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50

부산 <영어하기 편한 도시> 실무자 면담을 위해 부산시청에 다녀왔습니다. 2023년 1월 30일(월) 한글문화연대는 부산 정책의 세부 내용을 듣기 위해 부산시청에 방문했습니다.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 그리고 국민연합 집행위원회 강준철 김영환 두 공동대표가 함께 부산시청에 방문하였고, 부산시청에서는 배홍권 팀장(창조교육과, 영어하기 편한 도시 전담반), 최정윤 주무관(창조교육과), 옥동희 주무관(문화예술과)이 정책 설명을 위해 나왔습니다. 1시간 30분 정도 진행한 회의에서는 단순히 정책 세부 내용을 듣는 것뿐 아니라 국어 보호와 발전을 위한 저희 측의 간략한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면담이 끝난 뒤에는 부산시의회 윤일현 의원(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과 1시간 정도 정책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기도 했습니다. 흔쾌히 자리를 마련해주신 윤일현 의원님께 다시 한번 고맙습니다... 2023. 2. 1.
[한글상식] 담배는 망우초 2023년 1월 26일 정재환의 한글상식 ▶ [우리말 산책] 끊기 어렵지만 끊어야 좋은 ‘요망한 풀’ 2023. 1. 31.
[한글상식] 유감은 사과가 아니다 2023년 1월 21일 정재환의 한글상식 ▶ [우리말 바루기] '유감'과 '사과' 2023. 1. 31.
[알림] 김영명 고문, 미술 박람회(서울국제아트엑스포) 참여 한글문화연대 김영명 고문이 미술 박람회인 '2023 서울국제아트엑스포'에 참여합니다. 때: 2023년 2월 9일(목) ~ 2월 12일(일) 곳: 코엑스 시(C)홀.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513 2023. 1. 26.
우리말가꿈이 24기 모집 우리말가꿈이는 미래세대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 ​ ▣ 지원하기 https://forms.gle/D8s3vZbx3YNo7ArP6 매년 세종 나신 날(5.15), 한글날(10.9)에 광화문에서 시민 분들을 대상으로 우리말 사랑 행사를 진행합니다. ​ 우리말가꿈이는 단지 순우리말 혹은 토박이말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활동에만 그치지 않고, 우리말과 한글을 함부로 사용하여 다른 구성원을 차별하지는 않는지 살피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에게 쉽게 전달해야 할 공공언어에 낯선 외국어나 어려운 한자어가 가득한 건 아닌지 함께 고민합니다. 또한, 신문과 방송에서.. 2023. 1. 25.
입장과 주장, 입장과 처지 ‘입장(立場)’은 일본 한자어라고 해서 쓰지 말아햐 할 말 가운데 하나로 꼽혀왔다. 여러 선생님의 글이나 책에서 읽었고, 어릴 적에 일본어 공부할 때 이 단어가 나오는 걸 보면서 아, 이 말이 일본어에서 온 거구나 하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물론 우리가 사용하는 현대 한자어 가운데 거의 80% 넘게는 일본 한자어일 것이다. 그런 말 가운데 우리 토박이말이 있거나 우리 한자어가 있다면 그런 말을 쓰자는 게 국어운동 쪽의 오래된 전통인데, 나도 그런 전통을 따르고 있다. 그래서 ‘처지’라는 말로 ‘입장’ 대신 사용하자고 제안한다. 사전에서 찾아보면 ‘입장’은 ‘당면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뜻이 풀이되어 있다. 그런 면에서는 ‘처하여 있는 사정이나 형편’이라고 풀이된 ‘처지’로 순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리라. 그.. 2023. 1. 20.
[한글상식] 돌아온 도로 살얼음 2023년 1월 17일 정재환의 한글상식 ▶ 블랙아이스? 도로 살얼음! 2023. 1. 18.
[한글상식] 말도 짝이 있다 2023년 1월 11일 정재환의 한글상식 ▶ 짚신도 짝이 있다 2023. 1. 18.
[마침] 우리말가꿈이 23기 마침마당 2023년 1월 7일 토요일, 오후 3시부터 오후 6시까지 청년문화공간주동교동 바실리오홀에서 우리말가꿈이 23기 활동 뽐내기 및 마침마당이 열렸습니다. 행사 1부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약 50명의 학생이 올 8월부터 5개월동안 우리말과 한글 사랑 활동을 펼친 결과를 발표했고, 2부에서는 마침보람(수료증)과 우수활동 가꿈이와 모둠을 시상했습니다. 우리말가꿈이 23기는 키스앤라이드 표지판 교체 요청 활동, 옥외광고물 시행령 개선안 연구, 2020년부터 멈췄던 한글날 시민 참여 행사, 방송, 패션, 미용 등 분야의 용어를 우리말로 다듬는 네모소식 제작 등 다채로운 활동을 펼쳤습니다. 으뜸으로 활동한 가꿈이에게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이 수여됐으며, 모둠상으로는 늘품, 너울가지, 늘찬 모둠상 등의 시상.. 2023.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