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909

좋은 말들 27 사람이 죽으면 어디로 갈까? 너도 모르고 나도 모른다. 알려고 끙끙대지 말고 그 시간에 술이나 마시든가 우리말 맞춤법이나 익혀랴. 2019. 3. 7.
[누리방송5-104] 네모소식: 한자어,일본어투 공문서 용어 80개가 쉽게 바뀐다고 합니다.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104회] ▶ 네모소식 - 한자어,일본어투 공문서 용어 80개가 쉽게 바뀐다고 합니다. - 한반도 훈풍에 겨레말 큰사전 제작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 토박이말 따라잡기 - 깬 날(경칩), 봄까치꽃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화요일, 수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화요일: 배우리의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에서 듣는 방법 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우리말 아리아리' 로 검색한다. 2. '우리말 아리아리', '그러니까 말이야' 채널에서 각 회차를 선택하.. 2019. 3. 6.
[알림]우리말가꿈이 16기 면접 아름다운 우리말과 글을 지키고 가꾸는 수호천사, 우리말가꿈이!! 우리말가꿈이는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들어 가는 일을 합니다. 지난 2월 1일(금)부터 2월 24일(일)까지 우리말가꿈이 16기 모집을 하였고, 1차 서류 접수를 거쳐 2월 27일(수)~3월 1일(금)까지 3일 동안, 한글 학회에서 면접을 진행하였습니다. 면접에서 뽑힌 우리말가꿈이 16기는 3월 9일(토) 오름마당과 모꼬지를 시작으로 7월까지 4개월 동안 활동하게 됩니다. 2019. 3. 6.
허리가 줄은 것 같아 [아, 그 말이 그렇구나-276] 성기지 운영위원 오늘이 경칩이니까, 이제 새봄이 바로 우리 곁에 다가왔다. 미세먼지가 뒤덮이건 말건 얼어붙었던 땅도 희색만면해지는 계절이다. 겨울 동안에 체중 감량에 성공한 여성들은 이제부터 옷맵시를 뽐내고 싶어하는 계절이기도 하다. 허리 치수가 줄었다고 할 때, “허리가 줄은 것 같아.”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줄다’처럼 어간 받침이 ㄹ인 말들은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를 붙일 때 보통 ㄹ이 탈락된다. ‘줄은 것 같아’가 아니라 ‘준 것 같아’라고 해야 한다. (‘같다’는 추측을 나타내는 형용사이므로 ‘허리 치수가 줄었어.’가 바람직한 표현이다.) “한국어가 많이 늘은 이주 여성”이라고 할 때에도, ‘많이 늘은’이 아니라 ‘많이 는’이라고 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떡.. 2019. 3. 6.
[누리방송5-103]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16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103회] ▶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16 땅이름 학자 배우리 님과 함께 떠나는 땅이름 여행. 토박이말로 지어졌던 땅이름들이 한자의 음이나 훈을 빌어 한자로 표기되고 다시 일본식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으니... 그 역사를 거꾸로 더듬어 가며 땅이름들의 공통점을 파헤치다 보면 어느덧 넓디넓은 토박이말 곳간에 다다른다. 매주 화요일 방송!!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화요일, 수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화요일: 배우리의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에서 듣는 방법 1. .. 2019. 3. 5.
한글 아리아리 709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709 2019년 2월 28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의거, 순국선열 - 성기지 운영위원 3.1운동 100돌을 맞이하여, ‘3.1운동’ 명칭에 관한 논의가 잦다. ‘운동’은 국어사전에서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힘쓰는 일. 또는 그런 활동.”이라 풀이되어 있다. 온 나라 백성이 일제로부터 독립을 되찾고자 일시에 만세를 부른 일이니 ‘운동’이라 일컬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날의 민족적 저항을 단순히 ‘독립을 이루려고 힘쓰는 일’로 낮추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많다. 일제의 강압적 침탈을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기 위해 봉기한 ‘의거’로 불러야 한다는 것이다. ‘의거’는 국어사전에서 “정의를 위하여 개인이나 집단이 의로운 일을 도모.. 2019. 3. 1.
[누리방송5-102] 네모소식: '괄도네넴띤'이라는 라면 이름 때문에 시끄럽습니다.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102회] ▶ 네모소식 - '괄도네넴띤'이라는 라면 이름 때문에 시끄럽습니다. - 어려운 색깔 이름 알기 쉬운 이름으로 바뀐다고 합니다. ▶ 토박이말 따라잡기 - 조붓하다, 가붓하다, 똥겨주다, 고갱이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화요일, 수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화요일: 배우리의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에서 듣는 방법 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우리말 아리아리' 로 검색한다. 2. '우리말 아리아리', '그러니까 말이야' 채널에서 각 회차를 선택.. 2019. 2. 27.
[논평] 삼일절 앞두고 한글 파괴 나선 팔도라면, 사죄해야 한다. 삼일절 앞두고 한글 파괴 나선 팔도라면, 사죄해야 한다. -'괄도네넴띤', 놀이문화 넘어선 추악한 상혼! 주식회사 팔도라는 회사에서 자기네 상품 ‘팔도 비빔면’을 더 알리고자 한글 파괴 놀이인 야민정음을 도입해 ‘괄도네넴띤’이라고 이름 붙인 특별한정판을 시장에 내놓았다. 누리꾼들이 개인 수준에서 즐기는 놀이문화 차원이 아니라 돈 버는 일이라면 한글 파괴도 서슴지 않겠다는 뻔뻔한 상혼에 걱정을 거둘 수 없다. 조선어학회 선열들이 일제의 탄압 아래서 목숨 걸고 지킨 한글이다. 일제의 모진 고문 탓에 이윤재, 한징 두 분은 감옥에서 돌아가셨다. 이런 한글을 팔도라는 회사가 공짜로 잘 쓰는 동안 한글 보호나 우리말 발전을 위해 어떤 공헌을 했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그런데 돈 좀 더 벌겠다고 한글 파괴.. 2019. 2. 27.
[누리방송5-101]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15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101회] ▶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15 땅이름 학자 배우리 님과 함께 떠나는 땅이름 여행. 토박이말로 지어졌던 땅이름들이 한자의 음이나 훈을 빌어 한자로 표기되고 다시 일본식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으니... 그 역사를 거꾸로 더듬어 가며 땅이름들의 공통점을 파헤치다 보면 어느덧 넓디넓은 토박이말 곳간에 다다른다. 매주 화요일 방송!!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화요일, 수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화요일: 배우리의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에서 듣는 방법 1. .. 2019.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