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26 대학생 기자단 2기 다섯 번째 교육-이제훈 한겨레 기자(2015.05.10.) 2015년 5월 10일(일) 공간 활짝에서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2기 교육이 있었습니다. 이번 교육은 이제훈 한겨레 기자에게 기자와 기사쓰기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시간이었는데 기자단은 그동안 기사를 쓰며 궁금하고 어려웠던 점에 대해 질문하는 등 열의를 갖고 교육을 받다보니 2시간이 훌쩍 지나갔습니다. 2015. 5. 12. 교과서 '한자병기' 추진 전후로 한자자격시험 급증 5월 12일 오마이뉴스에 나온 기사 내용입니다. 2014년 9월 24일 교육부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병기 방안 검토 계획을 발표한 전후로 한자 관련 시험이 30종이 생겨났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현재 한자 관련 시험은 국가공인시험 12개, 민간자격시험은 71종으로 모두 83종입니다. 한자병기 운동을 추진하는이한동 전 국무총리가 회장으로 있는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한국어문회 , 한국교육문화회, 전통문화연구회에서도 민간자격 시험과 과련이 것으로 나옵니다. 조선일보가 1년 남짓 '한자 문맹'에서 벗어나자는 기획 기사를 뿌리더니 다 이유가 있었네요. 전체 기사는 아래 사진을 누르면 연결됩니다. 2015. 5. 12. 한글 아리아리 519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19 2015년 5월 07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림] 우리말 사랑 동아리 3기 모집(~06/04) ◆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반대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주세요. ◆ [우리말 이야기] 뜬금없이-성기지 운영위원 ◆ [알림]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 행사(05.09)/우리말 가꿈이 ◆ [이웃집 소식] 618돌 세종날 기념 전국 국어학 학술대회(05.14)/한글학회 ◆ [알림] 우리말 사랑 동아리 3기 모집(~06/04) ◆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반대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주세요. 초등교과서에 병기된 한자는 학생들이 교과서를 읽을 때 걸림돌일 뿐입니다. 또한 어린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늘리고 유치원 때부터 한자.. 2015. 5. 7. [알림]우리말 가꿈이, 5월 9일 광화문 광장에서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행사 진행(05/09) □ 우리말 가꿈이, 5월 9일(토) 광화문 북측 광장에서 '세종대왕 나신 날' 기리는 행사 열어 □ 5월 15일은 겨레의 큰 스승인 세종대왕이 태어나신 날이라는 사실을 알리려 □ 한글문화 상품 전시, 번개춤사위, 세종대왕께 편지 쓰기 등의 다양한 놀이마당 꾸려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하는‘우리말 가꿈이’가 5월 9일 낮 1시부터 5시까지 광화문 북측 광장에서 '세종대왕 나신 날' 행사를 엽니다. 우리말 가꿈이는 5월 15일이 세종대왕께서 태어나신 날이라는 사실을 국민에게 알리고, 누구나 쉬운 문자로 소통하게 하려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의 백성 사랑 정신을 기리고자 행사를 기획했습니다. 이날 행사는 한글문화 상품 전시, 세종대왕께 편지쓰기, 한글을 이용한 지도/부채/머리띠 만들기, 우리말 .. 2015. 5. 7. 뜬금없이 [아, 그 말이 그렇구나-86] 성기지 운영위원 뜬금없이 ‘뜬금’이라는 말이 있다. 이때의 ‘뜬’은 ‘뜨다’의 관형형이고, ‘금’은 돈을 말한다. 곧 ‘떠있는 돈’을 뜻하는 말이다. 그러니까 ‘뜬금’이란, 제자리에 묶여 있지 않고 제 마음대로 올랐다 내렸다 하는 물건값을 말한다. 시세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니, 굳이 한자말로 바꾸자면 ‘변동가’ 정도가 될 것이다. 우리는 흔히 들쑥날쑥하거나 갑작스럽고도 엉뚱한 모양을 ‘뜬금없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낱말 뜻대로라면 ‘뜬금으로’ 또는 ‘뜬금처럼’으로 써야 앞뒤가 통하게 된다. 그런데도 ‘뜬금없이’로 쓰고 있는 것은, 이때의 ‘없다’를 부정으로 쓴 게 아니라 강조하는 말로 붙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용례는 가끔 눈에 뜨인다. ‘안절부절’이란 말은 몹시 .. 2015. 5. 6. 초등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하자는 분들의 생각을 추적한다 교실밖교사커뮤니티를 세우고 이끌어오신 함영기 선생님이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의 의도를 아주 냉철하게 분석하셨네요. 선생님의 동의를 받고 페이스북에 있는 글을 옮깁니다. 한 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초등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하자는 분들의 생각을 추적한다 함영기 4월 28일 오전 9:07 · 수정됨 · 교육부가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한다. 한문을 별도 과목으로 편성해 가르치거나 시험 문제로 출제하지는 않을 방침이지만 초등학교 국어나 사회과목 등에 실릴 적정 한자 수를 400~500자가량으로 명시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다. 신문에서도 한자가 사라진 마당에 갑자가 초등학생들의 교과서에 한자를 넣어 학습분량을 증가시킨다는 발상은 .. 2015. 5. 2.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정책'의 추진 실체를 밝혀라!(감사 청구) 오늘 오전 11시에 한글문화연대와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은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방침'의 연구 책임 부서를 밝히기 위해 교육부와 교육과정평가원을 상대로 감사를 청구했습니다. 감사 청구 사항과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감사 청구 사항 가) 교육부에서 2014년 9월 23일 보도 자료로 발표한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방침'의 연구 책임 부서를 밝혀주십시오. 나)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연구 책임 부서의 향후 여론 수렴 일정을 묻는 질문에 교육부와 교육평가원은 각각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있습니다. 이 둘 중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를 밝혀 주시고 이 거짓말을 한 의도가 무엇인지 밝혀주십시오. 다) 위 ‘나’의 거짓말과 은폐를 지휘한 책임자가 누구인지 밝혀주십시오. 라)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문제는 45년 동안 .. 2015. 4. 30. 한글 아리아리 518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18 2015년 4월 30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림] 우리말 사랑 동아리 3기 모집(~06/04) ◆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초등 교과서에 한자 병기가 필요 없는 이유-이건범 대표 ◆ [우리말 이야기] '말아요'라 하지 마요-성기지 운영위원 ◆ [우리말 가꿈이] 우리말의 역사와 함께 한 건재 정인승의 생애, 기념관에서 엿보다 ◆ [알림] 안녕! 우리말 운동을 함께해주세요. ◆ [알림] 우리말 사랑 동아리 3기 모집(~06/04) 한글문화연대는 우리말 사랑 동아리 3기를 모집합니다.“우리말 사랑 동아리 3기”가 되어 쉬운 말로 국민과 소통하는 공공언어문화, 품격있고 올바른 말이 이끄는 언어문화, 어른의 관심.. 2015. 4. 30. 우리말의 역사와 함께 한 건재 정인승의 생애, 기념관에서 엿보다 우리말의 역사와 함께 한 건재 정인승의 생애, 기념관에서 엿보다 하수정(우리말 가꿈이6기, hsj7427@naver.com) 전라북도의 작은 시골 양악마을. 양악마을 입구로 들어서니 토옥동 계곡의 맑은 물은 사람의 발길이 그리웠다고 말하듯 고요하고 한적하게 흐르고 있었다. 계곡을 지나 마을의 가장 안쪽으로 들어가자 하늘만큼이나 푸른 인삼 밭이 펼쳐져 있었다. 인삼밭으로 둘러싸여 굴곡진 언덕 위로 눈을 돌리니 작지도 크지도 않은 크기에 견고한 자태로 위엄을 보여주는 건재 정인승 기념관이 그곳에 있었다. "말과 글을 잃게 되면 그 나라 그 민족은 영영 사라지고 만다." 건재 정인승 선생이 남긴 말이다. 그는 전라북도 장수 출신으로 본관은 동래 호는 건재이다. 일제의 문화말살 정책에 대항하여 우리 고유문화를 .. 2015. 4. 30. 이전 1 ··· 469 470 471 472 473 474 475 ··· 5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