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909

[와이티앤] 와이티앤 뉴스 '571돌 한글날...우리말 홀대는 여전' ** 와이티앤 방송 보러가기 ■ 이건범 / 한글문화연대 대표 앵커 오늘 한글날, 훈민정음 반포된 지 571돌입니다. 한글에 대해서 좀 더 얘기해보싶습니다.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초대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이건범입니다. 앵커 요즘 한글 사용에 대해서 하실 말씀 많으실 것 같은데요. 답답하신 것들이 있으시죠? [인터뷰] 그렇죠. 인터넷이나 또는 전화기에서 여러 가지 쪽지들을 주고받고 하면서 우리말 파괴, 또 한글맞춤법 파괴 이런 현상들이 많이 나타나고 정부에서 이렇게 어려운 말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그런 현상들도 걱정이 됩니다. 앵커 제일 걱정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인터뷰] 저는 그중 제일 걱정하는 건 정부에서 사용하는 말 공공언어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그게 .. 2017. 10. 11.
[카카오플러스친구] 어려운 안전 안내문구 신고는 어떻게 할까요? 어려운 안전 안내문구 신고는 무엇을 어떻게 할까요? 신고할 때는 일대일 대화창을 통해서 하시면 됩니다. 친구와 문자 나누듯이 글과 사진을 보내주세요. 그동안 카톡으로 신고해 주신 안전 안내 문구들 몇 가지 올립니다. 참고해 주세요. 사진을 찍어서 내용을 적어서 보내주시면 좋고요, 사진이 없으면 그냥 글로 올려주셔도 됩니다. 이런 내용도 신고 해도 되나요? 하는 궁금증을 가진 분들이 있으시죠? "무슨 말인지 혹은 뭘 말하는지 모르겠어요." "좀 쉬운 말로 하면 안 되나?" 이런 생각이 드는 안내문이 있나요? 한글문화연대로 알려주세요. 어려운 말이나 표현이 있으면 무엇이든 사진을 찍어서 혹은 글로 써서 알려주시면 됩니다. 페이스북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https://www.facebook.com/urim.. 2017. 9. 21.
가족과 식구 [아, 그 말이 그렇구나-203] 성기지 운영위원 한가위가 사이에 낀 기나긴 연휴가 다가오고 있다. 직장인이라면 무척 설레는 때이다. 나라 밖으로 또는 나라 안으로 여행을 계획하는 이들이 많을 테지만, 더러는 가족과 함께 모처럼 만의 휴식을 꿈꾸는 이들도 있겠다. 그런데 ‘가족’과 ‘식구’는 어떻게 다를까? 일상생활에서 이 두 낱말은 거의 구분 없이 쓰이기 때문에, 그 뜻 차이를 떠올리기가 쉽지 않다. ‘가족’은 한 집안의 친족, 곧 어버이와 자식, 부부 따위의 혈연관계로 맺어져 한 집안을 이루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말이다. 몇 십 년 동안 멀리 떨어져 살더라도 혈연관계에 있으면 모두 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서 ‘식구’는 한 집안에서 함께 살며 끼니를 같이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2017. 9. 21.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대표자 모임 지난 9월 9일 토요일 2시 서울중부여성발전센터에서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대표자 모임이 있었습니다. 동아리별로 어떤 우리말글 활동을 하였고, 남은 활동 기간에는 어떤 계획과 활동으로 우리말 사랑 활동을 마무리 할 것인지 이야기 나누는 시간이었습니다. 동아리 활동 보고 후에는 활동에서 아쉬운 부분, 보완해 나갈 점을 이야기하고, 열심히 활동한 동아리에게는 아낌없는 칭찬을 해주기도 하였습니다. 남은 활동 기간에도 우리말글 활동을 열심히 해주기를 기대합니다. 서울뿐 아니라 울산, 대전, 인천, 강원에서 대표자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멀리서 와준 동아리 대표와 부원들에게 다시 한번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동아리 명 대표 7월, 8월 활동 내용 꿈꾸는 색동애벌레/모임 (서울) 신승아 학교 인근 잘못 사용된 간.. 2017. 9. 11.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아, 그 말이 그렇구나-201]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나라 축구 대표 팀이 마침내 러시아 월드컵 본선에 올랐다. 아홉 차례나 끊이지 않고 본선에 올랐으니 자부심을 가질 만하다. 예전에 동네 축구를 할 때 보면, 공을 차다가 운동화가 벗어져 공과 함께 날아가는 일이 흔했다. 이때 “신발 한 짝이 벗어졌다.”고 하는데, 사실 이 말은 바른 표현이라고 볼 수 없다. ‘신발’이라고 할 때, ‘발’은 ‘손발’이라고 할 때의 그 ‘발’이 아니라, ‘벌’이라는 뜻이다. 옷을 헤아릴 때 쓰는 ‘한 벌’, ‘두 벌’의 그 ‘벌’을 가리킨다. 곧 두 개가 하나로 짝을 이룬 것을 ‘벌’이라고 하는데, ‘신발’의 ‘발’은 이 ‘벌’이 소리가 바뀌어서 ‘발’로 굳어진 것이다. 그러니까 ‘신발’이라고 하면, 신의 한 벌, 즉 신.. 2017. 9. 6.
외래어, 어디까지 알아보고 오셨어요? - 이유진 기자 외래어, 어디까지 알아보고 오셨어요? - 외래어 특집 ①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4기 이유진 기자 yoojin7305@naver.com 외래어가 도대체 뭘까? 어렸을 때부터 써온 외래어는 우리의 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이지만, 외래어를 정확하게 설명하거나 구별할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한글날만 되면 들려오는 ‘외래어 남용’ 문제는 우리에게 익숙한 이야깃거리다. ‘남용’은 일정한 기준이나 한도를 넘어 함부로 쓰는 걸 말한다. 즉, 외래어는 함부로 쓰면 안 되는 말이다. 함부로 쓰면 안 되는 말, 외래어는 도대체 무엇일까? 우리말의 한 갈래, 외래어 우리말은 어원에 따라 세 갈래로 나뉜다. 오래전부터 우리 민족이 써온 토박이말인 , 한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 외국어를 빌려와 우리말처럼 사용.. 2017. 8. 25.
[누리방송4-17] 그러니까 말이야 - 아하 그렇구나 '받침소리의 혼란'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그러니까 말이야 넷째 타래 17회] 재미있는 우리말 이야기 ▶ 우리말 소식 - 국회도서관, 한글 알리기 위해 국립한글박물관과 협력 - 한글문화연대 어려운 안전문구 신고터를 마련하였습니다. ▶ 재밌게의 - 받침소리의 혼란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수요일: 우리말 뉴스, 돌비의 , 정재환의 금요일: 우리말 뉴스, 재밌게의 월요일: 우리말 뉴스, 문어발의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듣는 방법 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그러니까 말이야' 로 검색한다. 2. '그러.. 2017. 8. 18.
‘여우다’와 ‘여의다’ [아, 그 말이 그렇구나-198] 성기지 운영위원 무더위가 한풀 꺾이면서 예식장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아들딸을 다 키워놓으면 자기들끼리 짝을 이뤄서 부모 곁을 떠나는데, 우리말에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뜻하는 ‘여의다’와 ‘여우다’가 있다. ‘여의다’는 “부모나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서 이별하다.”란 뜻으로 쓰는 말이다. 그런데 어느 때부턴가 이 말을 “딸을 여의다.”처럼 ‘딸을 시집보내다’라는 뜻으로도 쓰게 되었다. 본디 딸을 시집보내는 것을 이르는 우리말은 ‘여의다’가 아니라 ‘여우다’이다. “아랫마을 김씨네가 막내딸을 여운다고 해.”처럼 요즘도 시골 어르신들이 자주 쓰는 말이다. 그런데 ‘여우다’가 ‘여의다’와 발음이 비슷한데다가, 아주 옛날에는 딸을 시집보내고 나면 다시는 볼 수 없었기 때문.. 2017. 8. 17.
[공문]태스크포스라는 외국어를 사용하지 말아 주십시오 2017.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