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909

우리말 가꿈이 14기 4월 소식 '우리말가꿈이 14기'로 모여 앞으로 활동 할 모둠원끼리 처음으로 모인 모꼬지 때 만든 영상입니다. 모둠마다 2시간의 짧은 시간에 우리말과 한글 소재로 짧은 영상 만들기 활동을 하였는데요. 몇 개를 골라 소개합니다. 처음이기에 내용면에서 많이 부족하지만, 열정을 가지고 만든 영상입니다. 많이 봐주세요. 7모둠-봄나래 9모둠-또바기 12모둠-한글느루 2018. 4. 19.
[이웃집 소식] 학글학회 시민강좌-우리말·우리글의 힘 제4기 “우리말·우리글의 힘, 시민 강좌” 110년의 역사 동안 우리 말글을 가꾸고 지켜온 한글학회는 서울 한글가온길 중심에 있는 한글회관에서 제4기 “우리말·우리글의 힘, 시민 강좌”를 마련합니다. 2018년 봄을 맞이하여 여섯 차례에 걸쳐 아래와 같이 우리 말글에 관한 이야기 마당을 펼칩니다. 우리말, 우리글, 그리고 우리 문화에 관심 있는 시민들께 유익한 기회가 될 것으로 믿습니다. 부디 오셔서 함께 누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때: 5월 17일(목)~6월 21일(목) 저녁 5시~6시 30분 •곳: 한글학회 강당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7) 2018. 4. 19.
순 우리말 음식이름 [아, 그 말이 그렇구나-232]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의 입맛이 갈수록 서구화하여 먹거리 문화가 바뀜에 따라 차츰 우리말 음식 이름들이 잊혀 가고 있다. ‘겉절이, 곰국, 부침개, 비짓국, 소박이, 수제비, 장떡, 튀각, 풀떼기’ 들처럼 지금까지 남아 있는 먹거리도 많지만, ‘간서리목, 강피밥, 개떡수제비, 닭김치, 밀푸러기, 쌀골집, 젖미시, 회깟’ 들처럼 이름만 남아 있고 먹어 보기 어려운 먹거리도 많다. 또한, ‘가지만지, 감화보금, 관전자, 너비아니, 섭산적, 왁저지, 원밥수기, 추포탕, 화양누르미’ 들과 같이 이름도 낯선 우리말 음식 이름들이 이밥의 낱알처럼 무수히 많다. 조리 용어도 불을 사용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 불을 사용하는 조리 용어들에는 ‘굽다, 튀기다.. 2018. 4. 18.
헌법 개정안, 얼마나 알기 쉬울까? -장진솔 기자 헌법 개정안, 얼마나 알기 쉬울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장진솔 기자 jjsol97@naver.com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 출범 기자회견에서 본부 공동대표인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출처: 뉴스1) 지난 1월 17일, 한글학회와 한글문화연대 등 국어단체, 흥사단과 한국와이엠시에이(YMCA)전국연맹 등 시민단체,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등 교육학부모단체를 비롯한 41개 단체가 모인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이하 ‘국민운동본부’)가 출범했다. 이후 참여 단체는 53개로 늘어났다. 이들은 ‘개정하는 헌법은 알기 쉬운 우리말글을 쓰자.’는 목표를 가지고 활동했다. 그리고 두 달 여 뒤인 지난 3월 26일, 문재인 대통령이 헌법 개정안을.. 2018. 4. 12.
순 우리말 빛깔이름 [아, 그 말이 그렇구나-231] 성기지 운영위원 순 우리말 빛깔이름은 본디 ‘검다’, ‘희다’, ‘붉다’, ‘푸르다’, ‘누르다’ 다섯 가지이다. 이 말들에서 각각 ‘까맣다, 하얗다, 빨갛다, 파랗다, 노랗다’란 말들이 생겨나 쓰이고 있다. ‘오색찬란하다’고 할 때의 오색이 바로 검정, 하양, 빨강, 파랑, 노랑이다. 여기에 ‘색’이란 말을 붙이면, 빨강은 빨간색, 노랑은 노란색, 파랑은 파란색 들과 같이 된다. 그러니까, ‘색’을 떼고 말하면 ‘빨강’이 되고, ‘색’을 붙여서 말하면 ‘빨간’으로 쓰는 것이다. 빨강과 빨간색, 노랑과 노란색, 파랑과 파란색은 같은 말이다. 무지개 빛깔 가운데 우리 토박이말은 ‘빨강’, ‘노랑’, ‘파랑’ 세 가지뿐이다. 이 세 가지 빛깔을 모든 색의 근원이 되는 ‘삼색.. 2018. 4. 11.
대학생 기자단 5기 교육/2018.04.08(일) 2018년 5월부터 새로 활동을 시작하는 대학생 기자단 5기가 구성되었습니다. 기자단은 활동 전에 교육을 먼저 받는데 모두 3일 동안 진행됩니다. 먼저 지난 일요일(2018년 4월 8일)에 공간 '활짝'에서 대학생 기자단 5기의 1일차 교육을 했습니다. 첫 시간은 우리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가 에 대해, 둘째 시간은 우리 단체 성기지 운영위원이 을 주제로 강의를 해주셨는데, 열띤 질의응답의 시간과 참석한 모든 학생이 집중해 들었습니다. 둘째 시간이 끝난 뒤 한 시간 정도 기자단이 서로 알아갈 수 있게 한 명씩 자기소개와 장기 자랑을 했습니다. 앞으로 1년 동안 함께할 친구들 앞에서 기자단을 지원한 이유와 평소 자신이 좋아하는 것 등 일상적인 이야기뿐만 아니라 앞날의 고민도 이야기하며 공감도 하는 소중한.. 2018. 4. 10.
[알림]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일정 안내: 5기 교육 일정 발대식, 4기 수료식 [알림]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일정 안내: 5기 교육 일정 발대식, 4기 수료식 [5기 교육] ▲ 교육 날짜 4월 8일(일 아침 10시~낮 6시 4월 29일(토) 아침 10시~낮 6시30분 4월 30일(일) 아침 9시30분 ~ 낮 6시 ▲ 교육 장소: 공간 활짝(한글문화연대 사무국 옆 강의실), 광화문 가온길 ▲ 교육시간표 ▲ 추가 교육-견학 - 특강: 2회 이상 - 견학: 한글박물관, 방송언론사 등(3회 이상) * 활동 기간 중 수시로 있습니다. [수료식과 발대식] ▲ 4기 수료식과 5기 발대식: 낮 4시30분~6시 2018. 4. 6.
한글 아리아리 663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63 2018년 4월 5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날개 돋힌 듯? - 성기지 운영위원 받침소리가 이어져 소리 나는 말들 가운데 잘못 적기 쉬운 말들이 많다. ‘높다’의 사동형인 ‘높이다’도 그러한 사례이다. ‘높게 하다’는 뜻으로 쓸 때 바른 표기는 ‘높이다’인데 여러 곳에서 ‘높히다’로 쓰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실제 인터넷 검색창에 ‘높히다’를 입력해 보면 무수한 글들이 떠오른다. 또, “어떠할 것으로 짐작이 가다.”는 뜻으로 쓰이는 ‘짚이다’를 ‘짚히다’로 적는다든가, “얼음을 녹이다.”라는 말을 “얼음을 녹히다.”로 적는 경우, “뚜껑이 덮이다.”를 “뚜껑이 덮히다.”로 적는 경우가 무척 많다. 이들은 모두 ‘-.. 2018. 4. 6.
[알림]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합격자 ** 축하합니다 ** 한글문화연대 사무국입니다. 지난 4월 1일에 1차 서류심사를 통과한 지원자 대상으로 면접을 진행하여 최종 12명의 학생을 5기 기자단으로 정하였습니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5기로 뽑히신 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더불어 대학생 기자단 지원으로 우리말과 한글 그리고 한글문화연대에 관심과 열정을 보여주신 분들 모두 고맙습니다. 5기의 첫 모임과 교육 일정 안내는 합격하신 분들께 개별로 알려드립니다. 앞으로 1년간 5기 기자단 여러분의 성실하고 활발한 활동을 기대합니다. 2018.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