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925 한글로 물든 백성의 삶 - 서경아 기자 한글로 물든 백성의 삶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서경아 기자 calum0215@gmail.com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 학창시절 국어 시간에 달달 외우곤 하였던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문을 기억하는가. 누군가에겐 그저 시험을 위한 암기에 불과했을 이 짧은 문장엔, 세종대왕이 어린 백성을 아꼈던 마음에서 시작된 한글의 역사가 담겨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지난 1일부터 원내 장서각 전시실에서 한글 반포 570돌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전을 선보이고 있다. 12월 31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전시는 왕실과 민간의 다양한 한글 자료를 통해 백성의 삶 깊은 곳에까지 스며들어있던 세종의 애민 정신을 느낄 수 있는 자리다. 니슌삼이, 김슈벅이, 김바회, 손삭담이 등 .. 2016. 8. 1. 알아볼 수 없는 한식 - 김지현 기자 알아볼 수 없는 한식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지현 기자 k1223k@naver.com 얼마 전,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명동’의 음식점 메뉴판이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그 이유는, 음식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한식을 엉터리 외국어로 표기했기 때문이다. 이 엉터리 외국어 표기가 어떻게 쓰였는지, 또 이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엉터리 외국어 표기 명동의 음식점 메뉴판이 엉터리 외국어로 한식을 표기해 외국인 관광객에게 혼란을 줬다. 관광명소로 손꼽히는 명동에서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해 여러 매체에 보도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됐다. 그렇다면, 한식을 외국어로 어떻게 표기했는지 함께 알아보자. 사진과 같이 ‘육회’의 경우, 메뉴판에 ‘six times’라고 표기해 ‘육회’가.. 2016. 8. 1. 우리말 사랑 동아리 4기, 우리말∙한글 아리아리! - 장지호 기자 우리말 사랑 동아리 4기, 우리말∙한글 아리아리!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장지호 기자 jang_0617@naver.com 지난 7월 16일 가톨릭청년회관에서 열린 우리말 사랑 동아리 4기가 오름마당을 시작으로 활동을 알렸다. 우리말 사랑 동아리는 우리말과 한글을 주제로 ‘언어문화 개선’ 활동을 하고자 하는 중∙고등학생 동아리이다. 앞으로 이들은 우리말 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목표로 한다. 이날 열린 행사는 한글문화연대 대표의 인사말, 임명장 수여, 우리말 사랑 활동 다짐, 우리말 사랑 강연으로 이뤄졌다.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는 ‘앞으로 우리말 사랑 동아리 활동이 활짝 피어나 언어문화를 새롭게 바꿔 주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인사말에 이어 별이, 울림소리 외에 선정된 21곳 동아리 대표.. 2016. 8. 1. 세계 속의 한글- 노민송 기자 세계 속의 한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노민송 기자 amy0360@naver.com “한글이 좋아서 한글 공부를 하려고 학원에 다니고 있어요.”(기욤 패트리, 35세) 한 방송에서 캐나다 출신의 방송인이 한 말이다. 사실 이런 모습은 주위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비단 한국 내에서만이 아니다. 외국인들 사이에서 한글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한글의 인기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한글이 세계인에게 사랑받게 된 것은 사실, 다양한 노력이 함께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재에만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 아니다. 가령 미국인 선교사 호머 헐버트(1863∼1949)는 최초의 한글 교과서인 '사민필지'를 저술하고 훈민정음을 학문적으로 분석한 논문을 발표해 한글의 우수성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또한 헐버트는 중국과 일.. 2016. 8. 1. 우리말글 사랑의 시초, 한글학회를 가다 - 김수인 기자 우리말글 사랑의 시초, 한글학회를 가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수인 기자 suin_325@naver.com 조선어학회의 명맥을 이어가며 꾸준히 우리말글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한글학회. 하지만 우리 주변에는 ‘조선어학회’는 알고 있으면서 ‘한글학회’란 이름은 생소하게 느끼는 젊은이들이 적지 않다. 지난 26일 기자는 종로구 한글회관에 있는 한글학회 사무실을 방문했다. 한글학회가 108년 역사를 자랑하는 만큼 이곳은 우리말글이 걸어온 길을 고스란히 품고 있었다. 사무실에 들어서니 벽면을 가득 채운 서랍장과 그 위에 놓인 조선어학회 학자들의 초상화가 눈에 띄었다. 빼곡한 서랍장 안에는 사전 편찬 작업 당시 활용했던 낱말 뜻풀이 자료가 글자 순으로 보관돼 있었다. 연구원의 도움으로 살펴본 단어.. 2016. 8. 1. 방송 프로그램에서 계속 발생하는 맞춤법 오류 문제… 이대로 괜찮은가? - 조수현 기자 방송 프로그램에서 계속 발생하는 맞춤법 오류 문제… 이대로 괜찮은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조수현 기자 aumi32@naver.com ‘정말로 날 좋아한 거라면 나 어떡해야 되요?’ 수지∙김우빈 주연의 KBS2 드라마 ‘함부로 애틋하게’의 메인 포스터에 등장하는 문구가 논란이다. 문구는 얼핏 봤을 때 이상할 것 없어 보이지만 한글 맞춤법상 ‘되요’가 아닌 ‘돼요’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되’는 ‘되다’의 어간으로 용언의 뒤에는 ‘-요’라는 보조사가 바로 붙을 수 없으므로 ‘되어’가 줄어든 형태인 ‘돼’를 사용해 ‘돼요?’라고 표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함부로 애틋하게’는 앞서 크게 흥행한 송중기∙송혜교 주연의 KBS2 드라마 ‘태양의 후예’보다 약 5만 달러 더 비싼 판권에 판매되어 한국과 .. 2016. 7. 29. 북촌박물관에서 알게 된 조선의 삶 이야기 - 서지윤 기자 북촌박물관에서 알게 된 조선의 삶 이야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서지윤 기자 97sjy2016@naver.com 2016년 6월 22일부터 북촌박물관에서 ‘간찰-조선의 삶 이야기’를 주제로 하여 조선 시대의 한글 간찰과 전통 목가구를 함께 선보이는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조선 시대의 편지를 간찰이라 부르는데 간찰은 넓은 의미로 종이에 적거나 비단에 적은 편지 모두를 가리킨다. 조선시대의 간찰에는 한문으로 쓴 것과 한글로 쓴 것이 있는데 특히 한글로 쓴 것을 언문으로 적은 편지라 하여 언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번 북촌박물관의 전시에서는 한글로 쓴 언간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남성 간에 주고받았던 한문 편지와 다르게 한글 편지는 주로 여성과 남성 또는 여성과 여성 간에 주고받았던 것으로, 어느 한.. 2016. 7. 28. 한글 아리아리 578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78 2016년 7월 28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음알음 강좌] 문자생활과 이두(8/5) ◆ [우리말 이야기] 모지랑이와 바람만바람만-성기지 운영위원 ◆ [누리방송3-5] 그러니까 말이야-한국말이 주인답게, 임자인 나라 ◆ [대학생 기자단] 대학생 기자단 7월 기사 ◆ [알음알음 강좌] 문자생활과 이두(8/5) ■ 수강신청--> 여기 ◆ [우리말 이야기] 모지랑이와 바람만바람만-성기지 운영위원 우리가 어려운 한자말을 앞세워 으스대고 영어를 숭배하는 말글살이를 하는 동안, 안타깝게도 나날살이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거나 이미 낯설게 돼버린 우리 토박이말들이 많아졌다. 그 가운데는 꼭 붙잡고 싶은 아름다운 말들도 헤아릴.. 2016. 7. 28. 전례 없는 새로운 붓과 물감, 한글의 자음과 모음 - 정희섭 기자 전례 없는 새로운 붓과 물감, 한글의 자음과 모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정희섭 기자 jheesup3@naver.com 2015년 2월 2일 오후 국회본회의장서 열린 제 331회 국회(임시회)는 이전과 달랐다. 국회가 상징 문양을 바꾸었다는 것이다(아래 그림 참조). 국민의 대표 기관인 국회를 상징하는 국회기, 국회의원 배지 등의 문양이 한자 ‘國’으로 되어있어 한글을 주로 사용하는 현실에 맞지 않고, 기존 국회의원 배지 안의 ‘國(국)자가 或(혹)자로 오인될 수 있다’는 지적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또한, 공공기관 등의 공문서는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는 국어기본법을 존중하는 취지를 반영하여 변경했다는 것이 국회의 설명이다. 나라의 살림을 전반적으로 담당하는 국회가 드디어 국민의 시선으로 국정을.. 2016. 7. 28. 이전 1 ··· 441 442 443 444 445 446 447 ··· 5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