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78 [영상] 경제에 관한 쉬운 우리말 [쉬운 우리말 - 우리 새말] 7화. 경제에 관한 쉬운 우리말 "어려운 용어 때문에 정보에서 소외된 적 있으신가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새말모임*에서 제안한 의견을 바탕으로 의미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검토하여 어려운 외래 용어를 대체하여 쓸 쉬운 우리말로 다듬은 말을 선정, 발표하고 있습니다. *새말모임: 어려운 외래 새말이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말로 다듬어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국어, 언론, 통번역, 문학, 정보통신, 보건 등 여러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모임을 꾸리고 있다. 2022. 12. 28. 우리말을 사랑하는 대학생의 「2022년 쉬운 우리말 쓰기 제작 지원 사업」이야기 - 김민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9기 김민 rlaalsmin423@naver.com 사람들은 다양한 매체에서 여러 정보를 얻는다. 텔레비전에서 정보를 접하는 사람도 있고, 인터넷 신문에서 세상을 알아가는 사람도 있다. 최근에는 재미와 간편함을 추구하는 신세대(MZ세대)를 중심으로 개방형 매체인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OTT)를 활용해 지식을 얻기도 한다. 다양해진 매체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모든 시청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정확한 정보 전달의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바로 ‘의사소통’이다. ‘의사소통’ 중 ‘언어적 영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일부 매체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고 외국어와 외래어를 지나치게 남용하는 경우가 있다. 쉬운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는 행위가 매체.. 2022. 12. 26. 영어 모르는 노인, 아파트 단지에서 길을 잃다 - 정다정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9기 정다정 기자 daajei@naver.com 겨울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서울 도심 거리를 걷다 문득 고개를 들어보니 한글이 하나도 보이지 않는다. 어느 곳을 둘러봐도 한글로 표기한 간판은 좀처럼 찾기가 어렵다. 심지어 최근 건설된 아파트 단지 내 시설명도 영어로만 표기돼 입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아파트가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를 주기 위해 영어를 쓰는 것이 도가 지나쳐 생활에 지장까지 준다는 지적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부산 ‘대연롯데캐슬레전드’ 단지 내 영어 사용이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게시물에 함께 첨부된 사진에는 관리사무소가 ‘MANAGEMENT OFFICE’, 경로당이 ‘SENIOR CLUB’, 도서관이 ‘LIB.. 2022. 12. 26. 한글 아리아리 905 새 창으로 보기한글 아리아리 9052022년 12월 22일 2022년 12월 22일, 우리말 소식 📢 1.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민 서명운동에 참여해 주세요!2. 천하제일 외국어 사냥꾼 선발대회 - 외국어 사냥해3. 댓글 기술 뽐내기 대회 - 4행시 글짓기4. 쉬운 우리말 찾기 대회 - 페이스 리프트와 다크 스토어의 쉬운말은?5. 알음알음 강좌를 엽니다. 석금호 산돌 의장이 들려주는 산돌의 글꼴 개발 역사5. 새말을 소개합니다. 마이크로 투어리즘? 근거리 여행6.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한글 상식7. 서울시에 '화이트사이트' 대신 쉬운 우리말 쓰기를 요청했습니다.8. 대학생 기자단 9기 기사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민 서명운동에 참여해 주세요![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 2022. 12. 23. [민원/답변] 2022교육과정 개정안에서 사용한 4가지 외국어 용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써 주십시오. 교육부 - 2022.12.12 ○ 안녕하세요? 교육부 2022교육과정개정지원팀입니다. 귀하께서 국민신문고를 통해 요청하신 내용에 대한 검토 결과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 먼저, 우리 부 교육정책과 관련하여 의견을 주신 데 대하여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귀하께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 개정안에서 사용한 4가지 외국어 용어(AI, 아이디어, 리터러시, 브레인 스토밍)를 우리말로 바꾸어 달라는 의견을 주신 것으로 이해하고 답변드리겠습니다. ○ 귀하께서 요청하신 내용을 포함한 다양한 대국민 의견, 전문가 검토 및 현장 적합성 등에 대한 의견은 연구진에 전달되어 논의 중이며, 관련 위원회 회의 등에서도 지속적으로 검토 및 논의 중임을 알려드립니다. ○ 현재 「국민참여소통채널」에 탑재된 교과 교육과정 시안은 최종안이 아니며, 추후 지.. 2022. 12. 22. [민원] 2022교육과정 개정안에서 사용한 4가지 외국어 용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써 주십시오. 교육부 - 2022.11.24 안녕하세요?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국가 교육과정은 초중등 공교육의 길잡이 노릇을 하는 중요한 공문서이므로, 국어기본법 제14조1항에서 규정한 것처럼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합니다. 국어기본법 제3조에 규정한 대로 대한민국의 공용어(공식어)는 한국어이므로, 한국어로 번역하여 표현할 수 있는 용어는 모두 한국어 용어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2022개정 교육과정에 담긴 다음의 4가지 외국어 단어를 우리말로 바꿔 한글로 써 주시기 바랍니다. 1. AI --> 인공지능 2. 아이디어 --> 생각 3. 리터러시 --> 문해력 4. 브레인 스토밍 --> 생각 쏟아내기 이와 같은 외국어 용어를 사용하는 학자들은 대체로 우리말로는 그 의미.. 2022. 12. 22. [민원/답변] 개정교육과정에서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 생각'로 바꿔주세요. 교육부 - 2022.12.16 안녕하십니까. 교육부 2022교육과정개정지원팀입니다. 귀하께서 국민신문고를 통해 요청하신 민원에 대한 검토 결과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먼저, 우리 부 교육정책과 관련하여 의견을 주신 데 대하여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귀하께서는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에서 사용한 외래어 용어인 '아이디어'를 우리말 '중심 생각'으로 바꾸어 달라는 의견을 주신 것으로 이해하고 답변드리겠습니다. 귀하께서 요청하신 내용은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대국민 의견 수렴, 전문가 검토 및 현장 적합성 등에 대한 연구진 검토, 개정 관련 위원회 회의 등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마련된 사항임을 알려드립니다. 현재 행정예고안으로 우리 부 홈페이지 등에 탑재된 교과 교육과정 시안은 최종안이 아니며, 이후 적법한 행정 .. 2022. 12. 22. [민원] 개정교육과정에서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 생각'로 바꿔주세요. 교육부 - 2022.11.09 안녕하십니까? 저는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2022년 개정교육과정에서 굳이 필요하다고 보이지 않는 ‘아이디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우리 교육과정 안에 다른 외국어 단어를 수없이 끌고 올 것입니다. ‘핵심 아이디어’라는 표현 대신 ‘중심 생각’, ‘바탕 생각’ 등의 우리말로 충분히 표현할 수 있으므로 용어를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요구에 공감하는 단체들의 건의문을 덧붙입니다. 2022. 12. 22. [민원/답변] 하윤수 부산시교육감 면담 요청-영어상용도시 정책 철회 요구 부산시교육감 - 2022.08.09 안녕하십니까? 부산교육 발전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귀하께서 우리교육청으로 신청하신 민원(1AA-2208-0086591)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 귀하의 민원 취지는 “하윤수 부산시교육감 면담요청-영어상용됴시 정책 철회 요구'건으로 이해됩니다. 요청하신 자료는 이건범님과 면담대상자 및 일정 등을 상의하고 있습니다. 답변 내용 중 궁금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광역시교육청 미래인재교육과 주무관에게 문의(☏051-860-0382, k01sunny@korea.kr)주시면 성심 성의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귀하의 가정에 늘 건강과 행복이 가득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2022. 12. 22. 이전 1 ··· 86 87 88 89 90 91 92 ··· 5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