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76

[우리말 비타민] 尹대통령 뭐가 문제 2023년 12월 4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 尹대통령 뭐가 문제 어문 규정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2023. 12. 7.
[한겨레] 임지선 한겨레 기자, ‘쉬운 우리말 기자상’ 으뜸상 수상 임지선 한겨레 뉴스룸 빅테크팀 기자가 한글문화연대·한국기자협회·방송기자연합회 공동 주최로 5일 저녁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열린 ‘제1회 쉬운 우리말 기자상’ 시상식에서 최고상인 으뜸상을 수상했다. 쉬운 우리말 기자상은 기사를 우리말로 쉽게 쓴 기자에게 주는 상이다. 임 기자는 “70대 아버지와 초등학생 아들이 보기에도 읽기 쉬운 기사를 쓰기 위해 노력했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중략) 출처: https://v.daum.net/v/20231206174018313 이 기사는 한겨레(2023. 12. 6.)에 발행한 기사입니다. 임지선 한겨레 기자, ‘쉬운 우리말 기자상’ 으뜸상 수상 임지선 한겨레 뉴스룸 빅테크팀 기자가 한글문화연대·한국기자협회·방송기자연합회 공동 주최로 5일 저녁 서울 .. 2023. 12. 7.
[와이티엔(YTN)] YTN 김종호 기자, 쉬운 우리말 기자상 '가온상'...'북돋움상'에 홍민기 기자 한글문화연대와 한국기자협회, 방송기자연합회가 공동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한 제1회 쉬운 우리말 기자상 시상식에서 YTN 부산지국 김종호 기자가 방송 분야 1등인 가온상을 수상했습니다. 김 기자는 어린이보호구역이나 업무 협약, 상생, 양해각서 등 평소 기사에서 외래어로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을 우리말 표현으로 작성해 심사위원단 호평을 받았습니다. (중략) 출처: https://v.daum.net/v/20231206022209229 이 뉴스는 YTN(2023. 12. 6.)에서 발행한 기사입니다. YTN 김종호 기자, 쉬운 우리말 기자상 '가온상'...'북돋움상'에 홍민기 기자 한글문화연대와 한국기자협회, 방송기자연합회가 공동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한 제1회 쉬운 우리말 기자상 시상식에서 Y.. 2023. 12. 7.
[영상] 알기 쉬운 우리 새말 - 음식편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음식편] 먹깨비의 살이 빠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상 속에 만연한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꿔 사용합시다! * 새말모임: 어려운 외래 새말이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말로 다듬어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국어, 언론, 통번역, 문학, 정보통신, 보건 등 여러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모임을 꾸리고 있다. 2023. 12. 6.
[보도자료]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 쓴 기자 16명 선정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 쓴 기자 16명 선정 - 으뜸상은 한겨레신문 임지선 기자가 수상 - 6월부터 11월까지 89만여 건의 기사를 수집해 조사 - 기자들이 쉬운 우리말 사용에 앞장서는 계기 지난 12월 5일(화) 저녁 7시 프레스센터 20층 프레스클럽에서 쉬운 우리말 기사를 쓴 기자들을 선정해 을 수여하는 시상식이 열렸다.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 한국기자협회(회장 김동훈), 방송기자연합회(회장 양만희)가 공동 주최해 열린 이 시상식에는 70여 명이 참석해 상의 취지에 공감하며 수상자를 축하했다. 으뜸상을 받은 한겨레신문 임지선 기자는 70대 아버지와 초등학생인 아들이 보기에도 읽기 쉬운 기사를 쓰기 위해 노력했다며 으뜸상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기자 507명을 상대로 언론에서 쉽.. 2023. 12. 6.
[외부 전시 알림] 다 같이 여는 한글 전시회 ○ 전시 일정: 12월 중 ○ 전시 장소: 인스타그램 (@ing_swu) ○ 주최: 서울여자대학교 바롬종합설계프로젝트 팀 ○ 개최 목적: 한글의 멋을 알리고자 한글로 된 간판 등을 촬영한 사진이나 한글로 제작한 제작물로 전시회를 개최 ○ 주최자의 한 마디: 다같이 여는 한글 전시회! 다양한 한글 작업물을 모으고 있습니다. 멋진 한글을 발견했다면 제보해주세요! 제보는 인스타그램 쪽지로! 혹은 공유 언급도 환영입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인스타그램 계정(@ing_swu) 내 네모소식(카드뉴스)을 확인해주세요. 2023. 12. 5.
당신의 옷은 쓰인 대로 '편안한'가요 - 이성민 기자 당신의 옷은 쓰인 대로 '편안한'가요 ​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이성민 reasonmmm@naver.com 우리에게 옷은 생활하는데 꼭 필요하죠. 나아가 옷은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내는 수단이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각자의 개성에 맞게 옷도 다양해졌습니다. 옷을 만드는 회사마다 그 개성이 다르고 일부 회사의 옷은 고가에 팔리기도 합니다. 그중에는 무의미한 영어 단어들이 쓰인 옷도 많습니다. 후드티와 같은 편한 옷에서 유독 무의미한 외국 문자가 적힌 옷을 자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는 영어 단어가 적힌 옷의 여러 가지 실태에 대해 짚어보고자 합니다. 영어 단어가 쓰인 옷, 무슨 의미인지는 알까 편하게 입을 수 있는 후드티나 일반 티셔츠를 살펴보면 영어 단어가 쓰인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 2023. 12. 4.
한국어를 누구에게나! 중앙대학교의 우리말 알리기 - 강민주 기자 한국어를 누구에게나! 중앙대학교의 우리말 알리기 ​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10기 강민주 minju97531@naver.com 지난 10월 16일, 중앙대학교 언어교육원 누리집에 2023학년도 2학기 '언어교환 프로그램' 합격자 발표가 올라왔습니다. 중앙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마련한 이 활동은 중앙대학교에서 한국어 어학연수 과정을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것으로, 한국인 학부생의 지원을 받아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알리고 배우며 서로 소통하는 활동입니다. 이 언어교환 활동은 외국인 학생과 한국인 학생이 짝꿍이 되어 약 3~4개월 동안 이어집니다. 생각보다 교류할 수 있는 시간도 충분하고, 상대방에게 한글을 가르쳐 주면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는 반응이 많아 학교에서 꽤 인기 있는 활동으로 꼽.. 2023. 12. 4.
왜 ‘밤’이 아니라 ‘마롱’일까? - 안지연 기자 왜 ‘밤’이 아니라 ‘마롱’일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0기 안지연 기자 hoho2478@naver.com ​ “근데 마롱이 무슨 맛이야?“ 편의점에서 빵을 고르던 중, 뒤에서 들려온 말입니다. 매대에는 ‘연세우유 마롱 생크림빵’이 있었습니다. 가을을 맞아 새롭게 나온 것이죠. 얼핏 보면 전에 없던 새로운 맛 같지만, 사실 이 빵은 ‘밤 크림빵’입니다. ‘마롱(marron)’이 불어로 ‘밤’이라는 뜻이거든요. 연세대 크림빵만이 아니라 다른 신상품에서도 밤맛은 ‘마롱 크림’이라는 단어로 표현됩니다. 스타벅스에서도 가을 한정으로 ‘마롱 헤이즐넛 라떼’를 냈고, 해태에서도 ‘마롱 크림맛 홈런볼’을 출시했습니다. ‘마롱’이라는 표현이 정착하면서 ‘밤맛’은 아예 죽은 말이 된 것처럼 보입니다. ​ 볶음밥은.. 2023.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