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3

9월 2일 방송 <우리말 고운말> 한글문화연대에서는 국어문화원연합회, 티비에스와 함께 사업을 펼칩니다. 9월 1일부터 매주 평일 오전에 방송되는 에서 어려운 공공언어, 교통용어 등을 쉬운 우리말로 바꿔 소개합니다. 추석·한글날 특집방송에서 '우리말 문제풀기'도 할 예정이니 매일 방송되는 을 잘 들어주세요! 방송 제목: 티비에스(TBS FM 95.1) 방송 기간: 9월 1일~11월 30일 방송 시간: 매주 월-금, 오전 11:56~11:58 스타트업→새싹 기업, 신생 기업, 창업 초기 기업 유니콘 기업→거대 신생 기업 함께 써요, 쉬운 우리말! 은 사단법인 국어문화원연합회, 한글문화연대와 함께 합니다. 안녕하세요? , 아나운서 강지연입니다. 이제는 혁신과 창의력이 곧 성공의 열쇠가 되는 시대입니다. 이런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2020. 9. 2.
9월 1일 방송 <우리말 고운말> 한글문화연대에서는 국어문화원연합회, 티비에스와 함께 사업을 펼칩니다. 9월 1일부터 매주 평일 오전에 방송되는 에서 어려운 공공언어, 교통용어 등을 쉬운 우리말로 바꿔 소개합니다.추석·한글날 특집방송에서 '우리말 문제풀기'도 할 예정이니 매일 방송되는 을 잘 들어주세요! 방송 제목: 티비에스(TBS FM 95.1) 방송 기간: 9월 1일~11월 30일방송 시간: 매주 월-금, 오전 11:56~11:58 카셰어링→자동차 공유, 자동차 공유 서비스 그린카→친환경차 함께 써요, 쉬운 우리말! 은 사단법인 국어문화원연합회, 한글문화연대와 함께 합니다. 안녕하세요? , 아나운서 강지연입니다. 환경 문제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문화에도 여러 가지 변화가 생겼는데요, 대표적인 사례가 ‘카셰어링’입니다. 한 대의 .. 2020. 9. 2.
[공문답변] 공문에 대한 공공기관의 답변을 받았습니다. 총 34건 6월 23일부터 8월 22일까지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에 올라온 게시글 중 일부를 선정하여 80건의 공문을 발송하였고 34건의 답변을 받았습니다. 답변은 표현 변경, 표기 병행, 추후 반영, 변경 불가라는 네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습니다. 추후 우리말을 사용하겠다는 추후 반영 의견이 13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그다음으로는 우리말로 변경하겠다는 의견이 7건, 우리말과 병기하겠다는 의견이 7건이었습니다.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은 4건이었고, 기타 의견이 3건이었습니다. 변경이 불가하거나 추후 반영하겠다고 답한 기관은 그 이유로 행정 및 기술 문제, 국민 혼란 유발, 그리고 적합한 우리말의 부재를 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대부분이 추후 우리말을 쓰겠다고 약속하거나 우리말 설명을 붙이겠다고 답하였습니다. 그.. 2020. 8. 27.
[마침] 스물아홉 번째 알음알음 강좌- 우리말 문법은 우리 것인가?/최봉영 교수 ■ 주제: 우리말 문법은 우리 것인가? ■ 강사: 최봉영 교수(전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학) ■ 때: 2020년 8월 24일(월), 저녁 7시 ■ 곳: 활짝(마포 한글문화연대 강의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라는 주제로 스물아홉 번째 알음알음 강좌를 열었습니다. 강사인 최봉영 전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학 교수는 일본에서 영문법을 적용하여 만든 일본어 문법을 우리도 그대로 들여와 국어 문법을 만들었는데, 교착어인 한국어에 굴절어인 영어에 맞는 문법을 적용하니 어울릴 수가 없다는 점과 이러한 문제 의식에 따라 직접 새로 정립한 우리말 문법에 대해 강의하였습니다. 2020. 8. 27.
[인터뷰]/[오마이뉴스] 지하철역의 '키스&라이드', 대체 뭐하는 곳인지... -2020.08.24 [인터뷰] 공공영역 외국어 개선활동 펼치는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 "언어는 인권" (중략) - 한글문화연대는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말을 자주 하시는데요. 그 말에 담긴 철학이 궁금합니다.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만드신 이유가 백성들이 제 뜻을 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잖아요. 지금으로 생각하면 국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해주고 싶으셨던 거죠. 언어는 단순한 소통 수단을 넘어서서 국민의 알 권리를 뒷받침해주는 도구입니다. 그런데 나라에서 쓰는 언어, 언론에서 쓰는 언어들 중에 어려운 말이 많습니다. 대개 외국어인데요. 그런 언어 때문에 국민이 알 권리를 침해당합니다. 예를 들면 장애인을 위한 시설인데 영어로 배리어프리(Barrier-Free)라고 한단 말이죠? 장애인은 아무래도 비장애인보다 외국어를 배우는 .. 2020. 8. 26.
[공문] 헬프라인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외 15건 받는 이: 경기도지사(감사담당관) 제목: 헬프라인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1. 경기도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한글문화연대에서는 공공기관에서 불필요하게 쓰는 외국어 낱말을 쉬운 우리말로 바꿔달라는 국민 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귀 기관에서 쓴 아래의 말에도 그런 요청이 있었습니다.(붙임참조) 공공기관에서 어려운 외국어를 사용하면 국민이 정책을 이해하기 힘들고, 외국어 능력에 따라 알 권리를 차별받게 됩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아래와 같이 바꿔 써 주시기.. 2020. 8. 25.
광복 75주년을 맞아 일본어 잔재를 없애려 나선 한국도로공사. 한글문화연대가 도로협회, 토목학회와 함께 한국도로공사의 용어 순화 작업을 돕고 있습니다. 도로 교통과 도로 건설에서 아직도 쓰이는 일본어 찌꺼기와 외국어 용어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일입니다. 특히 광복 75주년을 맞아 우리말과 한글을 가꾸고 널리 전하려는 한국도로공사의 노력을 칭찬합니다. 2020. 8. 14.
[공문] '윈드시어'를 '급변풍'으로 바꿔 써 주십시오. 받는 이 항공기상청장함께 받는 이 제목 '윈드시어'를 ‘급변풍’으로 바꿔 써 주십시오. 1. 항공기상청에서 기상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애쓰고 있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항공기상청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윈드시어’를 국립국어원에서 다듬은 ‘급변풍’으로 바꿔 써 주시기를 바랍니다. 8월 10일 제주공항에 ‘윈드시어 특보’가 내려졌다는 소식이 언론을 통해 알려졌습니다. ‘윈드시어’라는 말이 항공 기상 용어로써는 전문적으로 쓰일지 몰라도, 대부분의 일반 국민은 알지 못하는 말입니다. ‘윈드시어’의.. 2020. 8. 13.
외국어 신조어 대신 쓸 새말 11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 한글문화연대가 함께 을 벌이고 있습니다. 운동 중 하나의 활동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새말모임'을 꾸려 외국어 신조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고 있습니다. 2019년 10월부터 만든 새말 가운데 7개를 소개합니다 대상어(원어)다듬은 말의미스토리노믹스(storinomics)이야기 산업이야기에 관한 경제학. 드라마,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문화 산업을 이끄는 원동력이며, 대표적인 예로 해리 포터 시리즈를 들 수 있음.로컬 페어트레이드(local fair trade)지역형 공정 무역개발도상국 생산자 등과의 무역에서 상호 간에 혜택이 동등하게 이루어지는 공정 무역을 확대한 것으로, 개발도상국 이상인 국가가 자국의 지역 생산물과 공정 무역 생산품을 활용하여 상품을 .. 2020.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