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75 째, 체, 채 [아, 그 말이 그렇구나-215] 성기지 운영위원 요즘에는 사과를 먹을 때 껍질을 벗겨서 먹는 게 일반적이지만, 우리가 어렸을 때에는 사과 껍질을 벗겨서 먹은 기억이 별로 없다. 사과뿐만 아니라 껍질을 먹을 수 있는 과일은 모두 잘 씻어서 “껍질째” 먹고는 했다. 이처럼 ‘-째’는 ‘그대로’ 또는 ‘전부’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다. 그래서 항상 앞에 나오는 말과 붙여서 쓴다. “낙지를 통째로 삼켰다.”는 물론이고, “포도를 씨째 먹었다.”라든지, “약초를 뿌리째 캤다.”, “국을 냄비째 상에 놓았다.” 들에서는 모두 ‘-째’를 붙여 쓴다. 그런데 이 ‘-째’와 혼동하여 쓰는 것으로 ‘체’와 ‘채’가 있다. 이 세 가지는 종종 잘못 쓰이는데, 일단 ‘체’와 ‘채’는 ‘-째’와는 달리 의존명사라서 앞의 말.. 2017. 12. 20. [13기] 모둠 활동 소식- 웹툰 용어 바꾸기 공모전 우리말 가꿈이 13기 11모둠 활동을 소개합니다. "어제 네이0 웹툰 봤어?" 일상에서 너무도 많이 쓰는 용어 웹툰! 웹툰은 웹과 카툰의 영어 단어가 결합된 합성어입니다. 가꿈이 11모둠은 웹툰을 우리말로 순화하는 활동을 펼쳤습니다. 지난 12월 15일부터 18일까지 짧은 기간 동안 공모전을 진행하였습니다. 어떤 순화된 말이 응모되었을지 기대해 주세요. 2017. 12. 20. <함께하는 교육>에 소개된 우리말 사랑 동아리 - 한겨레신문/2017.12.19 한글문화연대가 이끌고 있는 우리말 사랑 동아리는 우리말과 한글을 주제로 '언어문화 개선' 활동을 하고자 하는 중·고등학생 동아리를 말합니다. 매년 7월부터 11월까지 활동을 펼치고 있고, 올해로 5기까지 활동을 마쳤습니다. 한겨레신문 은 매주 교육과 관련한 내용의 기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번주 에서는 서울 외 경기, 지방 고등학교에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고교 동아리를 다뤘습니다. 여기에 우리말 사랑 동아리가 소개가 되었습니다. 청소년판 "팀플", 모집부터 홍보까지 직접 해봐 2017. 12.19 * 기사 보러가기 * 기사 내용 보기 * 청소년판 "팀플", 모집부터 홍보까지 직접 해봐 2017. 12.19 자율동아리 어떻게 꾸려볼까? 수시 학종 대세 속 비교과 중요해져 학생이 주도해 꾸리는 자율동아리.. 2017. 12. 20. [안전 용어]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소책자" 홍보 활동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를 비롯하여 네 명은 12월 18일 새벽 6시 기차를 타고 정부 청사가 있는 오송역 버스환승센터와 세종시에서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라는 책자를 출근하는 공무원들에게 나눠주었다. 추운 날씨와 바쁜 출근길에서도 한글문화연대가 나눠 준 책자를 꼼꼼히 살펴보며 읽는 사람들이 눈에 띄기도 했다. *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모음집 보러가기 2017. 12. 18. [자료집]"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소책자 더욱 안전하기 위해 쉬운 말로 다듬은 안전 용어 모음 책자를 소개합니다. 이 안전 용어 모음은 한글문화연대가 행정안전부의 협조와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어려운 안전 용어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공공언어를 다루는 모든 사람들이 곁에 두고 두루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 이것만은 꼭 기억하자! - 쉬운 공공언어 쓰기 핵심 길잡이 * 이렇게 바꿔 쓰세요! - 사례 살펴보기 * 쉬운 말로 다듬은 안전 용어 모음(132개) * 행정안전부 발굴 안전 분야 순화대상 용어(42개) -------.. 2017. 12. 18. 한글 아리아리 648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48 2017년 12월 14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집에 관한 우리말 - 성기지 운영위원 남이 살던 집에 이사한 경우에는 집들이를 하기 전에 집을 새로 단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렇게 집을 보기 좋게 잘 꾸미는 일을 흔히 ‘인테리어’라는 영어로 표현하고 있지만, 우리에게도 ‘집치레’라는 토박이말이 있다. ‘인테리어한다’는 말이 일반화하기 전에 우리는 이를 ‘집치레한다’고 말해 왔다. 그런데 집을 새로 꾸미지는 않고, 그냥 손볼 곳만 고쳐 가며 집을 잘 가꾸고 돌보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때에 쓰는 말은 따로 있다. ‘집치레한다’고 하면 인테리어를 한다는 말이고, 집을 매만져서 잘 정리하고 돌보는 일은 우리말로 ‘집가축’.. 2017. 12. 15. [13기] 모둠 활동 소식-화장품 이름 공모전 결과 우리말 가꿈이 13기 7모둠은 지난 10월 16일~10월 26일 열 흘간 을 진행하였고 100명 이상이 공모전에 참가하였습니다. 200개 이상의 순화어에서 알기 쉽게 우리말로 순화된 말은 무엇일까요? 2017. 12. 14. [국민신문고]"GREEN FOOD ZONE"이라는 영문 표현을 없애주십시오(답변) 안녕하세요?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상임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로 만드는 운동에 앞장서 활동한 시민단체로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일에 힘써 왔습니다. 특히, 공공언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 권리와 의무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쉽고 바르고 분명한 우리말로 쓰자는 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국어기본법 제14조에서는 "공공기관은 공문서를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에게 재난이나 위험이 닥쳤을 때 안전을 다루는 말은 안전에 바로 영향을 미치므로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을 한글로 적는 게 마땅합니다. 그런데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시행규칙'의 제3조 관련 별표1(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 2017. 12. 14. 집에 관한 우리말 [아, 그 말이 그렇구나-214] 성기지 운영위원 남이 살던 집에 이사한 경우에는 집들이를 하기 전에 집을 새로 단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렇게 집을 보기 좋게 잘 꾸미는 일을 흔히 ‘인테리어’라는 영어로 표현하고 있지만, 우리에게도 ‘집치레’라는 토박이말이 있다. ‘인테리어한다’는 말이 일반화하기 전에 우리는 이를 ‘집치레한다’고 말해 왔다. 그런데 집을 새로 꾸미지는 않고, 그냥 손볼 곳만 고쳐 가며 집을 잘 가꾸고 돌보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때에 쓰는 말은 따로 있다. ‘집치레한다’고 하면 인테리어를 한다는 말이고, 집을 매만져서 잘 정리하고 돌보는 일은 우리말로 ‘집가축’이라고 한다. “이번 연휴 때는 집가축을 하며 지냈다.”처럼 쓴다. 집치레나 집가축과는 달리, 집안의 여러 집물 따위를 옳게 .. 2017. 12. 13. 이전 1 ··· 370 371 372 373 374 375 376 ··· 5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