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78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예술과 꾸미기 그 어디쯤, 아쿠아스케이프 두 개 이상의 단어를 결합해 만들어 낸 신조어 중에서 적잖은 경우가 그렇듯이 ‘아쿠아스케이프’(aquascape)는 참 여러모로 해석될 수 있는 표현이다. ‘Aqua’(물)와 ‘Landscape’(풍경)가 합쳐져 탄생한 표현인 만큼 이들 두 단어의 뜻을 다양한 맥락으로 이해한 풀이말들이 눈에 띈다. 우선 메리엄 웹스터 사전의 뜻풀이를 보면 “연못이나 분수 등 인공적으로 조성했거나 자연 상태의 아름다운 물가 풍경” 또는 “수초나 바위 등을 이용해 실제 물속 풍경같이 수조를 꾸미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한편 네이버 사전을 검색해 보면 “물속에서 그린 해양 생물 그림”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다소 엉뚱해 보이기는 하지만 ‘아쿠아스케이프’라는 단어 하나하나의 뜻만을 놓고 볼 때 아예 틀린 해석이라 할 수도 없다... 2022. 12. 20. 한글 아리아리 904 새 창으로 보기한글 아리아리 9042022년 12월 15일 2022년 12월 15일, 우리말 소식 📢 1.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민 서명운동에 참여해 주세요!2. 천하제일 외국어 사냥꾼 선발대회 - 외국어 사냥해3. 댓글 기술 뽐내기 대회 - 4행시 글짓기4. 쉬운 우리말 찾기 대회 - 페이스 리프트와 다크 스토어의 쉬운말은?5. 알음알음 강좌를 엽니다. 석금호 산돌 의장이 들려주는 산돌의 글꼴 개발 역사5. 새말을 소개합니다. 이중생활도, 두 집 살림도 아닌 두 지역살이6.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한글 상식7. 대통령 비서실에 '도어스테핑' 대신 쉬운 우리말 쓰기를 요청했습니다.8. 대학생 기자단 9기 기사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민 서명운동에 참여해 주세요![부산 영어상용도.. 2022. 12. 16.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헤드라이너의 우리말 찾기 새말 모임에서 다듬을 말 목록을 받으면 일단 풀이를 보지 않고 외래 용어만 읽은 뒤 뜻을 가늠해 보곤 한다. 대중문화에 과문한 탓인지 이번에 다룰 ‘헤드라이너’(headliner)라는 단어를 보고는 공연문화와 관련된 표현이라고 전혀 짐작하지 못했다. ‘신문 표제(headline)에 등장한 유명인사’ 혹은 ‘신문 표제 기사를 쓴 기자’ 정도를 떠올렸다. 영어사전을 찾아보니 절반만 맞았다. 위 두 개의 짐작 중 후자의 뜻이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다듬을 말은 그 의미로 쓰인 게 아니었다. ‘행사나 공연 등에서 가장 기대되거나 주목받는 출연자, 또는 그 무리’를 가리키는 말이라고 한다. 보통 공연의 최고조에 등장해 무대를 장식하거나, 공연을 홍보할 때 가장 크게 부각되는 출연자, 혹은 출연진을 일컫는다. 영어.. 2022. 12. 15. 반려동물 용어, 우리말로 순화할 수 없을까? - 박예진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9기 박예진 기자 20180586@sungshin.ac.kr 반려동물을 키우다 보면 외국어로 둘러싸인 반려동물용품 진열대를 종종 보게 된다. 반려동물의 사료부터 장난감, 생활용품까지. 수입 상품이 대부분이라고 해도, 국내 상품조차 제품명이나 홍보 문구에 우리말 대신 외국어를 사용하고 있다. 반려동물 시장은 지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온라인 집단조사 결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비중은 2010년 17.4%에서 2021년 27.7%로 늘었다. 그에 따라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며 투자를 아끼지 않는 반려동물 돌봄족의 비율도 늘어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국내 반려동물 시장 규모가 2020년 3조 4천억 원 수준까지 성장했다고 했으며, 오는 2027년에는 시장이.. 2022. 12. 15. [공문] 원스톱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행정안전부 정부24정책팀 - 2022.12.09 1. 행정안전부 정부24정책팀의 평소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한글문화연대는 11월 28일 시민의 제보를 받아 강원도 홍천군 누리집에 쓰인 ‘원스톱’을 바꿔달라고 요청했습니다. 11월 30일 홍천군 종합민원과에서는 “원스톱서비스는 행정안전부에서 총괄하여 전국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특정 지자체에서만 변경할 수 없다."라고 답변했습니다. 4. 원스톱은 2021년에 시행한 「공공언어 속 외국어의 국민 이해도와 수용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40.6%’, 70세 이상.. 2022. 12. 14. [공문/답변]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자치과 - 2022.12.02 1. 귀 기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와 관련하여 요청드린 사항에 대해 첨부파일과 처리하였으니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2. 12. 14. [공문]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자치과 - 2022.12.01 1. 구민중심 혁신행정! 더불어 잘 사는 행복북구!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자치과의 평소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광주광역시 북구 누리집에 쓰여 있는 ‘아카이브’라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아카이브는 2020년에 시행한 「외국어의 국민 이해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21%’, 2021년 「공공언어 속 외국어의 이해도와 수용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18%’를 기록한 어려운 외국어입니다. 공공언어에서는 우리말 ‘자료저장소’, ‘자료보관’ 등으로 쓰는 .. 2022. 12. 14. [공문/답변]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광주광역시 광산구 문화예술과 - 2022.12.09 문화예술과-14859(2022.12.07.)호와 관련하여 광산구 누리집(문화관광 홈페이지) 용어 개선사항을 붙임과 같이 제출합니다. □ 개선사항 : 문화관광 홈페이지 메뉴명칭 변경 ○ 광산구 아카이브 → 광산구 자료저장소 붙임 개선 사항 1부 끝. 2022. 12. 14. [공문] 아카이브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광주광역시 광산구 문화예술과 - 2022.12.01 1. 상생과 혁신으로 광산을 새롭게 시민을 이롭게! 광주광역시 광산구 문화예술과의 평소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광주광역시 광산구 누리집에 쓰여 있는 ‘아카이브’라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아카이브는 2020년에 시행한 「외국어의 국민 이해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21%’, 2021년 「공공언어 속 외국어의 이해도와 수용도 조사」에서 ‘국민 평균 이해도 18%’를 기록한 어려운 외국어입니다. 공공언어에서는 우리말 ‘자료저장소’, ‘자료보관’ 등으로 쓰.. 2022. 12. 14. 이전 1 ··· 88 89 90 91 92 93 94 ··· 5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