인 경우가 많아서 노인 돌봄 서비스는 물론 장애인 지원이나 기초생활수급자 지정.. 2022. 6. 2. [알기 쉬운 우리 새말] 근거리 비행 수단 새말 모임에서는 때로 우리 사회에 아직 완성된 형태로 정착되지 않은 제도, 물건 혹은 용어를 우리말로 다듬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그 말을 대신할 우리말을 선정하는 과정은 조금 더 어렵다. 앞으로 쓰임새가 넓어지거나 기능 자체가 변화할 수 있어서 지금의 모습이나 용도만을 가지고 말을 결정했다가는 얼마 지나지 않아 어색해지거나 말의 수명이 다해 사라져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플라잉 모빌리티’(flying mobility)를 우리말로 다듬을 때 치열한 ‘설전’이 오간 것도 그 때문이다. ‘플라잉 모빌리티’라는 영어 자체의 뜻만 보면 ‘하늘을 나는 이동 능력’이지만, 요즘 우리 사회에서는 이와 달리 특화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기존 장거리 교통·운송 수단인 비행기나 헬기와 구분해 ‘주로 서너 .. 2022. 6. 2.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미코노미, 자기를 위한 ‘자기 중심 소비’로 미코노미? 무슨 말인지 유추해 본다. 아름다울 미(美)와 영어 낱말 이코노미(economy)를 써서 화장품 산업을 뜻하는 걸까? 아니면 쌀 미(米)를 써서 쌀농사를 통한 경제를 말하는 걸까? 둘 다 틀리고 말았다. 나를 뜻하는 영어 낱말 미(me)와 이코노미(economy)를 합친 말이 ‘미코노미’였다. ‘자기 만족을 위한 소비나 지출 등의 경제 활동’을 일컫는 말로 제러미 리프킨의 저서 ‘소유의 종말’에서 처음 언급됐다고 한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미코노미는 개인이 정보의 제작, 가공 및 유통을 전담하는 참여형 소비자(prosumer)로서의 역량이 강화됨에 따라 생겨난 경제 현상이며, 미코노미의 시점은 개인인 ‘나’이기 때문에 국가 및 세계 경제 등과 같은 거시적인 경제가 아닌 소규모 단위의 경제를 지향.. 2022. 6. 2.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알피에이’(RPA)는 ‘업무 처리 자동화’로 신조어라는 것은 새로 생긴 말인 만큼 생소하다. 우리말로 쉽게 쓸 수 있도록 다듬는 작업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새말 모임 구성원들의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전문 영역의 신조어는 특히 그렇다. 전문가들은 신조어가 외국어라도 원래 사용하던 말을 쓰는 것이 훨씬 편하겠지만, 이 신조어가 전문 영역을 벗어나 세상으로 나오는 순간 일반인들은 어렵고 낯설 수밖에 없다. 이번에 올라온 다듬을 말은 ‘알피에이(RPA)’다. 오, 이런. 자동차 알피엠(RPM·Revolution Per Minute)은 많이 들어봤는데, 이건 또 뭔가? 신조어를 그냥 쓰면 안 된다는 강한 신조는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아무래도 이 말은 우리말로 얼른 바꾸는 것이 좋겠다. 행정안전부에서 이 말을 급히 다루어 달라는 요청을 했다고 한다. 알.. 2022. 6. 2. [오마이뉴스] 훈민정음은 세종 단독 창제... 국어사전 수정 미룰 일 아니다 - 22. 03. 30 집현전 학사 협찬설은 훈민정음 창제와 반포의 사실과 진실을 담고 있는 해례본을 보지 않고 저술한 것으로 보이는, 16세기 초 성현의 나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근거 없이 써놓은 단편적 기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를 세종이 집현전 학자들과의 공동 창제 또는 협찬하여 창제했다는 주장은, 해례본이 1940년에 발견·소개되기 이전인 일제강점기에는 그런 추측이 가능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제는 공신력 있는 여러 역사 기록이 '세종'이 친히 창제하였다고 되어 있어, 하나의 설로도 성립할 수 없는 잘못된 역사 내용이다. 세종 단독 창제는 역사적 사실로 보나 조금도 의심할 수 없는 역사적 명제가 되었다 (중략) 필자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어사전 내용 수정을 다음카카오에 요청하였으나 지난 10일 고객.. 2022. 6. 2.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옷 갈아입고 돌아온 신조어, ‘코워킹 스페이스’ 이전에 없던 새로운 현상, 혹은 개념이 생겨났는데 이를 나타낼 만한 말이 외국어로만 존재할 때, 적절한 우리말 표현을 만들 때까지 피치 못하게 외국어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리처드 도킨스가 만들어낸 ‘밈’(meme)이란 표현이 그렇다. 지금은 ‘문화유전자’라는 우리말 표현으로도 대체되지만, 원래 표현이 품은 뜻을 살리기에는 미흡한 면이 없지 않아 1976년 이 단어가 탄생한 이래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미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우리말이 있고, 얼마든지 우리말로 대체할 수 있는데도 굳이 새로 외국어를 도입해 사용하려는 경우가 있다. 오늘 살펴보려는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가 그렇다. ‘코워킹 스페이스’는 여러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작업하는 .. 2022. 6. 2.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안전을 위한 말, ‘작업 중지 요청’ 새말을 만든다는 것은 ‘더하기’와 ‘빼기’ 사이의 절묘한 균형 잡기다. 뜻하고자 하는 개념을 모두 나열하면 입에 착 붙는 압축된 표현을 만들어 내기 어렵다. 반면 간결함을 지나치게 좇다 보면 애초 담아내고자 했던 의미를 온전히 싣지 못할 수 있다. 어떤 핵심 단어를 골라 짝을 지어야 간결하면서 의미가 제대로 사는 새말을 만들 수 있는가. 새말 모임이 늘 품는 고민이다. ‘세이프티 콜’(Safety call)을 우리 새말로 풀어내는 과정도 그러했다. 세이프티 콜이란 현장의 위험을 잘 아는 근로자가 위험을 인지했을 때 즉시 위험을 신고하고 작업 중지를 요청하는 것을 가리킨다. 정부가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줄이고 작업장의 안전 문화를 자리잡게 하려고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도입한 제도다. 용례를 보면 “○○발전은.. 2022. 6. 2.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