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24

[알림]한글 옷/소품 공모전 '한글옷이 날개'(~9/20) 2015년 569돌 한글날 기념 ‘한글옷이 날개’ ● 응모 기간/방법: 2015년 8월 27일(금)~9월 15일(화)/ urimal569@gmail.com● 예선 발표: 2015년 9월 19일(토), 우리말 가꿈이 페이스북 페이지● 본선: 2015년 10월 9일(금), 광화문광장 한글옷이 날개(맵시자랑) 행사 무대● 공모 부문: 한글 자모와 글귀를 이용한 옷 2벌 또는 소품● 참가 자격: 한글을 사랑하는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혜택과 시상 내역 - 한글옷 예선 통과자: 한글옷제작비 15만 원, 한글옷이 날개 맵시자랑 참가 기회 - 한글옷 본선 시상: 1등-30만 원, 2등-10만 원 - 한글소품 예선 통과자: 한글소품 제작비 10만 원, 한글소품 날개 소품자랑 참가 기회 - 한글소품 본선 시상: 1등-1.. 2015. 9. 8.
논평-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유보’가 아니라 ‘폐기’해야 마땅하다. [논평]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유보’가 아니라 ‘폐기’해야 마땅하다. 교육부에서 초등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하고 초등학생용 적정 한자 수를 제시하겠다던 정책의 결정을 유보할 분위기다. 교육부 방침에 반대했던 우리 한글문화연대는 교육부에서 무리하게 강행하지 않고 국민의 상식적 비판을 존중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꾼 사실만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명분도 근거도 없는 초등 한자교육 강화 방침을 백지화하지 않고 불씨를 남겨 앞으로도 국가 정체성을 훼손할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전면 폐기할 것을 요구한다. 2015년 9월 4일 한국교원대에서 열린 에서 “한자병기 등 한자교육 강화의 명분으로 내건 ‘국어능력 저하’의 객관적 근거를 찾았는지, 그런 근거가 없으므로 초등 교육과정 편성운영기준에 한자교육을 강조하는 문.. 2015. 9. 7.
한자 Vs. 漢字-문화방송 시사매거진2580 595회(2015.09.06.) 문화방송 시사매거진2580 595회(2015.09.06.)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에 한자를 함께 쓰자는 소위 한자 병기를 둘러싸고 논란이 뜨겁다. 교육부의 이같은 방침이 확정되면 1970년 이후 48년 만에 초등학교 교과서에 다시 한자가 등장하게 되는 것인데.. 한자를 일찍부터 가르쳐야 한다는 쪽과 아이들의 학습 부담만 가중시킬 뿐이라는 쪽이 첨예하게 맞서는 가운데 교육부가 마련한 공청회는 양측의 충돌로 난장판이 되어 버렸다. 한 편에선 한자 병기 방침이 나오자 벌써부터 한자 사교육 열풍의 조짐도 벌어지고 있는데.. (http://imbbs.imbc.com/metaview.mbc?bid=sisa2580_clip&list_id=3172319) 2015. 9. 7.
평가내용-국어문화와 어문규범 ■ 평가내용 5. 국어문화와 어문규범 국어문화와 어문규범 영역(출제 비중-5%) 평가 유형 평가 요소 1) 국어문화 세우기 ① 언어의 공공성을 잘 이해하는가? ② 세종대왕의 한글창제 정신과 업적을 아는가? ③ 그밖에 2) 어문규범 ④ 표준어/맞춤법/외래어 표기법/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제대로 아는가? 1) 국어문화 ① 언어의 공공성을 잘 이해하는가? ② 세종대왕의 한글창제 정신과 업적을 아는가? ③ 그밖에 2) 어문규범 ④ 표준어/맞춤법/외래어 표기법/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제대로 아는가? 2015. 9. 4.
평가 내용-쓰기 영역 ■ 평가 내용 4. 쓰기 영역 쓰기 영역(출제 비중-35%) 평가 유형 평가 요소 1) 바르게 쓰기 ① 문장 성분 사이의 호응이 잘 이루어지게 쓸 수 있는가? ② 문장 성분을 적절한 위치에 놓을 수 있는가? ③ 필요한 문장 성분을 빠뜨리지 않고 쓸 수 있는가? ④ 문장 내용이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게 쓸 수 있는가? 2) 쉽게 쓰기 ⑤ 이해하기 어려운 긴 문장을 나누거나 줄일 수 있는가? ⑥ 이해하기 어렵게 쓴 명사문(~이다)을 형용사문(~하다)이나 동사문(~한다)으로 고쳐 쓸 수 있는가? ⑦ 길고 복잡한 명사 나열식 문장을 이해하기 쉬운 서술형 문장으로 바꿔 쓸 수 있는가? ⑧ 번역투 문장을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으로 바꿀 수 있는가? 3) 분명하게 쓰기 ⑨ 주체와 대상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문장으로 쓸.. 2015. 9. 3.
평가 내용-읽기 영역 ■ 평가 내용 3. 읽기 영역 읽기 영역(출제 비중-20%) 평가 유형 평가 요소 1) 정확하게 읽기 ① 바탕글의 제목이나 주제, 핵심어를 뽑을 수 있는가? ② 주제와 상관없는 문장, 문단을 바탕글에서 찾을 수 있는가? ③ 바탕글을 요약할 수 있는가? ④ 글쓴이의 주장이나 글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가? ⑤ 연결과 인과 등 글의 맥락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가? ⑥ 문장에서 지시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가? ⑦ 문장의 중의성을 구별할 수 있는가? ⑧ 표나 그림 등의 자료를 제대로 해석할 수 있는가? 2) 비판적으로 읽기 ⑨ 다른 지식이나 정보와 연관 지어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가? ⑩ 바탕글의 사실 왜곡, 논리적 허점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가? ⑪ 바탕글의 핵심 논리를 제대로 반박할.. 2015. 9. 3.
평가 내용-어휘 영역 ■ 평가 내용 2. 어휘 영역 어휘 영역(출제 비중-20%) 평가 유형 평가 요소 1) 어휘 올바르게 쓰기 ① 문장에서 낱말을 그 뜻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가? ② 문장에서 낱말을 그 기능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가? ③ 낱말의 범주와 수준을 가려서 쓸 수 있는가? 2) 어휘 넓히기 ④ 복합어의 종류와 조어 방법, 의미를 잘 아는가? ⑤ 비슷한말, 반대말 따위 연관어를 정확하게 아는가? ⑥ 속담, 관용구, 비유어, 다의어가 가리키는 뜻을 제대로 아는가? 3) 외국어 대신 우리말 쓰기 ⑦ ‘공문서 한글 전용’ 규정을 잘 지키는가? ⑧ 외국어 낱말이나 문자를 남용하지 않고 문장을 쓸 수 있는가? ⑨ 외국어와 외래어를 구분할 수 있는가? ⑩ 로마자 약어로 된 개념이나 기관 이름을 우리말로 소통성 높게 표현할 수.. 2015. 9. 3.
평가 내용-대화 영역 ■ 평가내용 1. 대화 영역 대화 영역(출제 비중-20%) 평가 유형 평가 요소 1) 담화 이해하기 ① 담화에서 맥락이 지시하는 내용 또는 대화 당사자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가? ② 대화나 강연 등 긴 분량의 이야기를 듣고 핵심을 정확하게 요약할 수 있는가? 2) 높임말 제대로 쓰기 ③ 대상에 따라 높임말을 제대로 쓸 수 있는가? ④ 선어말어미 ‘-(으)시’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가? 3) 갈등 조정하기 ⑤ 대화의 구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가? ⑥ 대화 속에서 일어난 의견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가? 4) 대화 예절 지키기 ⑦ 대화를 독점하지 않고 차례를 지키면서 민주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가? ⑧ 말과 행동의 주체, 임무의 수행자를 분명하게 밝히며 책임 있게 대화할 수 있는가? ⑨ 권위적으.. 2015. 9. 3.
평가 영역-안내 ■ 무엇을 평가하나? 대화, 어휘, 읽기, 쓰기, 국어문화와 어문규범 등 다섯 영역에 걸쳐 소통능력을 평가합니다. 고등학교 국어 수업까지 중요하게 다루던 국어능력과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국어능력은 전혀 다릅니다. 시험 점수를 올리는 데 필요한 국어 지식이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의사소통할 때 효율과 신뢰를 높이는 데 필요한 국어능력을 평가합니다. 따라서 평가의 소재도 문학 지식이나 문법보다는 공문서와 정책 언어, 신문과 방송의 언어, 기업에서 쓰는 언어, 사회생활과 교양물에서 쓰는 언어에서 찾습니다. (1) 대화 영역(점수 비중 20%) 자세히보기 ▶ 남의 말을 귀담아듣고 대화 예절을 지키면서 자기 뜻을 설득력 높게 말로 표현하는 능력을 잽니다. 이야기 이해하기, 높임말 제대로 쓰기, 갈등 조정하기, 대.. 2015.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