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2551 전 세계를 매료한 '우영우'와 '헤어질 결심', 비결은 말맛 살린 번역 - 김이진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9기 김이진 기자 klee0129@naver.com 그 어느 때보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 콘텐츠의 열풍이 거세다. 이제는 아시아를 넘어 북미, 유럽, 남미 등에서도 한국 영화와 드라마가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일례로 영화 이 2019년에 아카데미상을, 드라마 이 2021년에 에미상을 받으며 한국 콘텐츠의 새 역사를 썼다. 이처럼 한국이 만들어내는 작품의 위상이 점차 높아지면서, 이제 한국어는 다른 나라의 언어로 많이 번역되는 언어로 당당히 자리매김했다. 한국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 어떻게 전 세계인을 매료할 수 있었을까? 한 가지 비결은 한국어 말맛을 살리는 번역이었다. 작품의 고유한 분위기와 대사의 어감을 해치지 않고 온전히 전달하는 자막이 있을 때, 타국의 시청자들도 한국 작.. 2022. 10. 18. '한글 점자의 날'을 아시나요? - 이연수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9기 이연수 기자 dldustn2001@naver.com 10월 9일은 한글날, 11월 4일은 한글 점자의 날이다. ‘한글 점자의 날’은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 권리를 신장하고 점자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제정된 날로, 매년 11월 4일이 바로 그 기념일이다. 점자법 제15조에 따르면 한글 점자의 날이 속한 주간을 ‘한글 점자 주간’이라고 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와 관련해 각종 행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11월 4일은 현재 사용하는 한글 점자의 원형인 ‘훈맹정음’을 발표한 날을 기념하여 정해졌다. 그전까지는 법정 기념일이 아니었던 ‘한글 점자의 날’이 2020년 12월에 ‘점자법’이 개정된 이후부터 법정 기념일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올해 .. 2022. 10. 18. 누리소통망에서 사용되는 잘못된 그림말의 문제점 - 김민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9기 김민 rlaalsmin423@naver.com 가족과 저녁 밥을 고민할 때, 회사에서 가벼운 대화를 나눌 때 등 사람들은 타인과 계속해서 이야기를 주고받는다. 얼굴을 마주하고 대화할 수도 있지만, 개인 휴대전화의 누리소통망을 통해 간편하게 연락을 주고받을 수도 있다. 누군가에게는 이 생활이 편리하고 익숙하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세상과 단절된 느낌을 주는 불편하고 어려운 상황일 수도 있다. 누리소통망 속 대화의 어려움을 만들어내는 요소로 외국어와 외래어가 대표적이다. 그뿐만 아니라 누리소통망에서 사용되는 그림말(이모티콘)도 또 하나의 장벽이 될 수 있다. 그림말이 우리말의 소중함을 얼마나 둔감하게 만드는지 심각성을 알아보고, 그림말을 바르게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2022. 10. 18. [한글 상식] 웃어른이야 2022년 10월 10일 정재환의 한글상식 ▶웃어른이야 2022. 10. 13. [한글 상식] 누끼 2022년 10월 2일 정재환의 한글상식 ▶누끼 2022. 10. 13. [한글 상식] 본인은 2022년 9월 29일 정재환의 한글상식 ▶본인은 2022. 10. 13. [한글 상식] 기부채납은 뭘까 2022년 9월 24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기부채납은 뭘까 2022. 10. 13. [한글 상식] 아가씨 2022년 9월 17일 정재환의 한글상식 ▶아가씨 2022. 10. 13. [한글 상식] 농연은 뭘까 2022년 9월 10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농연은 뭘까 2022. 10. 13. 이전 1 ··· 53 54 55 56 57 58 59 ··· 284 다음