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25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 광화문 거리 홍보 3월 16일(금) 3월 19일(목) 는 알기 쉬운 헌법 개정안을 앞두고 거리 홍보 계획을 세웠습니다. 3월 16일(금)과 3월 19일(월) 점심 시간을 이용하여 광화문 네거리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홍보 활동을 하였습니다. 3월 16일(금)은 햇볕은 따스했지만 때때로 부는 바람에 현수막을 들고 있기가 버거웠지만, 그런 상황에서도 500장의 홍보물을 뿌렸습니다. 3월 19일(월)에도 오전 11시 30분부터 1시간 동안 거리 홍보 활동을 하였습니다. 2018. 3. 19.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 -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 인터뷰 - 2018.03.14 2018년 3월 14일 방송, 헌법 용어, 문장도 알기 쉽게 바꿔야,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 인터뷰 부분을 편집하여 올립니다. 2018. 3. 15.
[조선일보] 헌법 속 한자어·일본식 용어… 쉬운 말로 바뀌나 - 2018.03.13. 문 대통령, 개헌과정 개선 지시 "영어 표현이나 과학용어도 이해하기 쉽게 번역해야"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법령뿐 아니라 헌법에서도 우리말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김외숙 법제처장이 "우리나라 법령에서 나타나는 한자어와 일본식 용어를 우리말로 고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는 보고를 받고 이같이 지시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먼저 "헌법을 쉬운 우리말로 고치는 작업은 하지 않고 있나"라고 물었다. 이어 "한자어가 많이 섞여 있는 헌법을 쉬운 말로 바꿔 놓는 작업을 미리 해 놓으면 헌법 개정을 논의할 때 참조가 될 것"이라며 "기존 법령을 고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법령이 만들어질 때 처음부터 우리말화 작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문 대.. 2018. 3. 15.
[경향신문] 문 대통령 “헌법도 우리말 작업 필요”-2018.03.13. 문 대통령 “헌법도 우리말 작업 필요”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한자어가 많이 섞여 있는 우리 헌법을 한글로 바꿔놓는 작업을 미리 해놓으면 새로운 헌법 개정을 논의할 때 참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김외숙 법제처장으로부터 “우리나라 법령에서 나타나는 한자어와 일본식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고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는 보고를 받은 뒤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기존 법령을 고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법령이 만들어질 때 처음부터 한글화 작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으로 성과가 남지 않을 수 있다”며 “새로운 법을 만들 때 종말 단계에서 법제처가 중심이 돼 한글화를 하는 체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018. 3. 15.
[서울신문] 개헌 논란 속 ‘헌법 문장 점수’ 10점 만점에 4.5점-2018.03.13. [서울신문] 53개 단체, 890여명에 설문 84% “쉽고 명확하게 바꿔야” 헌법 문장 점수가 10점 만점에 절반도 채 안 된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산하 국민헌법자문특별위원회가 13일 대통령 4년 연임제 제안과 국가원수 표현 삭제 등을 담은 개헌자문안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한 가운데, 헌법 내용뿐 아니라 문장도 이참에 다듬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헌법 개정을 위해 한글문화연대, 한글학회, 흥사단, 전국교수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을 비롯한 53개 단체가 모인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는 이번 달 5~11일 일반 성인 467명과 중학생 426명 모두 893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였다. 서울신문이 13일 국민운동본부에서 받은 결과에 따르면, 헌법 문장 .. 2018. 3. 15.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 - 설문 조사 결과 발표 1. '알기 쉬운 헌법 개정안' 제출 는 춘천교대 리의도 명예교수가 대표 정리하여 마련한 을 정부와 국회에 제출하였습니다. 지난 2월 28일 대통령 직속 국민헌법자문 특위 김종철 부위원장을 만나 꼭 바꿔야 할 것과 그렇지 않더라도 적극 권장하는 내용을 3단계 정도로 나누어서 실무진들이 참고할 때 효율적이라는 도움말을 얻었습니다. '알기 쉽게, 친근하게, 우리말 규범에 맞게, 문법에 맞게, 명확하게, 간결하게, 사회 변화와 상황에 맞게, 띄어쓰기법에 맞게'라는 여덟 가지 기준으로 헌법 130개 조의 319개 문장에 등급을 매겨 보완하였습니다. 이렇게 마련한 개정안을 3월 6일 대통령 직속 국민헌법자문특별위원회 정해구 위원장에게, 3월 7일 국회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 특위 김재경 위원장에게 전하였고, 여야 .. 2018. 3. 14.
금새, 장금, 뜬금, 에누리 [아, 그 말이 그렇구나-227] 성기지 운영위원 흔히 ‘시세’나 ‘시가’라고 하면 ‘일정한 시기의 물건값’을 말한다. “요즘 시세가 좋다.”고 하면, 요즘의 물건값이 좋다는 뜻이 되겠다. 그런데 시장을 보러간 주부들이 두부나 달걀을 사면서 “요즘 식료품 시세가 많이 올랐네.”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두부 값이나 달걀 값을 말할 때에는 시세 대신에 우리말 ‘금새’를 사용하면 된다. ‘금새’는 물건의 값을 말하기도 하고, 또는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를 뜻하기도 하는 순 우리말이다. 그리고 시장에서 물건을 팔고 사는 금새를 ‘장금’이라고 한다. 채소나 고기 값이 많이 오른 것 같으면 소비자 입장에서 “오늘은 장금이 좋지 않구나.” 하고 말할 수 있다. 장금과는 반대되는 말 가운데 ‘뜬금’이란 것이 있다. 뜬.. 2018. 3. 14.
[알림]우리말 가꿈이 14기 모집(~3/18(일)) 아름다운 우리말과 글을 지키고 가꾸는 수호천사! 우리말 가꿈이 14기를 모집합니다. 우리말 가꿈이는 미래세대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들어 가는 일을 합니다. 우리말과 한글을 사랑하고, 한글에 대한 애정 가득한 대학(원)생이라면 누구나! ■ 서울에서 활동 가능한 대학(원)생 ■ 월 2~3회 현장 모임 가능한 분 - 전체 활동은 주말 또는 공휴일에 진행됩니다. (매월 1회 예정) - 모둠(조) 활동은 선발 된 인원 간 협의하여 진행합니다. (매월 1~2회) ■ 과 참석 가능자 (3/31, 09시 - 4/1, 13시) - 모꼬비 참석 비용은 전액 우리말 가꿈이에서 지원합니.. 2018. 3. 13.
제이티비시(JTBC)를 ‘보고 배우다.’ - 김근희 기자 제이티비시(JTBC)를 ‘보고 배우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4기 김근희 기자 rmsgml89@naver.com 흔히들 어떤 곳을 다녀오고 나서, 때로는 그 곳을 ‘방문’했다고도 하고 또 때로는 ‘견학’을 다녀왔다고도 말한다. 그렇다면 방문과 견학의 차이는 무엇일까? 지난 2018년 3월 2일, 한글문화연대 4기 기자단은 제이티비시(JTBC)방송국에 ‘견학’을 다녀왔다. 단순히 어떤 장소를 찾아가서 보는 ‘방문’에 그치지 않고 실지로 보고 그 일에 관한 구체적인 지식을 넓히는, 다시 말해,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배우기까지 하는 ‘견학’을 다녀왔다. 방송국 견학을 통해 배운 것은 두 가지였다. 첫째로는 제이티비시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둘째로는 언론인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자질.. 2018.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